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이야기/禪이야기

信 心 銘

淸潭 2006. 9. 18. 16:02
 
    信心銘
    至 道 無 難    지도무난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음이요
    唯 嫌 揀 擇    유혐간택       오직 간택함을 꺼릴 뿐이니.
    但 莫 憎 愛    단막증애       미워하고 사랑하지만 않으면
    洞 然 明 白    동연명백       통연히 명백하리라.
    毫 釐 有 差    호리유차       털끝만큼이라도 차이가 있으면
    天 地 懸 隔    천지현격       하늘과 땅 사이로 벌어지나니.
    欲 得 現 前    욕득현전       도가 앞에 나타나길 바라거든
    莫 存 順 逆    막존순역       따름과 거슬림을 두지 말라.
    違 順 相 爭    위순상쟁       어긋남과 따름이 서로 다툼은
    是 爲 心 病    시위심병       이는 마음의 병이 됨이니.
    不 識 玄 旨    불식현지       현묘한 뜻은 알지 못하고
    徒 勞 念 靜    도로염정       공연히 생각만 고요히 하려 하도다.
    圓 同 太 虛    원동태허       둥글기가 큰 허공과 같아서
    無 欠 無 餘    무흠무여       모자람도 없고 남음도 없거늘.
    良 由 取 捨    양유취사       취하고 버림으로 말미암아
    所 以 不 如    소이불여       그 까닭에 여여하지 못하도다.
    莫 逐 有 緣    막축유연       세간의 인연도 따라가지 말고
    勿 住 空 忍    물주공인       출세간의 법에도 머물지 말라. 
    一 種 平 懷    일종평회       한 가지를 바로 지니면 
    泯 然 自 盡    민연자진       사라져 저절로 다하리라.
    止 動 歸 止    지동귀지       움직임을 그쳐 그침으로 돌아가면
    止 更 彌 動    지갱미동       그침이 다시 큰 움직임이 되나니.
    唯 滯 兩 邊    유체량변       오직 양변에 머물러 있거니
    寧 知 一 種    영지일종       어찌 한가지임을 알건가.
    一 種 不 通    일종불통       한 가지에 통하지 못하면
    兩 處 失 功    양처실공       양쪽 다 공덕을 잃으리니.
    遺 有 沒 有    견유몰유       있음을 버리면 있음에 빠지고
    從 空 背 空    종공배공       공함을 따르면 공함을 등지느니라.
    多 言 多 慮    다언다려       말이 많고 생각이 많으면
    轉 不 相 應    전불상응       더욱 더 상응치 못함이요.
    絶 言 絶 慮    절언절려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지면
    無 處 不 通    무처불통       통하지 않는 곳 없느니라.
    歸 根 得 旨    귀근득지       근본으로 돌아가면 뜻을 얻고
    隨 照 失 宗    수조실종       비춤을 따르면 종취를 잃나니.
    須 臾 返 照    수유반조       잠깐 사이에 돌이켜 비춰보면
    勝 脚 前 空    승각전공       앞의 공함보다 뛰어남이라.
    前 空 轉 變    전공전변       앞의 공함이
    皆 由 妄 見    개유망견       모두 妄見 때문이니 
    不 用 求 眞    부용구진       참됨을 구하려 하지 말고
    唯 須 息 見    유수식견       오직 망녕된 견해만 쉴지니라.
    二 見 不 住    이견부주       두 견해에 머물지 말고
    愼 莫 追 尋    신막추심       삼가 쫓아가 찾지 말라.
    裳 有 是 非    재유시비       잠깐이라도 시비를 일으키면
    紛 然 失 心    분연실심       어지로이 본 마음을 잃으리라.
    二 由 一 有    이유일유       둘은 하나로 말미암아 있음이니
    一 亦 莫 守    일역막수       하나마저도 지키지 말라.
