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요즘소식

17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는 얼굴들

淸潭 2008. 2. 25. 09:33

17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는 얼굴들

 

단상의 외교사절 보면 커가는 한국 보인다

역대 취임식의 국제정치학
17대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는 얼굴들

김수정 | 제50호 | 20080224 입력 블로그 바로가기
1948년 7월 24일 오전 10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의 취임식이 서울 중앙청 광장에서 열렸다. 보슬비가 내렸다. 한복을 입은 이승만 대통령은 오른 손을 들고 국민에게 드리는 취임 선서와 남북의 평화통일을 희구하는 내용의 취임사를 낭독했다. 취임식 주빈석에는 미 주둔군사령부 하지 중장과 미 군정의 고위 관료들이 자리를 차지했고 당시 신문들은 1면에 이들의 모습을 실었다. 60년이 흘렀다. 세계 경제 10위권에 올라선 민주화된 대한민국의 제17대 이명박 대통령이 25일 취임한다. 4만5000명에 달하는 취임식 손님 가운데는 4개국 정상을 비롯해 257명의 외빈이 참석한다. 취임식 단상·단하에 앉은 외빈들의 면모와 구성, 취임식 막후의 외교전은 해방 이후 한국의 시대상과 국제 무대에서의 위상을 투영해 왔다.
그래픽 크게보기

매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자랑해온 게 있다. ‘역대 최대 규모 축하사절단’이 온다는 것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커지면서 외빈 수도 는 게 사실이고 이번에도 그렇다. 규모도 규모지만 현직 정상이 4명이나 참석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 훈센 캄보디아 총리, 엥흐바야르 남바린 몽골 대통령, 이슬람 카리모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등이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탕자쉬안 중국 국무위원, 빅토르 주프코프 러시아 총리, 유수프 칼라 인도네시아 부총리 등 고위 인사들도 대거 온다.

2000년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와 200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등을 담당했던 한 외교관은 “두 행사도 이번 취임식의 규모나 격을 따라가긴 힘들다”고 한다.

왜 그럴까.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한국의 위상, 글로벌 코리아를 지향하는 새 정부에 대해 각국이 저마다 거는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외교부 당국자는 “캄보디아나 몽골·우즈베키스탄 같은 나라들은 한국을 자국의 국가발전 모델로 삼고 있어 아주 적극적”이라고 말한다.

특히 이번 취임식에서 눈에 띄는 나라는 일본이다. 후쿠다 야스오 총리와 나카소네 야스히로, 모리 요시로 전 총리 등 전·현직 총리 3명이 온다. 20여 명의 의원을 포함해 80여 명이 참석한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 국회가 서울로 옮겨온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지난 5년간 경색된 한·일관계가 풀릴 것이란 기대감의 반영이라는 분석이다. 관계 경색을 불러온 책임이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에 있는데도, 새 정부에 적극성을 보임으로써 은근히 노무현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는 것 같아 불쾌하다는 시각도 있다. 러시아 총리의 참석도 주목된다. 지난번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 때는 세르게이 미로노프 연방상원의장이 왔다. 총리급 인사가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는 핵 프로그램 신고 문제로 교착된 북핵 문제의 돌파구를 찾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5년 전에도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와 급박한 북핵 이슈를 협의했다. 당시 취임식에는 고이즈미 일 총리와 첸치천 중국 부총리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취임식 참석을 둘러싼 ‘초청장 발송’도 각 정권의 성격과 국가 위상을 보여준다. 김영삼 정부 이후로는 우방국이 먼저 축하사절을 보낼 수 있느냐고 요청해 왔다. 체재 경비도 참석자 부담 원칙이다. 이번에도 국가 정상급에 준하는 10여 명(항공료 제외)만 의전상 호텔비와 식사대·차량 등을 제공한다.

하지만 60~70년대는 달랐다. 우리 측이 먼저 사절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5~9대 대통령을 지내며 다섯 번의 취임식을 치른 박정희 대통령 때가 그랬다. 북한과 대치 외교를 펼치던 중이었다. 국제사회에서 한 나라의 표도 중요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를 상대로 초청외교를 펼쳤다. 가봉의 봉고 대통령이 우리 귀에 익숙한 것도 이 때문이다. 관행은 국제사회의 정통성 확보가 시급했던 전두환 대통령 시절까지 계속됐다.

