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서예실

書卷氣/文字香/季節扁 山水畵題=(秋類)

淸潭 2010. 3. 10. 20:06
 

書卷氣/文字香/앞에 서려면 알아야 할것/季節扁 山水畵題=(秋類)

 

 

季節扁山水畵題

(秋類)

-四字-

1--天高氣淸(천고기청)-가을하늘은 높고 가을 공기는 맑다.

    2--  雲高氣靜(운고기정)-가을구름이 높게 비끼었는데 가을 공기는 마냥 맑다.

3-- 雲高氣靜(운고기정)-가을 구름이 높게 비끼었는데 가을 공기는 마냥 맑다

4-- 天氣淸和(천기청화)-가을하늘의 공기는 맑고도 온화하다.

5-- 天徉人健(천양인건)-하늘은 서늘해지고 사람들은 기운이 난다

6--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대 낯 같이 밝고 바람은 맑다

7--秋物感人(추물감인)-가을의 풍물은 사람을 다감하게 한다/

8--江山淸趣(강산청취)-강산의 맑은 풍취.

9--秋露如珠(추로여주)- 가을 이슬이 구슬 같다

10-淸楓白露(청풍백로)-푸른 신 나무와 흰 이슬 얼마 안 있어서 단풍이 들것이다

 

-五字-

1-- 鶴聲秋更高(학성추갱고)-학이 구천에서 우는 소리와 함께 가을하늘은 더욱 높고 맑다.

2-- 松潭月色凉(송담월색양)-소나무그림자가 잠긴 못에 달빛이 서늘하다.

3---秋聲天地間(추성천지간)-온 천지에 가을소리가 들린다.

4-- 菊花寒更香(국화한갱향)-국화는 날이 찰수록 향기롭다.

5-- 山意向秋多(산의향추다)-산의 정취는 가을로 접어들면서 많다.

6-- 千峰黃葉村(천봉황엽촌)-황엽이 아름다운 천 봉.만 허.속에 마을이 있다.

7-- 淸秋竹露深(청추죽로심)-맑게 갠 가을 아침의 죽림에 이슬이 깊다

8-- 秋色靜中生(추색정중생)-추색은 조용한 중에 생긴다

9-- 秋樹翻黃葉(추수번황엽)-단풍이든 나무에 가을바람이 분다.

10--山亭秋色滿(산정추색만)-산정에 가을 빛이 가득하다.

11- 黃葉夕露深(황엽석로심)-황국에 저녁 이슬이 깊다.

12- 大淸曉露徉(대청효로양)-가을하늘이 맑게 개니 새벽 이슬이 서늘하다.

 

 

-六字-

1-- 明月照白雲籠(명월조백운롱)-맑은 달은 비치고 흰구름이 끼도다.

2-- 風月相和寂寥(풍월상화적요)-가을 의 바람과 달은 적적하고 고요한 풍전을 자아 낸다.

3-- 紅荷一點淸風(홍하일점청풍)- 붉은 연꽃 한 송이에 맑은 바람이 인다.

4-- 白露降寒蝉鳴(백로강한선명)-흰 이슬은 내리고 쓰르래미 는 운다.

 

 

-七字-

1-- 靑山白水映紅楓(청산백수영홍풍)-푸른 산 흰물결에 단풍이 환하게 붉다.

2-- 蘭在幽林亦自香(란재유림역자향)-난초는 유 벽한 산속에 있어도 또한 스스로 향기롭다.

3-- 楓葉蘆花秋興長(풍엽노화추흥장)-빨간 단풍과 하얀 갈대에 가을 흥취가 무궁하다.

4-- 草木黃落雍南歸(초목황락옹남귀)-초목은 黃落하고 기러기는 남 족으로 날아간다

5-- 江邊楓落菊化黃(강변풍락국화황)-강가에 단풍잎은 떨어지는데 국화는 누른 빛이 한창이다.

6-- 風舟載月浮秋水(풍주재월부추수)-가을밤 달은 밝은데 미풍에 배를 띄운다.

7-- 峰頭片片秋雲白(봉두편편추운백)-봉우리 끝에 조각 조각가을 철의 흰구름이 떠있다

8-- 愁心落葉共紛紛(수심낙엽공분분)-수심과 낙엽이 함께 분분하다.

9-- 露氣蒼凉水氣淸(노기창양수기청)-이슬기운이 쓸쓸하고 물 기운은 맑다.

10--滿庭黃葉對秋山(만정황엽대추산)-들에 가득한 황엽이 가을 산을 대하고 잇다.

 

 

-八字-

1--白露橫江(백로횡강) 水光接天(수광접천)-백옥 같은 이슬은 강 일대에 퍼졌고 물빛은 멀리 하늘에 닿았다.

