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故事成語

截髮易酒(절발역주)

淸潭 2013. 6. 16. 10:33

截髮易酒(절발역주)

東晉 때 陶侃(도간)이라는 가난한 선비집에 친구가 찾아 왔으나, 창졸간에 차려낼 음식이 아무것도 없었다.


그래서 도간의 어머니는 자신의 머리털을 잘라 판 돈으로 술을 사서 아들 친구를 접대했다는 고사에서, 어머니가 되는 사람이 '賓客을 歡待함'을 이르는 말.


[선비]는 생각합니다. 가난한 처지에 벗이 찾아왔다. 창졸간에 차릴 것이 없다. 벗이라면 이러한 사정이야 이미 알고 있었으리라. 융숭한 접대를 바라지도 않을 것이고, 선비의 사귐에 박주산채(薄酒山菜)일망정 무슨 거리낌이 있으랴. 분수에 맞게 맞이하면 족하리라.


하지만 그 처지를 보는 어미의 마음은 또 다름이 있었으리라. 내색은 않을지라도 자식의 자존심을 생각하고 마음이 아팠으리라. 아마도 그 어떤 고상한 수식보다 그것이 진실에 더 가까울 것이다. 아무러면 어떠랴? 그것이 어미의 마음인 것을.


머리카락을 잘라서 술과 바꾸어 와서 술상을 차렸다. 그 사정을 자식이 몰랐겠는가? 찾아온 벗이 눈치채지 못했겠는가? 술상을 앞에 놓고 대작하는 마음이 편했겠는가?

예로부터 우리 속담에도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고 할 정도로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만큼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기가 어렵다지만, 어버이의 내리사랑이든 자식의 치사랑이든 그 선후 경중(先後輕重)을 떠나, 서로에 대한 지극한 마음이 있다면, 서로의 처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다면 그 이해를 바탕으로 서로의 처지를 배려한다면 그것으로 족할 것이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상첨화(錦上添花)  (0) 2013.06.18
兎死狗烹(토사구팽)  (0) 2013.06.16
行不由徑(행불유경)   (0) 2013.06.16
연비어약(鳶飛魚躍)  (0) 2013.06.16
온고지신 溫故知新  (0) 201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