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집 제1권 / 시(詩)
시골집 8수 〔田廬 八首〕
시골집이 먼 교외에 있진 않지만 / 田廬非遠郊
그래도 숲속 골짝의 정취가 있네 / 猶有林壑趣
맑은 시내는 육칠 리나 뻗어 있고 / 淸谿六七里
구름은 산길에 잔뜩 끼어 있네 / 雲滿山中路
높다란 재실은 층층 봉우리로 둘려 있고 / 高齋遶層嶂
아래로는 사철나무들이 굽어보이네 / 下臨冬靑樹
작약은 북쪽 섬돌에 활짝 피어 있고 / 勺藥榮北階
오동은 서쪽 채마밭에 우뚝 서 있네 / 梧桐拂西圃
옳거니 옛날 화양의 어르신께서 / 念昔華陽叟
외딴 마을에서 이틀 밤 묵으셨지 / 信宿孤邨暮
그때의 필적만이 지금까지 남아 있으니 / 墨澤秪今存
훌륭한 그 말씀 참으로 그리웁구나 / 德音誠可慕
아 외조부시여 / 嗟嗟外王父
내가 어릴 적 어르신 수발을 들 때 / 弱齡侍杖屨
남기신 가르침을 내게 읊어주시며 / 爲余誦餘訓
아침저녁으로 깨우쳐 주셨다네 / 晨夕以申諭
그래도 숲속 골짝의 정취가 있네 / 猶有林壑趣
맑은 시내는 육칠 리나 뻗어 있고 / 淸谿六七里
구름은 산길에 잔뜩 끼어 있네 / 雲滿山中路
높다란 재실은 층층 봉우리로 둘려 있고 / 高齋遶層嶂
아래로는 사철나무들이 굽어보이네 / 下臨冬靑樹
작약은 북쪽 섬돌에 활짝 피어 있고 / 勺藥榮北階
오동은 서쪽 채마밭에 우뚝 서 있네 / 梧桐拂西圃
옳거니 옛날 화양의 어르신께서 / 念昔華陽叟
외딴 마을에서 이틀 밤 묵으셨지 / 信宿孤邨暮
그때의 필적만이 지금까지 남아 있으니 / 墨澤秪今存
훌륭한 그 말씀 참으로 그리웁구나 / 德音誠可慕
아 외조부시여 / 嗟嗟外王父
내가 어릴 적 어르신 수발을 들 때 / 弱齡侍杖屨
남기신 가르침을 내게 읊어주시며 / 爲余誦餘訓
아침저녁으로 깨우쳐 주셨다네 / 晨夕以申諭
두 번째〔其二〕
띠풀집이 서쪽 봉우리를 등졌는데 / 茅棟負西峰
푸른 잣나무가 그 뜰에 서 있네 / 翠柏立其庭
그 아래 한 조각 바위가 가로놓여 / 下橫一片石
하늘의 별들을 바라볼 수가 있네 / 可以望天星
박달나무는 동쪽 울타리 가에 섰는데 / 檀樹在東籬
기이한 향기가 창문에 흠씬 어리네 / 異香滿窻櫺
밤나무 숲은 북쪽 난간을 에워쌌고 / 栗林繞北楹
맑은 이슬은 문간 가리개에 스미네 / 淸露透門屛
봄 깊어 온갖 꽃이 싱그러웁고 / 春深百花繁
늘어진 버들 저 멀리서 푸르네 / 垂柳遠靑靑
지팡이 짚고 아래쪽 시내로 내려가니 / 扶杖下南溪
저녁 기운이 바로 어둑어둑해지네 / 夕氣正冥冥
떠오른 달은 수풀 끝에 와 있고 / 昇月林際來
돌아가던 구름도 이미 멈추었네 / 歸雲亦已停
곰곰이 고문의 절묘함을 생각하며 / 潛思古文妙
밤 깊도록 한 등불을 밝히네 / 永夜一燈熒
쓸데없는 말들만 천하에 퍼져있으니 / 莠辭徧天下
바른 소리를 끝내 누구에게서 듣겠는가 / 正聲竟誰聽
