신라왕( 新羅王 ) 연계표( 連繫表 ) | ||||||||
時代 |
區分 |
|||||||
三國 史記 |
三國遺事 |
왕위 |
왕 명 |
성씨 |
재위 |
시기 |
왕릉 위치 |
특기 사항 |
|
|
1 |
헉거세 거사간 |
박 |
61 |
BC57~AD4 |
탑동 (오릉) |
알영왕비 합장 |
|
|
2 |
남해 차차웅 |
박 |
21 |
4 ~ 24 |
탑동 (오릉) |
사위 석탈해 |
|
|
3 |
유리 이사금 |
박 |
34 |
24 ~ 57 |
탑동 (오릉) |
추석 (길쌈시합 후 놀이) |
|
|
4 |
탈해 이사금 |
석 |
24 |
57 ~ 80 |
동천동 |
황산진 전투 승리 (伽倻) |
|
|
5 |
파사 이사금 |
박 |
33 |
80 ~ 112 |
탑동 (오릉) |
月城 축성 |
|
|
6 |
지마 이사금 |
박 |
23 |
112 ~ 134 |
배동 |
倭國과 수교 |
|
|
7 |
일성 이사금 |
박 |
21 |
134 ~ 154 |
탑동 |
농정에 진력 |
|
|
8 |
아달라 이사금 |
박 |
31 |
154 ~ 184 |
배동 (삼릉) |
문경과 죽령도로 개통 |
|
|
9 |
벌휴 이사금 |
석 |
13 |
184 ~ 196 |
|
左右軍主의 軍職 신설 |
|
|
10 |
나해 이사금 |
석 |
35 |
196 ~ 230 |
|
|
|
上古 |
11 |
조분 이사금 |
석 |
18 |
230 ~ 247 |
|
甘文國 정복 병합 |
|
|
12 |
첨해 이사금 |
석 |
16 |
247 ~ 261 |
|
沙梁伐國 정복 병합 |
上代 |
|
13 |
미추 이사금 |
김 |
23 |
261 ~ 284 |
황남동 |
조분왕사위, 농업 장려 |
|
|
14 |
유례 이사금 |
석 |
15 |
284 ~ 298 |
|
백제와 수교 |
|
|
15 |
기림 이사금 |
석 |
13 |
298 ~ 310 |
|
일본과 수교 |
|
|
16 |
흘해 이사금 |
석 |
47 |
310 ~ 356 |
|
|
|
|
17 |
내물 마립간 |
김 |
47 |
356 ~ 402 |
교동 (계림) |
중국 前秦의 문물 전수 |
|
|
18 |
실성 마립간 |
김 |
16 |
402 ~ 417 |
|
눌지에게 살해당함. |
|
|
19 |
눌지 마립간 |
김 |
42 |
417 ~ 458 |
|
牛車法 제정,묵호지 불교전파 |
|
|
20 |
자비 마립간 |
김 |
22 |
458 ~ 479 |
|
일모성, 사시성 축조 |
|
|
21 |
소지 마립간 |
김 |
22 |
479 ~ 500 |
|
書出池,우편역 설치,시장 개설 |
|
|
22 |
지증 마립간 |
김 |
15 |
500 ~ 514 |
|
국호를 新羅로, 王 칭호 사용 |
|
|
23 |
법 흥 왕 |
김 |
27 |
514 ~ 540 |
효헌동 |
불교 공인, 연호로 建元 사용 |
|
|
24 |
진 흥 왕 |
김 |
37 |
540 ~ 576 |
서악동 |
대가야 평정, 화랑제도 창시 |
|
|
25 |
진 지 왕 |
김 |
4 |
576 ~ 579 |
서악동 |
중국 陳과 수교 |
|
中古 |
26 |
진 평 왕 |
김 |
54 |
579 ~ 632 |
보문동 |
隨, 唐과 수교, 불교 진흥 |
|
|
27 |
선덕여왕 |
김 |
16 |
632 ~ 647 |
배반동 낭산 |
분황사 창건, 첨성대 축조 |
|
|
28 |
진덕여왕 |
김 |
6 |
647 ~ 654 |
현곡면 나원리 |
당나라 식 服制 개편 |
29 |
무 열 왕 |
김 |
8 |
654 ~ 661 |
서악동 |
백제 멸망시킴 (김유신) | ||
|
|
30 |
문 무 왕 |
김 |
21 |
661 ~ 681 |
