玉石混淆(옥석혼효)
동진(東晉:317∼420) 사람 갈홍(葛洪)의 저서『포박자(抱朴子)』는 내편 (신선의 도를 기술)과 외편(정치와 도덕)으로 되어 있다.
〈외편(外篇)〉 상박(尙博)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시경(詩經)이나 서경(書經)이 도의(道義)에 있어서 대해(大海)라 한다면 제자백가 (諸子百家: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의 글[書]은 그것을 보강하는 냇물의 흐름이라 할 수 있으며 방법은 달라도 덕을 닦는 데는 변함이 없다.
옛사람들은 재능을 얻기 어려움을 탄식하여 '곤륜산(崑崙山:중국 전설상의 산) 의 옥이 아니라 해서 야광주(夜光珠)를 버리거나 성인(聖人)의 글이 아니라 해서 수양에 도움이 되는 말'은 버리지 않았다.
그런데 한(漢), 위(魏) 이래 '본받을 만한 좋은 말[嘉言]'이 많이 나와 있는데도 식견이 좁은 사람들은 자의(字義) 해석에만 사로잡혀 오묘한 점을 가볍게 보며 도외시한다. 또한 소도(小道)이므로 일고의 가치도 없다거나 넓고 깊어서 사람들의 머리를 어지럽게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되고 많은 색깔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무지개를 이룬다는 것도 모르는 것이다.
또한 세상 사람들이 천박한 시부(詩賦)를 즐기는가 하면, 뜻 깊은 자서[子書:제자(諸子)의 서(書)]를 가볍게 여기며 유익한 금언(金言)을 어리석은 말로 여기고 헛되고 달콤한 말에는 기뻐한다.
그러므로「참[眞]과 거짓[僞]이 전도(顚倒)되고 '옥과 돌이 뒤섞이며[玉石混淆]' 상동[속악(俗樂)]을 광악[아악(雅樂)]과 마찬가지로 여기고 아름다운 옷[龍章-용무늬 옷]도 누더기[卉服-풀로 엮은 옷]로 여긴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宥坐之器(유좌지기) (0) | 2013.07.19 |
---|---|
焚書坑儒(분서갱유) (0) | 2013.07.19 |
玉石俱焚(옥석구분) (0) | 2013.07.18 |
報怨以德(보원이덕) (0) | 2013.07.17 |
白面書生(백면서생) (0) | 201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