태평성세를 기대할 수 없으니 / 盛世不可攀
서글프게 사립문을 닫아거네 / 悄然掩柴扃
푸른 잣나무가 그 뜰에 서 있네 / 翠柏立其庭
그 아래 한 조각 바위가 가로놓여 / 下橫一片石
하늘의 별들을 바라볼 수가 있네 / 可以望天星
박달나무는 동쪽 울타리 가에 섰는데 / 檀樹在東籬
기이한 향기가 창문에 흠씬 어리네 / 異香滿窻櫺
밤나무 숲은 북쪽 난간을 에워쌌고 / 栗林繞北楹
맑은 이슬은 문간 가리개에 스미네 / 淸露透門屛
봄 깊어 온갖 꽃이 싱그러웁고 / 春深百花繁
늘어진 버들 저 멀리서 푸르네 / 垂柳遠靑靑
지팡이 짚고 아래쪽 시내로 내려가니 / 扶杖下南溪
저녁 기운이 바로 어둑어둑해지네 / 夕氣正冥冥
떠오른 달은 수풀 끝에 와 있고 / 昇月林際來
돌아가던 구름도 이미 멈추었네 / 歸雲亦已停
곰곰이 고문의 절묘함을 생각하며 / 潛思古文妙
밤 깊도록 한 등불을 밝히네 / 永夜一燈熒
쓸데없는 말들만 천하에 퍼져있으니 / 莠辭徧天下
바른 소리를 끝내 누구에게서 듣겠는가 / 正聲竟誰聽
태평성세를 기대할 수 없으니 / 盛世不可攀
서글프게 사립문을 닫아거네 / 悄然掩柴扃
세 번째〔其三〕
아침 햇살이 띠풀집을 비출 때 / 朝日照茅屋
내가 비로소 태어났다 하네 / 曰余始降時
우물과 부엌은 상기도 예와 같고 / 井竈尙猶昔
다듬이와 절구도 그대로 놓여있네 / 砧杵亦不移
아버지께선 병으로 누워계시면서 / 父兮寢疾病
나를 대하면 늘 기뻐하셨지만 / 對余輒怡怡
젊은 여종이 나를 꾸짖던 날이면 / 少婢誚余日
정색을 하며 볼기친다 하셨지 / 正容謂可笞
어느 날 앞 숲에 불빛 번쩍이더니 / 前林有火光
도적떼가 산 울타리에 들어왔네 / 羣盜入山籬
어머니께선 놀라 밤중에 걸으시어 / 母兮驚夜步
나를 업고 험한 산마루에 오르셨지 / 負余上嶺巇
빈 골짝에 사람 자취 사라지자 / 空谷無人跡
이윽고 위기를 면하였네 / 於焉免憂危
매번 부모님이 그리워질 때면 / 每懷父母心
어찌 눈물을 흘리지 않겠는가 / 安得不涕洟
내가 비로소 태어났다 하네 / 曰余始降時
우물과 부엌은 상기도 예와 같고 / 井竈尙猶昔
다듬이와 절구도 그대로 놓여있네 / 砧杵亦不移
아버지께선 병으로 누워계시면서 / 父兮寢疾病
나를 대하면 늘 기뻐하셨지만 / 對余輒怡怡
젊은 여종이 나를 꾸짖던 날이면 / 少婢誚余日
정색을 하며 볼기친다 하셨지 / 正容謂可笞
어느 날 앞 숲에 불빛 번쩍이더니 / 前林有火光
도적떼가 산 울타리에 들어왔네 / 羣盜入山籬
어머니께선 놀라 밤중에 걸으시어 / 母兮驚夜步
나를 업고 험한 산마루에 오르셨지 / 負余上嶺巇
빈 골짝에 사람 자취 사라지자 / 空谷無人跡
이윽고 위기를 면하였네 / 於焉免憂危
매번 부모님이 그리워질 때면 / 每懷父母心
어찌 눈물을 흘리지 않겠는가 / 安得不涕洟
네 번째〔其四〕
동쪽 뜰에 서있는 키 큰 소나무 / 東園有喬松
우뚝 선 그 모습 펼친 일산 같네 / 特立如張盖