    一 心 不 生    일심불생       한 마음이 나지 않으면
    萬 法 無 咎    만법무구       만 법이 허물 없느니라.
    無 咎 無 法    무구무법       허물이 없으면 법이 없고
    不 生 不 心    불생불심       나지 않으면 마음이랄 것도 없음이라
    能 隨 境 滅    능수경멸       주관은 객관을 따라 소멸하고
    境 逐 能 沈    경축능심       객관은 주관을 따라 잠겨서.
    境 由 能 境    경유능경       객관은 주관으로 말미암아 객관이요
    能 由 境 能    능유경능       주관은 객관으로 말미암아 주관이니.
    欲 知 兩 段    욕지양단       양단된 뜻을 알고저 할진대
    元 是 一 空    원시일공       원래 하나의 空이니라.
    一 空 同兩     일공동양       하나의 공은 양단과 같아서
    齊 含 萬象     제함만상       삼라만상을 함께 다 포함하여 
    不 見 精 皺    불견정추       세밀하고 거칠음을 보지 못하거니
    寧 有 偏 黨    영유편당       어찌 치우침이 있겠는가.
    大 道 體 寬    대도체관       대도는 본체가 넓어서
    無 易 無 難    무이무난       쉬움도 없고 어려움도 없거늘.
    小 見 狐 疑    소견호의       좁은 견해로 여우같은 의심을 내어
    轉 急 轉 遲    전급전지       서둘수록 더디어지도다.
    執 之 失 度    집지실도       집착하면 법도를 잃음이라
    必 入 邪 路    필입사로       반드시 삿된 길로 들어가고 
    放 之 自 然    방지자연       놓아 버리면 자연히 본래로 되어
    體 無 去 住    체무거주       본체는 가거나 머무름이 없도다.
    任 性 合 道    임성합도       자성에 맡기면 도에 합하여
    逍 遙 絶 惱    소요절뇌       소요하여 번뇌가 끊기고.
    繫 念 乖 眞    계염괴진       생각에 얽매이면 참됨에 어긋나서
    昏 沈 不 好    혼침불호       혼침함이 좋지 않느니라.
    不 好 勞 神    불호노신       좋지 않으면 신기를 괴롭히거늘
    何 用 疎 親    하용소친       어찌 성기고 친함을 쓸건가.
    欲 趣 一 乘    욕취일승       일승으로 나아가고자 하거든
    勿 惡 六 塵    물오육진       육진을 미워하지 말라.
    六 塵 不 惡    육진불오       육진을 미워하지 않으면
    還 同 正 覺    환동정각       도리어 정각(正覺)과 동일함이라.
    智 者 無 爲    지자무위       지혜로운 이는 함이 없거늘
    愚 人 自 縛    우인자박       어리석은 사람은 스스로 얽매이도다.
    法 無 異 法    법무이법       법은 다른 법이 없거늘
    妄 自 愛 着    망자애착       망령되이 스스로 애착하여.
    將 心 用 心    장심용심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니
    豈 非 大 錯    기비대착       어찌 크게 그릇됨이 아니랴.
    迷 生 寂 亂    미생적란       미혹하면 고요함과 어지러움이 생기고
    悟 無 好 惡    오무호오       깨치면 좋음과 미움이 없거니.
    一 切 二 邊    일제이변       모든 상대적인 두 견해는
    良 由 斟 酌    양유짐작       자못 짐작하기 때문이로다.
    夢 幻 空 華    몽환공화       꿈속의 허깨비와 헛꽃을
    何 勞 把 捉    하로파착       어찌 애써 잡으려 하는가.
    得 失 是 非    득실시비       얻고 잃음과 옳고 그름을
    一 時 放 却    일시방거       일시에 놓아 버려라.
    眼 若 不 睡    안약불수       눈에 만약 졸음이 없으면
    諸 夢 自 除    제몽자제       모든 꿈 저절로 없어지고.
    心 若 不 異    심약불이       마음이 다르지 않으면
