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중문답(山中問答) § 問爾何事樓碧山 [문이하사서벽산] 묻노니, 그대는 왜 푸른 산에 사는가. 笑而不答心自閑 [소이부답심자한] 웃을 뿐, 답은 않고 마음이 한가롭네 桃花流水杳然去 [도화유수묘연거] 복사꽃 띄워 물은 아득히 흘러가나니, 別有天地非人間 [별유천지비인간] 별천지 따로 있어 인간 세상 아니라네. - 이백(李白, 701~762) - ![]() | ||
이 작품은 이백이 지은 詩
가운데서 특히 뛰어난 것으로 손꼽히는데,
극도로 절제된 언어 속에 깊은 서정과 뜻을
응축해 내는 절구(絶句)의 특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이 작품이 그려 내고 있는 것은 물론
속세를 벗어난 선경(仙景)이다. 이미 푸른 산에
동화되어 있는 화자는 번거로운 '말'의 세계,
'논리'의 세계를 뛰어넘은 상태로 그윽한 미소가 있을 뿐이다.
그 미소는 맑은 물에 떠가는 복숭아꽃의 이미지와 한데 어울려
'비인간(非人間)'의 경지를 느끼게 한다. 스스로 물음을
던질 수 있는 정신적인 여유와 자연에 동화되어 사는
삶에 대한 만족 속에서 동양적 자연친화사상을
역연(歷然)하게 드러내고 있다. 복숭아꽃의 이미지로
무릉 도원을 상기시키는 시적 표현과
물음에 답하지 않고 웃음을 짓는 태도가 어울린다.
도교(道敎)가 유행하던 진(晉)나라 때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도화원기(桃花園記)의 글 중에서
그 뜻을 얻어 쓴 것이다. 즉, 도화원기 중에 어떤 어부가
복사꽃 근처의 입구에서 별천지에 이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소재로 삼고 있다.
또한, 이 시는 한시의 특성 때문에 시어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면서도 극도로 절제되고 함축된 언어 속에
자신의 내면 세계를 끝없이 펼쳐 보이며, 세속과의 완전한
결별을 통해 이상적인 신선의 세계를 그려내고 있다.
세속에 대한 미련의 여부를 스스로의 질문을 통해서 확인하며,
'말 없는 미소'로써 세속과의 완전 결별이라는
대답을 대신하고 있다. 끝 부분에서는 계곡물을 따라 떠가는
복숭아꽃을 통해 이백이 일생 동안 꿈꾸던 신선의 세계,
곧 무릉 도원(武陵桃源)을 그려내며, 그 세계에 사는 신선처럼
자유와 낭만을 만끽하는 자신의 모습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 작품은 이백의 시 가운데서도 특히, 그의 호방한
작품 세계나 낭만적인 삶의 자세를 잘 보여 주고 있다
■ 이백(李白, 701~762).■
중국 성당기(盛唐期)의 시인.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
두보와 함께 당나라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되어
‘이두(李杜)’로 불리기도 했다. 자유와 이상을 찾아 방랑하였으며
낭만적이며 도가적인 세계에 탐닉하였다. 영롱한 음조(音調)와
솔직, 명랑하고 호방한 기상이 넘치는 천여 편의 시가 전한다.
|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 대보름 ..| (0) | 2010.02.28 |
---|---|
허난설헌의 규원가 (0) | 2010.02.24 |
귀촉도(歸蜀途) 우는 밤, (0) | 2010.02.24 |
매화 옛 등걸에 / 매화(梅花) (0) | 2010.02.20 |
[스크랩] [한시]산람(山嵐;산 아지랑이) / 허난설헌 (0) | 201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