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사 성 어-아-2 -掩耳盜鈴(엄이도령) 방울을 훔치는 도적이 방울이 소리가 난다고 자기 귀만 막고 방울을 훔친다.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아는데 얕은 수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효과가 없음을 일컫는 말이다.(=掩耳盜鐘) -餘桃之罪(여도지죄) 미자하(彌子瑕)가 위(衛)나라 군주에게 총애를 받았..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아-1 고 사 성 어-아-1 -阿鼻叫喚(아비규환) 많은 사람이 지옥 같은 고통을 못이겨 구원을 부르짖는 측은한 소리. 심한 참상을 형용하는 말. 불교용어(阿鼻地獄/叫喚地獄) -我田引水(아전인수) 제논에 물대기.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행동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眼高手卑(안고수비) 눈은 높..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사-2 고 사 성 어-사-2 -徙家忘妻(사가망처) 이사할 때 자기의 처(妻)를 깜빡잊고 데려가지 않음. 잘 잊는 것을 가리켜 하는 말이다. -四顧無親(사고무친) 사방을 둘러봐도 가족이나 친척이 없다. 친척이 없어 의지할 곳 없이 외로움 (-四顧無人) -四面楚歌(사면초가) 사방에서 초(楚)나라의 노래..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사-1 고 사 성 어-사-1 -徙家忘妻(사가망처) 이사할 때 자기의 처(妻)를 깜빡잊고 데려가지 않음. 잘 잊는 것을 가리켜 하는 말이다. -四顧無親(사고무친) 사방을 둘러봐도 가족이나 친척이 없다. 친척이 없어 의지할 곳 없이 외로움 (-四顧無人) -四面楚歌(사면초가) 사방에서 초(楚)나라의 노래..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바 고 사 성 어-바 -璞玉渾金(박옥혼금) 박옥(璞玉)은 갈고 닦지 않은 옥, 혼금(渾金)은 아직 제련하지 않은 금. 곧 검소하고 질박한 사람을 칭찬하는 말로 쓰인다. -拍掌大笑(박장대소) 손바닥을 치면서 크게 웃음 -盤溪曲徑(반계곡경) 소반같이 좁은 시내와 꾸불꾸불한 지름길. 정당한 방법을..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마 고 사 성 어-마 -磨斧爲針(마부위침) 도끼를 갈아서 침을 만든다. 아무리 이루기 힘든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만 있으면 성공하고야 만다는 뜻이다. -馬耳東風(마이동풍) 말의 귀에 스쳐가는 동풍.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흘려 버림을 일컫는 말이다. -麻中之蓬(마중..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다 고 사 성 어-다 -多岐亡羊(다기망양) 달아난 양을 찾으려다가 길이 여러 갈래로 나서 찾지 못하였다는 뜻. 학문도 너무 다방면에 걸치면 도리어 진리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한다. 너무 방침이 많아 갈 바를 모를 때도 쓰인다. -多多益善(다다익선)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多聞..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나 고 사 성 어-나 -落膽喪魂(낙담상혼) 쓸개가 떨어지고 혼을 잃음. 몹시 놀라 정신이 없음을 일컫는다. -洛陽紙價貴(낙양지가귀) 서진(西晋)의 문학자 좌사(左思)가 제도부(齊都賦)와 삼도부(三都賦)를 지었을 때 낙양(洛陽) 사람들이 너도나도 베꼈기 때문에 낙양의 종이가 모자라 비싸진 ..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가 고 사 성 어-가 -家給人足(가급인족)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에 부족함이 없음. -街談巷說(가담항설) 길거리나 동네에 떠도는 이야기 또는 소문 -家徒壁立(가도벽립) 집안에 세간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다만 사면에 벽만이 둘려 있을 뿐이라는 뜻. 집안이 가난함을 ..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
고 사 성 어 찾기 고 사 성 어 찾기 164 고 사 성 어 -하- 163 고 사 성 어 -타- 162 고 사 성 어 -차- 161 고 사 성 어 -자- 160 고 사 성 어 -아~ 4- 159 고 사 성 어 -아~ 3- 158 고 사 성 어 -아~ 2- 157 고 사 성 어 -아~ 1- 156 고 사 성 어 -사~ 2- 155 고 사 성 어 -사~ 1- 154 고 사 성 어 -바- 152 고 사 성 어 -마- 151 고 사 성 어 -다- .. 글,문학/故事成語 201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