2--淸風徐來(청풍서래) 水波不興(수파불흥)- 수면에 물결도 일어나지 않고 맑은 바람이 조용히 불어오는 초 추의 풍경.

3--凉秋九月(양추구월) 塞外草衰(색외초쇠)-양 추 구월이 되면 국경의 성벽밖에는 풀이 시들어 말라버린다.

 

-十字-

1--茶香秋夢後(차향추몽후) 松韻晩吟時(송운만음시)-꿈이 깨니 차 향기가 높고 저녁때 시를 읖 노라니 소나무소리가 운치 있도다.

2--淸霜紅碧樹(청상홍벽수) 白露紫黃化(백로자황화)-맑은 서리가 내리니 나무마다 붉은 빛이요 푸른빛이 가지각색이요 흰 이슬이 매치니 자주국화 누른 국화가 가지각색이다.

3--楓林一葉下(풍림일엽하) 露草百蟲鳴(로초백충명)-단풍수풀에 한 잎이 떨어지고 이슬 풀에는 온갖 벌래 가 운다.

4--山靜竹生韻(산정죽생운) 池淸蘭自香(지청란자향)-산이 고요하니 재 나무에 풍 음이 생기고 못이 맑으니 언덕의 난초가 홀로 향기를 풍긴다.

5--淸溪一片月(청계일편월) 萬葉雨聲愁(만엽우성수)-물 맑은 시내는 한 조각의 달이요 키 큰 대나무가 보이는 사방의 산에는 구름이 끼어 있다

6--詩情秋水遠(시정추수원) 晝意晩山銘(주의만산명)-시정은 추수 물과 함께 멀고 주의는 만산과 함께 밝다.

7--樹色入秋老(수색입추로) 山容得雨佳(산용득우가)-나무 빛이 가을에 들면서 늙고 산모양은 비가 와서 아름답다.

8-- 秋聲入黃葉(추성입황엽) 暮色起蒼松(모색기창송)-가을소리는 누른 잎으로 들어가고 저문 빛은 푸른 소나무에서 생긴다

9-- 萬壑樹聲滿(만학수성만) 千崖秋氣高(천애추기고)- 만학에는 나무소리가 가득하고 모든 낭떠러지에는 청 고한 가을 기운이 감돈다.

10- 樹樹皆秋色(수수개추색) 山山惟落暉(산산유락휘) 나무마다 다수 색이요 산마다 오직 落暉 로다 낙휘는 석양.

11-夢破千山月(몽파천산월) 凉生一榻風(양생일탑풍)-천산의 달빛에 잠을 깨보니 침실에 바람이 불어 서늘한 기운이 감돈다.

 

-十二字-

1--漠漠黃蘆覆水(막막황로복수) 時時白鷺驚船(시시백로경선)-황록은 누렇게 마른 갈대 활로는 끝없이 수면을 덥고 때때로 백로는 배에 놀라 날아간다.

2--林邊畿株紅樹(임변기주홍수) 屋外四面靑山(옥외사면청산)-임간에는 몇 주의단풍이 아름답고 옥외에는 사방에 청산이 둘러있다.

3--蒼障秋雲更白(창장추운갱백) 靑林霜葉偏紅(청림상엽편홍)-푸른 연봉의 가을 구름은 한층 희고 푸른 숲 사이의 단풍은 유난히 붉다.

 

-十四字-

1- 中秋雲淨出凔海(중추운정출창해) 半夜露寒當碧天(반야로한당벽천)-중추에 구름이 개니 창해에서 떠오르고 한밤중의 이슬이 차니 푸른 하늘에 걸려있다.

2- 秋聲不盡蕭蕭葉(추성부진소소엽) 夕景無多淡淡山(석경무다담담산)-바람이 잠잠히 나뭇잎을 지나니 추성이 끊이지 않고 담담한 산에는 석양이 비칠 뿐이다.

3- 風林落葉秋聲動(풍림낙엽추성동) 露草鳴蛩夜氣凉(로초명공야기양)-바람 부는 수풀에 낙엽이 추성을 연주하고 이슬 내린 풀 속에 우는 귀뚜라미는 야기를 서늘하게 한다.

4- 秋山破夢風生樹(추산파몽풍생수) 夜水明樓月在湖(야수명루월재호)-가을 산이 꿈을 깨우니 바람소리가 나무에서 나고 밥물이 루를 밝히니 달이 호수에 떠있다.

5- 江㫠楓葉初帶霜(강반풍엽초대상) 渚邊菊花亦己黃(저변국화역기황)-강가 신 나뭇잎은 첫서리에 붉어졌고 언덕 위 국화도 벌써 누르렀다.

6- 峰頭片片秋雲白(봉두편편추운백) 不擬虛亭鶴往還(불의허정학왕환)-산봉우리 위에 편편이 흰 가을구름은 빈 정자에 학이 오래하는 데에 거리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