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붓 길, 역사의 길’ 특별전
이토 히로부미·친일파 서로 ‘신선’이라 치켜세운 칠언시 처음 공개돼
살아서는 무릎을 맞댈 수 없었던 인물들이 죽은 뒤 글씨로 모였다. 안중근(1879~1910) 의사가 남긴 송곳 같은 글씨 맞은쪽에 이토 히로부미(1841~1909)의 맥없이 흐무러진 필적이 붙어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98)은 당대에 난을 잘 치기로 이름났다. 난이 군집을 이룬 이 ‘총란도(叢蘭圖)’에는 ‘서로 뭉쳐 모든 꽃의 종주가 될 수 있으리’란 화제가 붙어있다. 비단에 먹, 1886. | |
이토 히로부미 조선통감부 통감이 한·일 강제병합을 신선들 놀음이자 양국의 화기애애한 일로 쓴 한쪽에 친일파인 김윤식·조중응·박제순이 그 내용을 찬양한 글로 화답한 ‘칠언시’, 종이에 먹, 1908. | |
나라를 팔아먹은 이와 지키려는 이가 갈등한 20세기 초의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듯 전시는 대척점을 이룬 다섯 쌍의 조합으로 이뤄졌다. 쇄국과 개항, 개화와 척사, 매국과 순절, 친일과 항일, 남북 공동정부수립과 남한 단독정부수립이다. 조형성과 메시지가 한 몸을 이룬 서예에 시대상과 인물상이 거울처럼 비친다.
이번 전시에 처음 공개된 이토 히로부미의 ‘칠언시’가 대표 예다.
1905년 ‘을사늑약’, 1907년 ‘정미 칠조약’으로 기고만장한 이토는 한·일 강제병합의 앞잡이들을 ‘신선’이라 칭하며 ‘양국에 화기가 오랫동안 맴도리라’고 우쭐댄다. 더 가관인 건 이 시 한 쪽에 오그라든 글씨로 맞장구를 친 ‘을사오적’의 한사람인 김윤식과 매국노 조중응·박제순이다. 덩달아 ‘신선’을 들먹이는 그들 글엔 이미 조선은 없다.
이토의 또 다른 ‘칠언시’에는 개화파였던 박영효의 시도 붙어있다. 나라의 목숨이 흔들릴 때 변혁과 변절 사이에 섰던 지식인의 고뇌를 보여주는 증거다.
친일파 이완용(1858~1926)의 ‘칠언절구’는 과연 글씨 쓰기가 수양의 도구일까, 되돌아보게 만든다. ‘집집마다 일본 천황을 모시는 일이 천추의 사업이니 바로 공명을 이룰 때가 지금이다’는 글귀를 보면 나라 망하는 소리가 붓 끝에 적나라하다. 아무리 글씨가 좋아도 내용이 이렇다면 그것이 명필일까. 손바닥만한 명함에 애끓는 유서를 남기고 자결한 민영환(1861~1905)의 글씨는 잉크 자국이 핏자국처럼 보일 만큼 맺고 끊어 쓴 서체가 절절하다.
전시를 기획한 이동국 서예박물관 수석큐레이터는 “망국→분단→통일로 이어지는 한국 현대사를 글씨로 더듬으며 오늘의 우리를 비추어보자는 뜻을 담았다”고 말했다. 8월 31일까지(매주 월요일 휴관), 02-580-1660.
정재숙 선임기자
'문화,예술 > 서예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하는 양심 (0) | 2010.08.12 |
---|---|
빨리빨리 문화 (0) | 2010.07.30 |
서예세상 문인화 작품 (0) | 2010.07.18 |
법정스님의 현대서예 (0) | 2010.07.09 |
松栢長靑 / 金泳三 (0) | 201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