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高故可仰。水深故不可測
“산은 높기 때문에 우러를 수 있는 것이고, 강은 깊기 때문에 헤아릴 수 없다.”
『가정집稼亭集』권 7에 나오는 대목이다.
산은 높아서 그 위용이 웅장하고 남성미를 자아낸다. 가까이에서 보면 높은 줄을
모르고 산의 일부만 보게 된다. 우리의 시야가 그만큼 좁아졌다는 말이다. 하지만 멀리서 보게 되면 산 전체를 볼 수 있다. 우리가 등산을 하다보면 산속으로 들어가 졸졸 흐르는 계곡물과 온갖 풀과 나무를 보게 된다. 이는 사물을 아주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미시적인 안목을 지닐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산속을 나와 멀리 평야에서 산을 보게 되면 산의 생김새와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게 된다.
물이 깊으면 그 안의 것들을 볼 수 없다. 얕은 물은 속이 훤히 들여다보이기에 금방 그 안의 것들이 들여다보인다. 물이 깊다는 것은 바로 숲속의 옹달샘, 내, 강 등에서 흘러나오는 모든 물을 거두어들이기 때문이다. 깊은 물에는 온갖 종류의 고기들이 다 모여들게 된다. 작은 내의 몇 안 되는 고기들과는 다른 면이 있다.
우리의 사고도 멀리 볼 수 있는 산과 같이 깊은 물처럼 그런 면을 지녀야 한다. 속이 비게 되면 소리가 나게 되고, 꽉 차면 소리가 나질 않는다. 배움도 마찬가지이다. 웅숭깊은생각이나 뜻이 크고 넓다 도량을 지녀야 하고 높은 산과 같은 웅대함을 지녀야 한다. 작금의 지식이란 크게 넓지도 않고 깊지도 않은 면이 있다. 인터넷을 검색하다보면 어떤 지식이나 사실들이 왜곡되고 본래의 뜻과는 달리 쓰이는 것을 심심찮게 본다. 배우는 이로써 가장 경계를 해야 할 것이다. 不學博依 不能安詩라고 한다. 『예기』 「학기」에 보이는 대목이다. “널리 사물의 뜻과 이치가 지니는 그 속성과 그에 따른 숨은 바를 배우지 않으면 시를 풀어낼 수가 없다.”는 말이다. 어떤 사물이나 문장을 대할 때면 그 내면을 일거내는 게 대모중요하다는 말이다.
단기 4344년 1월 25일
불이당 頓首 拜上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해의 끝에서 /박세당(朴世堂)|-28 (0) | 2011.01.29 |
---|---|
매창과 유희경의 사랑시 (0) | 2011.01.27 |
歸去來辭(귀거래사) / 도연명 (0) | 2011.01.23 |
황진이 詩 : 夜思何(야사하) !!-28*3 (0) | 2011.01.21 |
새해를 맞이하며 (오언율시) (0) | 201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