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 벽화 고구려 고분 벽화 닮은 몽골 알타이 암각화 ★*… 동북아역사재단은 지난해 몽골 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몽골 고비사막 알타이 암각화에 대한 조사 결과 자료집을 30일 발간했다. 이 지역의 암각화가 국내외 학계에 보고되기는 처음이다. 사진은 이흐 베르흐 암각화 유적지에..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31
덕수궁 수문장 교대식 종 목 : 사적 제124호 명 칭 : 덕수궁(德壽宮)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수량/면적 : 63,190㎡ 지 정 일 : 1963.01.18 소 재 지 : 서울 중구 정동 5-1 시 대 : 조선시대 소 유 자 : 국유 관 리 자 : 덕수궁 지금의 덕수궁(德壽宮)은 원래 경운궁(慶運宮)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다. 1592년(선조25)..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13
순정황후 윤씨친가 남산골 한옥마을의 만추 7. 순정황후 윤씨친가 (마지막 회) 다섯 회로 마무리 짓겠다고 생각하고 시작했던 것이 의외로 많은 양의 사진 때문에 일곱 번으로 연장이 되어 버렸다. 기록을 남기는 것을 주목적으로 했기때문에 사진의 예술성은 어느 정도 희생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내 블로그의 대다..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12
숭례문 복원용 소나무 벌채 시작 숭례문 복원용 소나무 벌채 시작 ★*… 문화재청이 숭례문과 광화문의 복원에 쓰일 소나무 벌채가 10일 강원도 삼척시 준경묘에서 시작됐다. 고유제 행사가 끝난 뒤 목수가 "어명이요"를 외치며 벌채할 금강소나무에 도끼질을 하고 있다. 이날 고유제는 소나무의 영혼을 달래고, 광화문 및 숭례문 복원..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11
윤영택 재실 남산골 한옥마을의 만추 6. 해풍부원군 윤영택 재실 조선의 마지막 임금, 27대 순종. 대한제국의 두번 째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순종황제. 1910년 경술합방까지 만 3년 남짓 밖에 재위에 있지 못했다. 순종이 황태자 시절 첫 태자비 순명황후(추존)와 사별한 후 동궁계비로서 들인 이가 바로 윤택영의 딸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09
박영효 가옥 -안채,별당채 남산골 한옥마을의 만추 5.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 -안채,별당채 박영효 가옥의 안채 2002년인가 2003년인가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한옥마을을 처음 찾았던 날, 이 곳에서는 조선시대의 성(性)문제를 다룬 영화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이 한창 촬영중이어서 박영효 가옥만은 관람이 허용되지 않고 있..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09
박영효 가옥 -사랑채 남산골 한옥마을의 만추 4.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 -사랑채 박영효. 조선의 개화사에 그 이름과 족적을 크게 남긴 인물이다. 철종의 부마(임금의 사위)... 개화파의 일원으로 일본으로 수신사로 가면서 태극기를 최초로 사용한 인물... 그러나 일제의 협력자로서 일본의 작위(후작)를 받고 대표적인 친일..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08
오위장 김춘영가옥 남산골 한옥마을의 만추 3. 오위장 김춘영가옥 오위장이라 함은 조선시대 중앙군이었던 5위(五衛)의 장을 말한다. 초기에는 종 2품의 벼슬이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기능의 축소에 따라 정 3품으로 내렸고 1882년(고종 19년) 군제개혁을 하면서 폐지되었다. 5위는 중위(中衛)인 의흥위(義興衛), 좌위(左衛)인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08
도편수 이승업가옥. 도편수 이승업가옥. 동입 서출...(東入西出) 아래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전통 건축이나 유적을 돌아볼 때의 관례라고 한다. 여러 채의 건물들이 어우러져서 조성된 남산골 한옥마을도 이 관례를 따라서 관람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여느 박물관이나 미술관같은 곳을 관람할 때 관람객들이 서로 뒤.. 참고실/우리의옛것 2008.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