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故事成語

대우탄금(對牛彈琴)

淸潭 2013. 7. 26. 09:43

대우탄금(對牛彈琴)

 

      후한(後漢)시대 말기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불교학에 밝았는데, 유학자에게 불교를 설명할 때는 불전(佛典)이 아니라 유학의 시경,서경등의 경서를 인용했다.

유학자가 이를 책하자 모융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들은 불전을 읽은 적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당신들이 잘 알고 있는 경서를 인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명의(公明儀)의 고사를 인용했다.
"노(魯)나라의 공명의라는 어진 사람이 하루는 소를 향해 거문고를 켜주었다. 그런데 소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계속 풀을 먹고 있었다.


소가 못 들은 것은 아니었다. 청각(淸角)이라는 고상한 곡조는 소 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모기와 등애의 울음소리와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 울음소리를 흉내냈다. 그러자 소는 꼬리를 흔들면서 발굽소리를 내며 걸어다니고, 귀를 세우고 그 소리를 다소곳이 들었다. 이는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내가 당신들에게 시경을 인용하여 불교를 설명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말을 들은 유학자들은 머리를 끄덕이며 모융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暗中摸索(암중모색)  (0) 2013.07.27
금의야행(錦衣夜行)  (0) 2013.07.27
叱石成羊(질석성양)  (0) 2013.07.26
握髮吐哺(악발토포)  (0) 2013.07.25
道不拾遺(도불습유)   (0) 2013.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