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신비로운것

반투명개미? 외

淸潭 2013. 6. 9. 09:24

'Netizen Photo News'.
‘반투명 해적 개미’ 발견돼
작성: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 독일의 곤충학자들이 필리핀에서 신비하고 만화 같은 외모의 새로운 개미 종을 발견해 29일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해외 언론의 화제에 올랐다. 레겐스부르크 대학교의 과학자는 그늘진 물가에서 찾아낸 해적 개미의 학명은 ‘카르디오콘딜라 피라타’ 즉 해적 개미이다. 눈에 붙어 있는 검은 반점이 애꾸눈을 덮은 해적의 안대처럼 보여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서식지가 어둡고 몸이 반투명에 가깝기 때문에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반투명한 몸은 그렇지 않아도 작은 몸을 더욱 작게 보이게 해서, 포식자들을 ‘단념’시키는 효과를 낳을 것이라는 게 연구자의 추정이다.
원본글:중앙닷컴| 닷컴가기.
● 작성:Daum Cafe. 한국네티즌본부.
'Netizen Photo News'.
사슴벌레 "한번 물려볼래?"
작성: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독일 브리젠의 숲에서 6일(현지시간) 사슴벌레 한 마리가 나무 그루터기에 앉아 햇빛을 쬐고 있다. ⓒ AFP=News1
원본글:중앙닷컴| 닷컴가기.
● 작성:Daum Cafe. 한국네티즌본부.
'Netizen Photo News'.
외계 생명체 같은 벌레.... 빛나는 야광 바퀴 ‘재조명’
만든곳: 한국 네티즌본부 카페
★*… 야광 바퀴 벌레가 미국 언론들의 재조명을 받았다. 미국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의 ‘종 탐구를 위한 국제 협회’는 작년에 발견된 새로운 종의 동식물 중에서 TOP10을 선정해 23일 발표했다. 선발 기준은 새로운 종의 특성이나 희귀성 그리고 서식지 접근 난이도 등이다.

원숭이, 개구리, 제비꽃, 해면동물, 나비를 포함해 선정된 10종 중에서도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야광 바퀴 벌레다. 독성을 가진 딱정벌레를 흉내 내 포식자들의 공격을 피하려 했다는 것이 벌레의 야광 능력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이다.
원본글: 조선닷컴| 닷컴가기.
● 작성: Daum Cafe- 한국네티즌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