높은 서재에서 늘상 내려다보면 / 高齋一以眺
푸른 가지에 저녁 안개 생겨나네 / 碧柯生夕靄
밝은 달이 그 꼭대기에 떠오르면 / 明月昇其巓
그윽한 운치가 숲 너머로 두루 퍼지네 / 幽韻徧林外
모진 북풍도 꺾지 못했으니 / 朔風不能折
알겠구나 땅속에 서린 뿌리 큰 줄을 / 乃知蟠根大
길러 키움이 진실로 오래 되었으니 / 長養良已久
서리와 눈도 어찌할 수 없다네 / 霜雪亦無奈
장차 보리라 백년 후에는 / 將見百年後
우거져서 무성한 나무 될 것을 / 繁陰成叢薈
우뚝 선 그 모습 펼친 일산 같네 / 特立如張盖
높은 서재에서 늘상 내려다보면 / 高齋一以眺
푸른 가지에 저녁 안개 생겨나네 / 碧柯生夕靄
밝은 달이 그 꼭대기에 떠오르면 / 明月昇其巓
그윽한 운치가 숲 너머로 두루 퍼지네 / 幽韻徧林外
모진 북풍도 꺾지 못했으니 / 朔風不能折
알겠구나 땅속에 서린 뿌리 큰 줄을 / 乃知蟠根大
길러 키움이 진실로 오래 되었으니 / 長養良已久
서리와 눈도 어찌할 수 없다네 / 霜雪亦無奈
장차 보리라 백년 후에는 / 將見百年後
우거져서 무성한 나무 될 것을 / 繁陰成叢薈
다섯 번째〔其五〕
쟁기 잡고 따라가는 남쪽 이랑을 / 秉耒遵南畆
예전엔 높다고만 여겨왔었네 / 在昔以爲高
대대로 화전밭이나 일궈온 터에 / 世世事新畬
어찌 쑥대밭을 부끄러워하랴 / 何必耻蓬蒿
밤사이 내린 봄비 흡족도 하니 / 春雨夜云足
자갈밭을 곧 김맬 수 있겠네 / 石田便可薅
왕골 삿갓 쓴 늙은 농부가 / 臺笠老農夫
소를 몰고 평평한 언덕으로 올라가네 / 牽牛上平臯
시어머니는 소반에 사발 얹어 새참 내가고 / 長婦盤盂饋
며느리는 광주리에 대밥통을 이고 가는데 / 少婦筐筥操
아이는 그 뒤를 졸졸 따르고 / 稚子踵其後
귀여운 삽살개 목에는 방울이 딸랑딸랑 / 小厖繫鈴絛
문득 보이는 산 너머서 온 나그넨 / 忽見山外客
광릉에서 거룻배를 타고 왔다네 / 歸自廣陵舠
나에게 조정의 일 전해주는데 / 爲傳朝右事
세 치 혀로 죽일 놈 살릴 놈 하더라 / 寸舌誅且褒
농가엔 시비거리가 없었는데 / 田家無是非
뜻밖에 이 사람을 만났네 / 不意斯人遭
오곡 익는 시절을 길게 노래하며 / 長歌黍稷天
내 도시락 속 막걸리를 기울이네 / 傾我榼中醪
예전엔 높다고만 여겨왔었네 / 在昔以爲高
대대로 화전밭이나 일궈온 터에 / 世世事新畬
어찌 쑥대밭을 부끄러워하랴 / 何必耻蓬蒿
밤사이 내린 봄비 흡족도 하니 / 春雨夜云足
자갈밭을 곧 김맬 수 있겠네 / 石田便可薅
왕골 삿갓 쓴 늙은 농부가 / 臺笠老農夫
소를 몰고 평평한 언덕으로 올라가네 / 牽牛上平臯
시어머니는 소반에 사발 얹어 새참 내가고 / 長婦盤盂饋
며느리는 광주리에 대밥통을 이고 가는데 / 少婦筐筥操
아이는 그 뒤를 졸졸 따르고 / 稚子踵其後
귀여운 삽살개 목에는 방울이 딸랑딸랑 / 小厖繫鈴絛
문득 보이는 산 너머서 온 나그넨 / 忽見山外客
