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우리의옛것

사라진 줄 알았던 이순신 유물 찾았다

淸潭 2015. 4. 7. 09:35


 

'Netizen Photo News'.
사라진 줄 알았던 이순신 유물 찾았다
작성: 한국 네티즌본부
▶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 국립해양박물관 소장 ‘충민공계초’와 대조… 동일문건으로 확인 이순신 전문가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은 국립해양박물관에 소장된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를 분석한 결과 그간 분실 상태로 알려진 충무공 이순신의 '장계 별책'이 바로 충민공계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사진은 충민공계초 본문. 국립해양박물관 제공

★*… (...) 장계별책은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시 왕실에 올린 보고서 68편을 모은 책으로, 국보 제76호로 지정된 ‘임진장초(壬辰狀草)’와 함께 덕수이씨 충무공 종가에 전해지던 것이다. 이순신 사후인 1662년 만든 필사본이다. ‘임진장초’ 외에 충무공이 올린 다른 장계들을 ‘장계 별책’으로 불러왔는데, 확인 결과 ‘충민공계초’였다는 것이다.

책의 내용은 정조 때 간행된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돼 알려져 있었지만 1920년대 일제가 충무공 관련 유물을 조사한 이후 원본 행방이 묘연했다. 이 때문에 1959년 ‘난중일기’와 ‘임진장초’, ‘서간첩’ 등 총무공 종가에서 보관하던 다른 유물이 국보로 지정될 당시 누락됐었다.

작성: 한국 네티즌본부
▶ 이순신 전문가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은 국립해양박물관에 소장된 '충민공계초'(忠愍公啓草)를 분석한 결과 그간 분실 상태로 알려진 충무공 이순신의 '장계 별책'이 바로 충민공계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사진은 충민공계초 표지. 국립해양박물관 제공

★*… 노 소장은 수 개월에 걸쳐 ‘충민공계초’를 분석하던 도중 1928년 일제가 ‘장계 별책’ 일부를 촬영한 원판 사진을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자료에서 찾았고, 책 실물과 사진을 대조해 두 책이 같은 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100여점 이상의 관련 사진 중 장계 사진을 찾아 책과 대조했는데, 얼룩까지도 똑 같은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총독부가 1928년 2월 이순신에 관한 문서와 유물 일체의 촬영을 마친 이후 1959년 사이 원본이 없어진 것으로 추정됐었다”고 설명했다. (...) 김혜영기자shine@hk.co.kr
☞ 원본글: 한국일보|Click. ● 닷컴가기.
변조금지 저작권자 도매인: 한국 네티즌본부

'참고실 > 우리의옛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실' 반상기   (0) 2015.04.10
한옥마을  (0) 2015.04.09
국립경주박물관  (0) 2015.04.03
금벅지’ 만들면 당뇨병 예방에 정력까지…운동 비법은?  (0) 2015.04.02
반환된 덕종어보  (0) 201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