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 여인의 구걸 거지 여인의 구걸 중국 오대산에는 '거지 여인의 구걸'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오대산 영축산에는 해마다 삼월이면 '누구나 부처님처럼 환영하는 법회'인 무차재無 遮齋를 열었다. 그래서 이 법회에는 스님이든 마을 사람이든, 여자든 남자든, 귀한 사람이든 천한 사람이든, 늙은이든 ..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7.10
당신이 뭐요? 스님이 되셔 가지고.. 당신이 뭐요? 스님이 되셔 가지고.. 어려서 출가하신 고암 큰스님이 스무 살 무렵. 고향에 들리러 가셨을 때의 일이다. 도를 닦겠다는 한 생각으로 출가하신 고암큰스님께 무슨 세속적인 미련이 남아 있었다기보다는 다만 노부모님의 안부가 앞섰기 때문이었다. 고향집에선 민며느리를 ..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7.03
스승과 제자 이야기 스승과 제자 이야기 어느날 스승에게 제자가 말했다 "스승님 세속이 그립습니다..참으려고 애를 써보지만 그럴수록 더욱더 집착이 갑니다 어찌하면 좋습니까 스승이 부드럽게 말했다 "욕망이란 집착이란 없애려고 할수록 더 깊어진단다 만일 네가 욕망의 뿌리를 완전히 뽑아 버리고 싶..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6.24
업력(業力)과 연기(緣起) 업력(業力)과 연기(緣起) 세계는 무엇이가? 세계를 끌고 가는 힘은 어디서 오는가? 세는 세류요, 계는 방위(方位)를 말한다. 즉 시간과 공간을 말함이다. 다른말로 우주 라고도 한다. 우는 공간이요 주는 시간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이 시공(時空)이 본래 없다고 본다. 방위란 극히 상대적 ..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6.22
放下着(방하착), 그 마음을 놓아라... 放下着(방하착), 그 마음을 놓아라... 처음 우리가 이 세상에 왔을 때 그리고 마지막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 우린 빈 손으로 왔으며 빈 손으로 가야 한다는 것을 잘 압니다. 그러나 우린 대부분 태어남 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본래로 비었던 손을 가득 채우는 데에만 급급..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6.08
부처는 복을 주지 않는다 부처는 복을 주지 않는다 부처는 복을 주지 않는다 다만 복을 구하는 길을 제시할 뿐이다 행복을 바란다고 행복이 주어지진 않는다 부처는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할 뿐이다 행함도 없이 떡이 생기기를 바라는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목마른 자는 스스로 우물을 파서 그 물을 마셔야..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6.05
시비 분별하는 마음 하나하나가 곧 중생 시비 분별하는 마음 하나하나가 곧 중생 송광사 인월암 감원 원순 스님 정리=주영미 기자 | ez001@beopbo.com 승인 2015.03.24 10:07:28 ‘원각경(圓覺經)’은 선서(禪書)입니다. 선은 부처님의 마음입니다. ‘원각’ 또한 부처님의 마음입니다. 부처님의 마음을 장엄해서 이야기한 것이 ‘화엄경’..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5.12
공덕과 복덕은 다르다 공덕과 복덕은 다르다 우리는 흔히 복을 짓는 일, 복덕(福德)과 공덕을 쌓는 일 공덕(功德)을 혼용하며 큰 차이가 없이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복덕과 공덕은 실제로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복덕이란 복(福)을 쌓는 일로 어떤 선행이건 남에게 선행을 베풀면 그 행위로 인하여 인과법..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5.08
숫자로 본 인연겁 숫자로 본 인연겁 옷깃 한번 스치는 것도 500 겁(생)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사람의 인연은 매우 소중하다 작은 인연을 소중히 여겨서 큰 인연 보리도를 성취한다면 그보다 더 귀한 인연이 없을 것이다 범망경에서는 선근 인연을 심은 사람끼리 만남을 겁으로 표현한다 * 1천겁은 한 나라에 ..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2.03
왕사성의 슬픈 이야기 부처님 당시, 왕사성의 슬픈 이야기 왕사성의 슬픈 이야기 (부처님께서 관무량수경을 설하시게 된 동기) 지금부터 2600여 년 전쯤 중부 인도에 부국강병으로 경쟁하던 두 나라가 있었다. 하나는 카필라 왕국이었고, 또 하나는 마가다 왕국이었다. 그 두 나라의 왕들은 모두 다 덕망있는 군.. 불교이야기/부처님 마음 201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