광릉에서 거룻배를 타고 왔다네 / 歸自廣陵舠
나에게 조정의 일 전해주는데 / 爲傳朝右事
세 치 혀로 죽일 놈 살릴 놈 하더라 / 寸舌誅且褒
농가엔 시비거리가 없었는데 / 田家無是非
뜻밖에 이 사람을 만났네 / 不意斯人遭
오곡 익는 시절을 길게 노래하며 / 長歌黍稷天
내 도시락 속 막걸리를 기울이네 / 傾我榼中醪
여섯 번째〔其六〕
외로운 무덤이 산 동쪽에 있으니 / 孤墳在朝陽
옛사람이 묻힌 곳이라 하네 / 云是古人葬
봉분은 아직도 손질 안 된 채 / 馬鬣猶不改
가을철 잣나무만 제냥 씩씩하네 / 秋柏秪自壯
내 듣건대 만력 시대에 / 吾聞萬曆世
팔 년 동안 고생한 여러 장졸들 / 八年勞諸將
어떤 이는 파촉지방에서 왔고 / 或由巴蜀來
혹은 형초지방에서 앞장서 왔네 / 或自荊楚倡
야전에서 병기에 다쳐 죽지 않으면 / 野戰不死兵
해전에서 반드시 장독(瘴毒)으로 죽었다네 / 海防必死瘴
그 유해는 돌아가지도 못하고 / 遺骸未得歸
이 곳 푸른 계곡 봉우리에 묻혔다네 / 瘞此靑谿嶂
한식날엔 그 누가 와서 제사지내 주리오 / 寒食誰來祭
비바람만이 무덤 위에 몰아치겠지 / 風雨滿冢上
무덤가에 석양은 볼 수도 없고 / 石羊不可見
초동들의 장소되니 서글프기만 하구나 / 樵童但悽愴
옛사람이 묻힌 곳이라 하네 / 云是古人葬
봉분은 아직도 손질 안 된 채 / 馬鬣猶不改
가을철 잣나무만 제냥 씩씩하네 / 秋柏秪自壯
내 듣건대 만력 시대에 / 吾聞萬曆世
팔 년 동안 고생한 여러 장졸들 / 八年勞諸將
어떤 이는 파촉지방에서 왔고 / 或由巴蜀來
혹은 형초지방에서 앞장서 왔네 / 或自荊楚倡
야전에서 병기에 다쳐 죽지 않으면 / 野戰不死兵
해전에서 반드시 장독(瘴毒)으로 죽었다네 / 海防必死瘴
그 유해는 돌아가지도 못하고 / 遺骸未得歸
이 곳 푸른 계곡 봉우리에 묻혔다네 / 瘞此靑谿嶂
한식날엔 그 누가 와서 제사지내 주리오 / 寒食誰來祭
비바람만이 무덤 위에 몰아치겠지 / 風雨滿冢上
무덤가에 석양은 볼 수도 없고 / 石羊不可見
초동들의 장소되니 서글프기만 하구나 / 樵童但悽愴
일곱 번째〔其七〕
고선이라 삼월이 갈마드니 / 姑洗三月交
단비에 뽕잎이 목욕하네 / 靈雨浴桑葉
뻐꾸기 우는 봄날 해는 길고 / 鳩鳴日方遲
하얀 쑥에 부는 바람 참 조화롭네 / 白蘩風正協
오솔길엔 여인네 두 명이 / 微行二女子
광주리 끼고 가벼운 걸음으로 가네 / 執筐散輕屧
두 손으로 뻗친 가지 거머잡는데 / 雙手攀遠揚
도끼를 양 옆에 끼고 있네 / 斧斨左右挾
명주실은 벌써 뽑아 놓았고 / 繭絲倐已成
길쌈일도 어찌 그리 재빠른지 / 織紝何其捷
산골 집 가난하다 말하지 마라 / 莫謂山家貧
검은 비단이 상자에 가득 찼다네 / 純帛且盈笈
단비에 뽕잎이 목욕하네 / 靈雨浴桑葉
뻐꾸기 우는 봄날 해는 길고 / 鳩鳴日方遲
하얀 쑥에 부는 바람 참 조화롭네 / 白蘩風正協
