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스님의 삼 서근과 운문스님의 보자공안
대우 수지(大愚守芝)스님의 게송은 가장 정교하고 고준하여 많은 노스님들이 애송하는 것을 나는 보아왔다. 스님은 한 스님이 동산 수초(洞山守初:910~990)스님에게 ‘무엇이 부처입니까?’ 라고 묻자, ‘삼 서근〔麻三斤〕’ 이라 답한 공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게송을 지었다.
곁눈질 흘금흘금 경전을 읽고 혀를 차가며 진언을 외어대네 불을 부는 그 입술 뽀족도 한데 땔감에선 부엌 가득 뭉게 연기 피어나네.
橫眫讀梵字 彈舌念眞言 吹火長尖嘴 柴生滿竈煙
운문(雲門)스님의 ‘보자(普字)’공안*에 대하여 게를 지었다.
부처다 법이다 장광설함은 화살 끝에 화살 끝을 더하는 너무도 어리석은 일 눈 밝은 선승이 곁에서 훔쳐보니 한가닥 주장자를 두 사람이 메고 있구나.
說佛說法廣鋪舒 矢上加尖也太愚 明眼衲僧旁覷見 一條拄杖兩人舁
또한 대중에게 설법할 때 다음과 같은 게를 짓기도 하였다.
모래속에 기름 없으니 가엾은 일 취암에서 밥을 씹어 갓난아이 먹이나니 뒷날 좋고 싫음을 똑바로 알면 이제껏 얼굴이 재로 뒤덮여 있었음을 비로소 깨달으리.
沙裏無油事可哀 翠巖嚼飯孩嬰餧 他時好惡知端的 始覺從前滿面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보자(普字) 공안 : "어떤 것이 정법안(正法眼)입니까." "보(普)이다." |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登 高 / 杜 甫-28*2 (0) | 2011.03.24 |
---|---|
山寺의 정경 (0) | 2011.03.23 |
[채근담] [물은 파도만 일지 않는다면 조용하다]| (0) | 2011.03.19 |
매 화 (梅 花) / 왕안석(王安石) (0) | 2011.03.17 |
백운스님의 게송 二首-28*2 (0) | 201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