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명이오~ 금강송 베시오` 사적 제117호 광화문 복원에 쓰도록 하라 `어명이오~ 금강송 베시오` 150년생 금강소나무 벌목 … 위령제도 지내 경복궁 광화문 복원에 사용될 금강소나무 벌채 행사가 29일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대관령 기슭에서 열렸다. 나무를 베기 전 벌채 대상 중 직경이 가장 큰 소나무(下) 앞에서 위령제를 지내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1.30
[스크랩] 용인 한국등잔막물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원리 안골 마을입구(포은 정몽주 선생묘 바로 위로 가면 좌측에 있슴.) 머언 옛날에 우리가 쓰던 등잔과 옛날로 다시 들어가서 우리 조상들의 정성어린 손길과 사랑을 듬뿍 받고 왔다.우리 조상들의 숨결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한 번쯤 찾아보면 어떨까?하는 생..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1.23
자격루 종소리 다시 듣는다 자격루 종소리 다시 듣는다 조선 세종 때인 1434년 장영실이 제작한 첨단 물시계 자격루가 복원돼 원래의 방식대로 작동하는 데 성공했다. 이 자격루는 서울 경복궁 내 국립고궁박물관 지하에 설치됐으며 28일부터 관람이 가능하다. 크기는 가로 8m, 세로 5m, 높이 6m. 21일 고궁박물관에서 자격루 복원을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1.22
우리나라의 전통 떡살 무늬 우리나라의 전통 떡살 무늬 연꽃문+만자문 옛말에 연꽃을 꽃의 군자라 했다. 진흙 속에서 피어나도 꽃잎에는 더러운 물이 묻지 않는다는 연꽃은 속세에 물들지 않는다는 뜻의 불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연꽃문 역시 고귀한 품위를 뜻한다 백일홍문 백일홍은 100일 동안 계속 피어 있다 해서 붙여진 이..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1.22
한국의 세시풍속 한국의 세시풍속 세시풍속의 현상 설날 1. 설의 유래 설은 한 해의 첫날 전후에 치루는 의례와 놀이 등을 통털어 가리키는 말로서, 첫날을 설날, 그 하루 전날을 까치설날이라고 부르고 있다. 설이라는 말의 유래는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5가지 설명이 통용되고 있..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1.02
조선왕조의 사당,종묘 종 묘 <2007년 10월 4일> 종묘(사적 제125호)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태조 3년(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여 이듬해 9월에 완공 하였으며, 곧이어 개성으로부터 태조의 4대조..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0.22
노 학자 흥분 시킨 '목간' 공개 현장 노 학자 흥분 시킨 '목간' 공개 현장 ▲ 고려청자 운반선의 비밀을 풀어준 목간 태안 보물선에서 최초로 발견된 고려시대 목간 ⓒ 신문웅 "우리나라의 큰경사다", "이처럼 흥분된 순간은 처음이다", "목간과 사자형 향로와 두꺼비형 벼루는 경이 그 자체다." ▲ 태안보물선유물을 보고 크게 기뻐하는 정..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0.13
100년전 독일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모습 100년전 독일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모습 . . . "한국에 대한 할아버지의 애정이 이제야 빛을 보는 것 같아 기쁩니다." 독일인 슈테판 잔더(63) 씨는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국립민속박물관에 전시된 100년 전 한국의 풍경을 담은 사진 들을 보면서 감개무량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13일 개막한 '독일인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10.03
[스크랩] 우리나라 전통 국악기 모음 건고 엎드린 네 마리의 호랑이 위에 대받침을 세우고 그 위에 큰 북을 올려 놓고 친다. 교방고 다리가 네 개 달린 받침대 위에 올려 놓은 북이다. 대개 춤 출 때 무대 가운데에 놓고 무용수가 북채를 들고 친다. 꽹과리 징보다 작은 모양으로 소리도 높고 날카롭다. 노고 긴 북 두 개를 틀에 매달아 놓고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