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9일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야단법석 시즌2’에는 50여 명이 참석해 깨달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사부대중이 함께 모여 한국불교의 현실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야단법석 시즌2’가 문을 열었다.

조계종 자성과 쇄신 결사추진본부(본부장 도법스님)는 9월19일 서울 조계사 도심포교 100주년 기념관에서 ‘생명평화 야단법석 시즌2’를 개최했다. 첫 번째 순서의 화두는 깨달음. 한국불교의 일반적 수행풍토 안에서 ‘신비화’ ‘고원화(高遠化)’되어 있는 깨달음의 뜻을 좀 더 쉽고 현실적으로 풀어보자는 취지였다.

결사추진본부장 도법스님이 ‘깨달음이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교육원장 현응스님과 즉문즉답을 나눴다. 교육원장 현응스님은 단도직입적으로 “깨달음이란 삶과 세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라고 규정했다.

스님은 “깨달음이란 부처님이 설한 지혜를 표현하는 정확한 용어가 아니다”라고 운을 뗐다. “중국 선종이 마치 깨달음이라는 지고의 경지가 있는 것처럼 설정하고, 이에 한국불교가 영향을 받았다”며 “깨달음이란 오늘날 우리들에게 어쩌면 무거운 질곡이자 함정”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도법스님

“꼭 신비로워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게 불교”

현응스님

“부처님의 가르침은 과학적이라기보다 합리적

자비와 윤리영역에선 도덕 입법기초로 활용될 것”

이어 “초기경전에 보면 깨달음(悟)이란 개념을 표현하는 구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며 “단지 당시 불교에서 지혜란 올바른 이해에 도달한다는 의미고 그것이 보리이자 정견”이라고 해석을 내놓았다.

아울러 “불행이란 삶과 세상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빚어진 습관과 행위, 제도에서 나타난다”며 “해탈이란 것도 고정관념과 잘못된 세계관으로부터의 벗어남”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단박에 깨닫는다는 돈오(頓悟)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실재적 사실에 입각한 과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이 치열한 수행으로 알아지는 것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또한 “원시불교에서의 참선이란 무념무상의 수행이 아니라 문자가 없던 시대 부처님의 육성법문을 마음속으로 되새기며 음미하는 일이었을 것”이라며 깨달음에 관해 실제적으로 바라볼 것을 주문했다.

물론 “삶과 세상이란 존재의 속성은 변화와 관계이며, 이를 연기와 무아, 공으로 정확하게 설명한 부처님의 가르침은 오늘날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지혜”라고 강조했다.

현응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과학적이라기보다 합리적”이라며 “특히 자비와 윤리라는 실천적인 영역에서 불교사상은 도덕과 입법의 기초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야단법석을 주관한 도법스님 역시 “불교가 꼭 신비로워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게 불교라는 사실을 인식시키기 위해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