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처럼 형광단백질을 이용하면 특정 단백질이 작용하는 위치와 기능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첨단 생명공학의 중요한 실험도구로 사용된다.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연구소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 미 컬럼비아대 마틴 챌피 교수, 미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로저 첸 교수는 형광단백질 발견 및 연구 공로로 8일 노벨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로이터 AP 연합뉴스 |
'참고실 > 신비로운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이 빚어 낸 신비 (0) | 2008.12.13 |
---|---|
우포늪 근처 가정집에 핀 우담바라(?) (0) | 2008.11.01 |
새롭게 발견된 형형색색 바다생물들 (0) | 2008.09.21 |
달마상과 똑같네 (0) | 2008.09.18 |
沙漠의 新奇한 植物들 (0) | 200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