오솔길엔 여인네 두 명이 / 微行二女子
광주리 끼고 가벼운 걸음으로 가네 / 執筐散輕屧
두 손으로 뻗친 가지 거머잡는데 / 雙手攀遠揚
도끼를 양 옆에 끼고 있네 / 斧斨左右挾
명주실은 벌써 뽑아 놓았고 / 繭絲倐已成
길쌈일도 어찌 그리 재빠른지 / 織紝何其捷
산골 집 가난하다 말하지 마라 / 莫謂山家貧
검은 비단이 상자에 가득 찼다네 / 純帛且盈笈
여덟 번째〔其八〕
골짝 어귀 숲속이 깊기도 하니 / 谷口林木深
샘물이 밤낮으로 맑게 흐르네 / 泉流日夜淸
바위 빛은 비록 새하얗진 않으나 / 石氣雖不白
바둑판이 냇가에 평평하게 놓여있네 / 棊置川上平
서쪽을 바라보니 천 길 높은 봉우리들 / 西望千仞峰
구름 저편 울창히도 높이 솟았고 / 雲際鬱崢嶸
저 멀리 스님 사는 암자에서 / 迢迢釋氏居
바람에 저녁 경쇠소리 실려오네 / 風送暮磬聲
큰 외숙은 사나운 매 길들이느라 / 伯舅馴豪鷹
앞 바위서 꿩 울기를 기다리고 / 前巖候雉鳴
막내 외숙은 사나운 개 고삐 잡아챈 채 / 季舅緤猛犬
들판에서 노루 지나가길 살피네 / 中田伺麕行
내 맘껏 사냥하여 부모님께 올리고 / 縱獵養高堂
독실히 행하여 천지신명 감응시키리 / 篤行感神明
즐거운 마음으로 이 한세상 마치리니 / 怡愉以終世
자식 직분 다하기만 바랄 뿐이네 / 但求子職成
샘물이 밤낮으로 맑게 흐르네 / 泉流日夜淸
바위 빛은 비록 새하얗진 않으나 / 石氣雖不白
바둑판이 냇가에 평평하게 놓여있네 / 棊置川上平
서쪽을 바라보니 천 길 높은 봉우리들 / 西望千仞峰
구름 저편 울창히도 높이 솟았고 / 雲際鬱崢嶸
저 멀리 스님 사는 암자에서 / 迢迢釋氏居
바람에 저녁 경쇠소리 실려오네 / 風送暮磬聲
큰 외숙은 사나운 매 길들이느라 / 伯舅馴豪鷹
앞 바위서 꿩 울기를 기다리고 / 前巖候雉鳴
막내 외숙은 사나운 개 고삐 잡아챈 채 / 季舅緤猛犬
들판에서 노루 지나가길 살피네 / 中田伺麕行
내 맘껏 사냥하여 부모님께 올리고 / 縱獵養高堂
독실히 행하여 천지신명 감응시키리 / 篤行感神明
즐거운 마음으로 이 한세상 마치리니 / 怡愉以終世
자식 직분 다하기만 바랄 뿐이네 / 但求子職成
- [주-D001] 화양(華陽)의 어르신 :
- 화양동주(華陽洞主) 송시열(宋時烈)을 가리킨다. 화양은 우암 송시열이 학문을 연마하고 제자들을 가르친 곳으로, 화양서원이 있는 충북 괴산의 마을이다.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節氣 詩 (0) | 2020.05.24 |
---|---|
우리들 인생은 이렇다네" ! (0) | 2020.05.11 |
여섯 살에 지은 시 (0) | 2020.04.23 |
南湖詞三首/丁若鏞 (0) | 2020.04.17 |
금연(禁燃) (0) | 202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