蘭
紺碧垂香(감벽수향) - 벼랑에 짙푸른 난초가 향기를 풍기며 드리워 있다.
格貴品高(격귀품고) - 격조 높은 품위가 귀하기만 하구나.
濃薰淸艶(농훈청염) - 짙은 향기와 깨끗한 자태.
蘭竹雙淸(난죽쌍청) - 난초의 향기와 대나무의 맑은 그늘이 한데 어울렸다.
蘭竹蒼崖(난죽창애) - 푸르른 이끼가 낀 벼랑의 난초와 대나무.
空谷幽貞(공곡유정) - 고요한 골짜기에 난 그윽한 정절.
淡月香風(담월향풍) - 맑은 달빛 아래 향기로운 바람이 인다.
百媚千般(백미천반) - 온갖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한 다.
芳馥乘風(방복승풍) - 난 향기가 바람을 타고 풍겨온다
舞風臨流(무풍임류) - 바람에 춤추며 물 흐름을 굽어보는 난초.
幽香淸遠(유향청원) - 난의 그윽한 향기가 멀리까지 풍겨온다.
淸香倚石(청향의석) - 맑은 향기의 난이 바위에 의지 하여 피었다.
淸香自遠(청향자원) - 난의 향기가 멀리까지 풍긴다.
露溫風開(노온풍개) - 이슬에 윤기 내며 바람에 드러난다.
風露淸香(풍로청향) - 바람에 날리고 향기는 이슬을 머금었다.
懸崖幽芳(현애유방) - 벼랑에 난 난초가 풍기는 그윽한 향기.
迎風帶露(영풍대로) - 바람에 나부끼고 이슬을 머금은 난초
美人香草(미인향초) - 미인의 향기를 품은 난초.
素心自芳潔(소심자방결) - 소심란의 향기가 스스로 맑다.
幽蘭帶露香(유란대로향) - 그윽한 난초 이슬을 머금어 향기롭다.
自然之高介(자연지고개) - 높은 절개를 가졌도다.
淸寒蘭氣遠(청한란기원) - 맑고 찬 난의 향기가 멀리 풍긴다.
[7자]
空谷佳人抱幽貞(공곡가인포유정) - 빈 골짜기에 아름다운 사람(난초)이 그윽한 정절을 품고 있다.
空谷幽蘭人共馨(공곡유란인공형) - 빈 골짜기의 그윽한 난초가 사람마저 향기롭게 한다.
蘭在幽林亦自香(난재유림역자향) - 난초는 깊은 숲속에 있어도 스스로 향기를 내뿜는다.
幾葉幽蘭帶露香(기엽유란대로향) - 몇 잎의 그윽한 난초가 이슬을 머금어 향기롭다.
深谷香風泛紫蘭(심곡향풍범자란) - 깊은 골짜기에 부는 바람에 자란의 향기가 감돈다.
葉葉莖莖吐幽思(엽엽경경토유사) - 잎마다 꽃대마다 그윽한 생각을 내뿜는다.
幽谷無人獨自香(유곡무인독자향) - 깊은 골짜기에 사람이 없는데, 난초는 제 홀로 향기롭다.
自有幽香似德人(자유유향사덕인) - 난은 스스로 그윽한 향기가 있어 마치 덕 높은 사람과 같다.
蘭似君自蕙似大夫(난사군자혜사대부) - 난은 덕 높은 군자와 같고 혜초는 귀한 대부와 같다.
蘭芽吐玉柳眼桃金(난아토옥유안도금) -
난초는 백옥같이 흰 꽃송이를 토해 내, 버들눈은 황금처럼 노랗게 돋아난다.
琴瑟常在芝蘭自馨(금슬상재지란자형) -
거문고와 비파가 늘 같이 있어야 하듯이 지초와 난초는 스스로 향기롭다.
墨妙蘭不俗蘭香墨更精(묵묘난불속란향묵정사) -
먹의 선이 절묘하여 난이 속되지 않고, 난이 향기로워 먹이 더욱 정교하다.
[10자이상]
佳人幽谷裡 高士白雲中(가인유곡리고사백운중) -
아름다운 여인은 골짜기에 있고 뜻 높은 선비는 구름 속에 있다.
蘭以比君子 所貴者幽深(난이비군자 소귀자유심) -
난초를 군자에 비유하거니와, 그윽하고 싶은 곳에 있음을 귀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賢者天懷虛似竹幽人風致靜如蘭(현자천회허사죽유인풍치정여란) -
현자의 마음은 대나무처럼 속이 비어있고 은사의 모습은 고용하기가 난초와 같다.
雨後竝開香細細月中同立影珊珊(우후병개향세세월중동립영산산) -
비갠 뒤에 핀 꽃이라 향기가 은한데 달빛에 어린 그림자 스산도 하다.
'문화,예술 > 서예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君子를 漢字語로 표현-4.竹 (0) | 2009.10.10 |
---|---|
四君子를 漢字語로 표현-3.菊 (0) | 2009.10.10 |
四君子를 漢字語로 표현-1.梅 (0) | 2009.10.10 |
곧은, 흐르는, 휘날리는 … 오늘에 보는 조선 한글 서예의 활력 (0) | 2009.10.06 |
추사의 글씨 화법성세 대련 (0) | 200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