    萬 法 一 如    만법일여       만법이 한결 같느니라.
    一 如 體 玄    일여체현       한결 같음은 본체가 현묘하여
    兀 爾 忘 緣    올이망연       홀연히 인연을 잊어서.
    萬 法 齊 觀    만법제관       만법이 다 현전함에
    歸 復 自 然    귀복자연       돌아감이 자연스럽도다.
    泯 其 所 以    민기소이       그 까닭을 없이하면
    不 可 方 比    불가방비       주어 비할 바가 없음이라.
    止 動 無 動    지동무동       그치면서 움직이니 움직임이 없고
    動 止 無 止    동지무지       움직이면서 그치니 그침이 없나니.
    兩 旣 不 成    량기가성       둘이 이미 이루어지지 못하거니
    一 何 有 爾    일하유이       하나인들 어찌 있을건가.
    究 竟 窮 極    구경궁극       구경하고 궁극하여
    不 存 軌 則    부존궤칙       일정한 법칙이 있지 않음이요.
    契 心 平 等    계심평등       마음에 계합하여 평등케 되어
    所 作 俱 息    소작구식       짓고 짓는 바가 함께 쉬도다.
    狐 疑 盡 淨    호의진정       여우 같은 의심이 다하여 맑아지면
    正 信 調 直    정신조직       바른 믿음이 고루 발라지며
    一 切 不 留    일절불류       일체가 머물지 아니하여
    無 可 記 憶    무가기억       기억할 아무것도 없도다.
    虛 明 自 照    허명자조       허허^^로이 밝아 스스로 비추나니
    不 勞 心 力    불로심역       애써 마음 쓸 일 아니로다.
    非 思 量 處    비사량처       생각으로 헤아릴 곳 아님이라
    識 情 難 測    식정난측       의식과 망정으론 측량키 어렵도다.
    眞 如 法 界    진여법계       바로 깨친 진여의 법계에는
    無 他 無 自    무타무자       남도 없고 나도 없음이라.
    要 急 相 應    요급상응       재빨리 상응코저 하거든
    唯 言 不 二    유언불이       둘 아님을 말할 뿐이로다.
    不 二 皆 同    불이개동       둘 아님은 모두가 같아서
    無 不 砲 容    무불필요       포용하지 않음이 없나니.
    十 方 智 者    시방지자       시방의 지혜로운 이들은
    皆 入 此 宗    개입차종       모두 이 종취로 들어옴이라.
    宗 非 促 廷    종비촉연       종취란 짧거나 긴 것이 아니니
    一 念 萬 年    일념만년       한 생각이 만년이요.
    無 在 不 在    무재부재       있거나 있지 않음이 없어서
    十 方 目 前    시방목전       시방이 바로 눈 앞이로다.
    極 小 同 大    극소동대       지극히 작은 것이 큰 것과 같아서
    忘 絶 境 界    망절경계       상대적인 경계 모두 끊어지고.
    極 大 同 小    극대동소       지극히 큰 것이 작은 것과 같아서
    不 見 邊 表    불견변표       그 끝과 겉을 볼 수 없음이라.
    有 卽 是 無    유즉시무       있음이 곧 없음이요
    無 卽 是 有    무즉시유       없음이 곧 있음이니.
    若 不 如 此    약부여차       만약 이 같지 않다면 
    不 心 須 守    불심수수       반드시 지켜서는 안되느니라.
    一 卽 一 切    일즉일체       하나가 곧 일체요 
    一 切 卽 一    일체즉일       일체가 곧 하나이니.
    但 能 如 是    단능여시       다만 능히 이렇게만 된다면
    何 慮 不 畢    하려불필       마치지 못할까 뭘 걱정하랴.
    信 心 不 二    신심불이       믿는 마음은 둘 아니요
    不 二 信 心    불이신심       둘 아님이 믿는 마음이니. 
    言 語 道斷     언어도단       언어의 길이 끊어져서
    非 去 來今     비거래금       과거.미래.현재가 아니로다.