봉길리 대왕암 |
통일(나당 연합), 안압지 축조 |
|
|
31 |
신 문 왕 |
김 |
12 |
681 ~ 692 |
배반동 |
국학 창설, 서원소경 설치 |
|
|
32 |
효 소 왕 |
김 |
11 |
692 ~ 702 |
구정동 |
醫學博士 제도 도입 |
中代 |
|
33 |
성 덕 왕 |
김 |
36 |
702 ~ 737 |
구정동 |
通文博士 설치(외교문서전담) |
|
|
34 |
효 성 왕 |
김 |
6 |
737 ~ 742 |
골분을 동해에 |
|
|
|
35 |
경 덕 왕 |
김 |
24 |
742 ~ 765 |
내남면 부지리 |
석굴암, 불국사 창건 |
|
|
36 |
혜 공 왕 |
김 |
16 |
765 ~ 780 |
|
왕당파와 귀족간의 갈등 계속 |
|
|
37 |
선 덕 왕 |
김 |
6 |
780 ~ 785 |
분골을 동해에 |
|
|
|
38 |
원 성 왕 |
김 |
14 |
785 ~ 798 |
외동읍 괘릉리 |
讀書三品科 (인재등용) |
|
|
39 |
소 성 왕 |
김 |
3 |
798 ~ 800 |
|
|
|
|
40 |
애 장 왕 |
김 |
10 |
800 ~ 809 |
|
해인사 창건 |
|
|
41 |
헌 덕 왕 |
김 |
18 |
809 ~ 826 |
윗 동천 |
대동강에 長城 3백리 축조 |
|
|
42 |
흥 덕 왕 |
김 |
11 |
826 ~ 836 |
안강읍 육통리 |
淸海鎭 설치 (張保皐), 차나무 |
|
下古 |
43 |
희 강 왕 |
김 |
3 |
836 ~ 838 |
내남면 망성리 |
|
|
|
44 |
민 애 왕 |
김 |
2 |
838 ~ 839 |
내남면 망성리 |
|
|
|
45 |
신무왕 |
김 |
1 |
839 ~ 839 |
동방동 |
장보고 지원으로 왕위, 병사 |
下代 |
|
46 |
문 성 왕 |
김 |
19 |
839 ~ 857 |
서악동 |
남해일대 制海權 장악(장보고) |
|
|
47 |
헌 안 왕 |
김 |
5 |
857 ~ 861 |
서악동 |
제방 쌓고 농사 장려 |
|
|
48 |
경 문 왕 |
김 |
15 |
861 ~ 875 |
|
皇龍寺塔 수축 |
|
|
49 |
헌 강 왕 |
김 |
12 |
875 ~ 886 |
남산동 |
處容舞 크게 유행, 사치, 환락 |
|
|
50 |
정 강 왕 |
김 |
2 |
886 ~ 887 |
남산동 |
|
|
|
51 |
진성여왕 |
김 |
11 |
887 ~ 897 |
|
양길과 궁예, 견훤 할거 |
|
|
52 |
효 공 왕 |
김 |
16 |
897 ~ 912 |
배반동 |
後三國 탄생 |
|
|
53 |
신 덕 왕 |
박 |
6 |
912 ~ 917 |
배동 (삼릉) |
|
|
|
54 |
경 명 왕 |
박 |
8 |
917 ~ 924 |
배동 (삼릉) |
왕건 도움으로 견훤침공 격퇴 |
|
|
55 |
경 애 왕 |
박 |
4 |
924 ~ 927 |
배동 |
11월 포석정 잔치(견훤 침공) |
|
|
56 |
경 순 왕 |
김 |
9 |
927 ~ 935 |
연천 자작리 |
고려 태조에 항복 |
'참고실 > 慶州金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순왕릉 (0) | 2016.03.25 |
---|---|
신라사 ( 新羅史 ) (0) | 2016.03.12 |
[스크랩] 쇠,금 金 김의 한자발음의 어원에 관하여 -->김씨의 유래 (0) | 2016.02.22 |
경주 문무대왕릉 (文武大王陵) (0) | 2016.02.06 |
신라김씨? (0) | 2016.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