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사구게(四句偈) 금강경 사구게(四句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5분)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있는 바 상은 다 허망하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제10분)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1.09
고왕경-관세음보살구생경 (高王經-觀世音菩薩求生經) 고왕경(관세음보살구생경) 나무 관세음보살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불국유연 불법상인 상락아정 유연불법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시대신주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시대명주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시무상주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시무등등주 나무 정광비밀불 법장불 사자후신족유왕불 불고수미등왕불 법호..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1.06
四十二章經 全文 (42장경 전문) 四十二章經 世尊成道已 作是思惟 離欲寂靜 是最爲勝 住大禪定 降諸魔道 於鹿野苑中 轉四諦法輪 度憍陳如等五人 而證道果 復有比丘所說諸疑 求佛進止 世尊敎敕 一一開悟 合掌敬諾 而順尊敕 佛言 辭親出家 識心達本 解無爲法 名曰沙門 常行二百五十戒 進止淸淨 爲四眞道行 成阿..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1.06
普賢行願品 全文 (보현행원품 전문)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 普賢行願品 爾時 普賢菩薩摩詞薩 稱歎如來 勝功德已 告諸菩薩 及善財言 善男子 如來功德 假使十方一切諸佛 經不可說不可說 佛刹極微塵數劫 相續演說 不可窮盡 若欲成就 此功德門 應修十種 廣大行願 何等 爲十 一者 禮敬諸佛 二者 稱讚如來 三者 廣修供養 四者 懺..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8.01.06
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 [法寶宗刹 伽倻山 海印寺] [해인사 팔만대장경] 세계적 문화 유산 八萬大藏經 네가 있어 내가 있네 마음이 번거로우면 세상이 번거롭고, 마음이 밝고 깨끗하면 세상 또한 밝고 깨끗해진다. 얼룩새의 몸뚱이는 하나지만 몸의 색깔은 수없이 많듯이 사람 역시 몸은 하나지만 마음의 얼룩은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7.05.24
‘쌍둥이 다라니경’…또 하나의 ‘두루마리 유물’ 발견 ‘쌍둥이 다라니경’…또 하나의 ‘두루마리 유물’ 발견 동국대 개교80주년기념사업회가 펴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영인 및 해설’에 발견 당시의 다라니경으로 소개된 사진. 박지선 용인대 문화재보존학과 교수는 25일 “이 유물은 별개의 두루마리로, 또 하나의 다라니경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7.03.26
반야심경(般若心經) 全文 반야심경(般若心經)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7.01.09
[스크랩] 반야심경 강의본 반드시 복사하시길.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玄裝(602~664년)> <장산 우리말역>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스스로 있는 모습을 보는 보살은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에 오온이 공함을 비춰 보아 일체 고액에서 벗어나..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6.12.18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密多心經)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도일체고액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度一切苦厄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역부여시 사리자 시..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6.11.11
불경의 이해 불경은? 1. 반야심경(般若心經) 반야심경은 경전 가운데 가장 짧고, 가장 중요한 경이다. 반야는 범어(梵語)로 '브라자나' 즉 지혜라는 것으로 미흑한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 차별의 세계에서 무차별의 세계에 이르게 되면 그것은 곳 공(空), 즉 자유라는 것이다.공이란 밝은 거 울과 같은 것으로 거울.. 불교이야기/불교경전 2006.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