김대중 정부는 98년 외환위기 충격파 속에 출범했다. 따라서 투자 유치에 도움이 되는 인사들에게 비중을 뒀다. 미국의 투자 전문가인 퀀텀펀드사의 조지 소로스 사장이 방한했고, 미국의 팝가수 마이클 잭슨도 인천 매립지에 위락단지 투자를 한다며 한국을 찾았다.

이 밖에 폰 바이츠제커 독일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 전 필리핀 대통령 등 7명의 전직 수반급 인사와 미국의 인권운동가인 제시 잭슨 목사 등이 외빈으로 왔다. 인권운동으로 국제사회에 이름이 높았던 김 대통령의 지인들이다.

94년 김영삼 대통령 취임식은 외교적 측면에서 보면 탈냉전의 무드가 깔린 취임식으로 치러질 법했다. 노태우 대통령이 앞서 중국·소련과 수교한 뒤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대통령은 ‘문민’을 강조했다. 과거 군사정부가 정통성 확보를 위해 해온 관행에 선을 그었다. 우방국에 축하사절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우고 주한외교단만 취임식에 초청했다. 일부 인사만 국회의 초청 등을 받아 참석했을 뿐이다.

노태우 대통령은 정부 수립 후 16년 만에 직선제로 탄생한 정부라는 점에 무게를 실었다. 취임식장을 ‘체육관’에서 민의의 상징인 국회의사당 앞뜰로 옮겼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초청외교에 공을 들인 끝에 91개국 300여 명의 외빈이 참석했다.

10·26 사건 이후 12·12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전두환 대통령은 두 차례 취임식을 치렀다. 쿠데타 직후인 80년 9월 1일에는 주한 대사들만 초청했다. 1981년 3월 헌법을 개정해 12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전두환 대통령은 아프리카·아시아·중동국가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초청외교를 펼쳤다. 취임식 두 달 전 워싱턴을 방문해 레이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성공하면서 한층 자신감을 얻었던 때다. 당시 취임식에 관여한 한 외교관은 “정통성 확보를 위한 안간힘이었다”고 회고한다. 하지만 이때는 일본도 총리를 보내지 않았고 미국도 찰스 퍼시 미 상원 외교위원장만 참석했다.

박 대통령이 서거한 지 두 달 뒤 10대 대통령에 오른 최규하 대통령도 주한 외교사절만 초청했다. 초대장을 우방국에 돌리지 않았다. 실권은 전두환 국보위 상임위원장이 쥐고 있었고 취임식은 축제가 아니라 숙연한 분위기였다.

61년 5·16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한 박 대통령의 취임식 외교는 역동적이었다. 63년 취임식 때는 오노 반보쿠 일 자민당 부총재의 취임식 참석을 계기로 한·일 국교 정상화 협상 핵심 쟁점이던 평화선 문제와 어로문제 등에 전격 합의하기도 했다. 6대 취임식부터 주빈들의 격은 올라갔다. 미국은 부통령이, 일본은 총리가 참석했다.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밀접해진 한·미관계 분위기를 반영한다. 67년 취임식 때는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깊이 관여한 존 험프리 부통령이 취임식에 참석, 파월 국군에 대한 장비 현대화 문제 등을 협의했다. 일본의 사토 에이사쿠 총리, 치우 베트남 국가지도위 사무총장 등과 연쇄 다변외교 무대가 펼쳐지기도 했다.

71년 7대 취임식에서는 59개국 183명의 외교사절이 참석한 화려한 취임식 외교가 펼쳐졌다. 하지만 1년 반 뒤 유신헌법을 통과시킨 뒤 본격적인 장기집권 체제에 들어갔다. 78년 12월 9대 취임식 때엔 우방국 사절을 초청하지 않았다. 지미 카터 미 행정부와 박정희 정부는 인권문제, 철군문제, 박동선 사건 등으로 혼미와 마찰을 거듭했다.

60년 4·19 의거로 세워진 2공화국에서 4대 대통령에 취임한 윤보선 대통령의 취임식은 당시 혼란상을 반영하듯 황당하게 치러졌다. 국무원과 민의원 간 혼선으로 주한 외교사절들에게 초청장을 발송하지 않았고, 과도정부 장관과 사법부 대표들도 불참한 가운데 국회의사당(현 서울시의회 회관)에서 치러졌다.  
기사 스크랩 확대축소프린트목록보기
 

'쉼터 > 요즘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에 보는 반딧불이  (0) 2008.02.25
태안서산주민 서해 부활제  (0) 2008.02.25
새 주인 맞아 달라지는 청와대  (0) 2008.02.25
제철만난 새조개  (0) 2008.02.23
대통령실 비서관 내정자  (0) 2008.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