     

 

 
    
    신심명(信心銘)>은 삼조(三祖) 승찬대사(僧璨大師)가 지은 글입니다. 
    *명(銘)이란 
    일반적으로 금석(金石), 그릇, 비석 따위에 자계(自戒)의 뜻으로나, 남의 공적 
    또는,사물의 내력을 찬양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여 새긴 한문 글귀를 말하는데,
    이 <신심명)>은 
    삼조(三祖)스님께서 우리가 처음 발심할 때로부터 마지막 구역성불할 때까지 
    가져야 하는 신심에 대해서 남겨 놓으신 사언절구(四言絶句)의 시문(詩文)입니다.
    이 <신심명>은 글 자체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신심이란 도(道)의 
    본원(本源)이며 진여법계(眞如法界)에 사무쳐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글은 
    우리 수행자의 좌우명(左右銘)인 것입니다..
    승찬대사는 수(隋)나라의 양제(煬帝) 대업(大業) 2년 10월 5일(서기 606년)에 
    입적하셨으며, 그의 세수는 알 수 없습니다. 승찬대사가 돌아가신 지 150여 년 
    뒤 당(唐)나라 현종(玄宗) 황제가 감지선사(鑑智禪師)라 시호(諡號)를 올리고 
    탑호(塔號)를 각적(覺寂)이라 하였으며 그 당시 유명한 재상인 방관(房琯)이 
    탑비문을 지었습니다.
    승찬대사는 본래 대풍질(大風疾)이라는 큰 병에 걸려 있었는데 오늘날의 
    문등병입니다. 스님은 문둥병에 걸려 죽을 고생을 하다 이조(二祖) 혜가 
    대사(慧可大師)를 찾아가 자기의 성명도 밝히지 않고 불쑥 물었습니다.
    "제자는 문둥병을 앓고 있사옵니다.화상께서는 저의 죄를 참회케 하여주십시오." 
    "그대는 죄를 가져 오노라. 죄를 참회시켜 주리라." 
    "죄를 찾아보아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대의 죄는 모두 참회되었느니라..
    그대는 그저 불(佛),법(法), 승(僧) 삼보(三寶)에 의지하여 안주해라." 
    "지금 화상(和尙)을 뵈옵고 승보(僧寶)는 알았으나 어떤 것을 불보(佛寶), 
    법보(法寶)라 합니까?" "마음이 부처며 마음이 법이니라. 법과 부처는 
    둘이 아니요, 승보도 또한 그러하니 그대는 알겠는가?"
    "오늘에야 비로소 죄의 성품은 마음 안에도 밖에도 중간에도 있지 않음을 
    알았으며 마음이 그러하듯 불보와 법보도 둘이 아닌 줄 알았습니다."
    이에 혜가대사께서 그가 법기(法器)인 줄 아시고 매우 기특하게 여겨 바로 
    머리를 깎아 주면서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나의 보배이다. 구슬 찬(璨)자를 써서 승찬(僧璨)이라 하라." .
    그해 3월 18일 복광사(福光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고 그로부터 병이 
    차츰 나아져서 2년 동안 혜가스님을 시봉하였습니다. 
    승찬대사는 평생을 은거하여 지내다가 나중에 어린 나이의 도신선사
    (道信禪師)를 만나 법을 깨우쳐 주고 뒤에 구족계를 받게 한 후 법을 전하면서 
    "나에게서 법을 받았다고 절대로 말하지 말아라." 고 당부 하셨다고 합니다.
    돌아가실 때에는 법회하던 큰 나무 밑에서 합장한 채 서서 돌아가셨다고
    합니다...그때 사람들이 묘를 써서 스님을 모셨는데, 뒤에 이상(李常)이라는 
    사람이 신회선사(神會禪師)에게 물어서 산곡사(山谷寺)에 승찬대사의 묘가 있음을 
    알고는 가서 화장하여 사리(舍利) 삼백 알을 얻었다고 합니다.
    승찬스님은 본래 문둥병을 앓았기 때문에 문둥병이 나은 후에도 머리카락이 
    하나도 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은 스님을 적두찬(赤頭璨)이란 별명으로 불렀습니다. 
    이는 대머리의 붉은 살뿐이라는 뜻입니다. 
    그 승찬대사가 남겨 놓은 저술이 바로 이 <신심명>입니다.
    요즈음 일본 학자들 가운데는 그 분이 숨어 다니면서 살았기 때문에 그의 행적에 
    모순된 점이 많다고 하여 실제 인물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역사적인 여러 가지 점들을 상고해 보면 
    삼조 승찬스님이 실제 인물임에는 틀림없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신심명>에 있어서 그 신(信), 곧 믿음이 보통의 신(信), 
    믿음이 아니라 신, 해, 오, 증(信解悟證) 전체를 통하는 신(信), 믿음입니다.
    글 전체는 4언절구(四言絶句)로 해서 146구 584자로 되어 있는 간단한 글이지만, 
    팔만대장경의 심오한 불법도리와 천칠백 공안의 격외도리(格外道理)전체가
    이 글 속에 포함되어 있다고 모두들 평(評)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의리적(義理的)으로 법문한 것 같지만 간단한 이 글 전체 속에 격외도리가 
    다 갖추어져 있으며, 교리의 현묘한 뜻도 빠짐없이 있습니다..
    중국에 불법이 전해진 이후로 '문자로서는 최고의 문자'라고 학자들이 격찬할 뿐만 아니라 
    삼조 승찬대사의 <신심명>같은 문자는 하나일 뿐, 둘은 없다고들 평합니다. 
    그러므로 이 글이 불교에 있어서 참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와 같이 불교사상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신심명의 근본 골자가 무엇인가-
    글 전체가 모두 양별을 여읜 중도(中道)에 입각해 있다는 것입니다. 
    글 전체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대(對對)를 40대(四十對)로 갖추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대대(對對)란 곧 미워함과 사랑함[憎愛]. 거슬림과 다름[逆順], 옳고 그름[是非] 등등 
    일상생활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생의 상대 개념 즉 변견을 말하는 것입니다. 
    <신심명>은 간단한 법문이지만 대대(對對)를 떠난 중도법을 간명하게 보여준 드문 
    저술입니다. <신심명>은 일관된 논리로서 선(禪)이나 교(敎)를 막론하고 
    불교 전체를 통하여 양변을 여읜 중도(中道)가 불교의 근본 사상임을 표현한 총괄적인 
    중도총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검색.정리하여 삼보일배의 마음으로 옮겼습니다...2005.07.16. 無住行 合掌. ^^

     

    
    
    
     
     
    
    oom.()

'불교이야기 > 禪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禪)이란?  (0) 2006.11.10
[스크랩] 끽다거(喫茶去)  (0) 2006.09.20
[스크랩] 삶의 길을 물었더니  (0) 2006.09.18
[스크랩] 지금부터.....  (0) 2006.09.18
[스크랩] 산사로 가자  (0) 2006.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