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하필기(林下筆記) 이유 원
임하필기 제39권
이역죽지사(異域竹枝詞)
[이역죽지사(異域竹枝詞) 서(序)]
청(淸)나라 《직공도(職貢圖)》에 외국의 인물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데, 건륭(乾隆) 때 편찬한 것이다. 해외의 이민족들이 당시에 바친 조공(朝貢)은 《해국도지(海國圖志)》의 숫자와 다르다. 그러나 거기에 기재된 것에 따라 기록한다.
[주-D001] 직공도(職貢圖) : 여기서는 청나라 고종(高宗) 때 편찬한 총 9권으로 된 책을 가리킨다. 당시 여러 외번국(外藩國)들에 대하여 각각 그 남녀의 모습과 그 부장(部長), 속중(屬衆), 의관(衣冠) 등을 그림으로 그리고, 또 성정(性情), 습속(習俗), 복식(服食)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주-D002] 해국도지(海國圖志) : 청나라 위원(魏源)이 지은 책으로 총 100권이다. 역대의 사지(史志)와 명나라 이래의 도지(島志) 및 근역(近驛), 외양(外洋)에 관한 여러 기술들을 채집하여 만들었는데, 기재 내용이 비록 소오(疎誤)함을 면치 못하나 당시에 지극히 소중한 책으로 인정을 받았다.
1 유구국(琉球國)
세 왕은 상 자로 성씨를 삼고 풍속은 글을 숭상하며 / 三王姓尙以文雅
여인은 손에 그림을 새기고 국민은 농사에 노력하네 / 黥手勤農炎海潯
띠는 크게 하고 관은 접어 만들고 옷은 발을 덮었는데 / 大帶圈冠衣覆足
고관들의 등급은 금잠과 은잠을 가지고 차등하였네 / 高官等級金銀簪
유구국은 동남쪽 바다 가운데 위치해 있다. 처음에 세 왕이 있어 모두 상(尙) 자를 가지고 성씨를 삼았다. 그 풍속은 글을 숭상하고, 그 기후는 항상 따뜻하여 곡식과 채소가 잘 된다. 벼슬의 등급은 금잠(金簪)과 은잠(銀簪)을 가지고 차등을 하였고, 누런 비단을 접어서 관을 만들었으며, 옷은 헐렁하고 띠는 컸다. 그리고 부인들의 옷은 길어서 발을 덮었고, 일반 여인들은 먹으로 손을 자자(刺字)하여 화조(花鳥) 형상을 만들었다.
2 안남국(安南國)
네 성씨 교대로 국토 전하는 건 송나라 때 시작 / 四姓替傳肇宋時
한 해에 농사를 두 번 짓고 상제를 중요시하네 / 農成歲二重喪祠
화기를 잘 만들고 관디[冠帶]는 당나라 제도를 따랐으며 / 善治火器冠唐制
부녀들은 금환을 가지고 귀천을 알아본다네 / 婦女金環貴賤知
안남은 옛날 교지(交趾) 땅으로, 본래는 당(唐)나라에 예속되었었다. 송(宋)나라 때에는 정씨(丁氏), 여씨(黎氏), 이씨(李氏), 진씨(陳氏)가 서로 왕위를 전하였다. 그곳 경작지에서는 1년에 농사를 두 번 짓는다. 관디[冠帶]는 당나라의 제도를 따른다. 부인의 귀와 띠에 다는 금환(金環)은 크고 작은 것을 가지고 등급을 나누었다. 백성들은 상례(喪禮)와 제례(祭禮)를 중요시하고 화기(火器)를 잘 만들었다.
3 섬라국(暹羅國)
나곡이 섬을 병탄하여 국호를 세웠고 / 羅斛倂暹建國號
품계 높은 사람은 뾰족한 모자에 구슬을 박았네 / 品高銳頂嵌珠帽
치민에 대해 잘 답변하면 즉시 벼슬을 제수하고 / 民情善對卽除官
백성들 코끼리 사육하는 여가엔 수전을 익히도다 / 飼象之餘習水操
섬라는 바로 수(隋), 당(唐) 때의 적토국(赤土國)인데, 뒤에 나곡(羅斛)과 섬(暹)이라는 두 나라로 나뉘어졌다가 섬은 다시 나곡에게 병탄되었다. 품계가 높은 사람은 위가 뾰족한 금모(金帽)에 구슬을 박았고, 인재를 뽑을 때에는 백성을 다스리는 일을 가지고 문답을 펼쳐서 합당한 자를 만나면 즉시 벼슬을 주었다. 그 백성들은 수전(水戰)에 익숙하고, 코끼리를 길러서 상아를 채취하였다.
4 소록국(蘇祿國)
남자는 머리를 깎고 수수로 술을 빚으며 / 夫刀剪髮蔗爲酤
여인은 비단으로 어깨를 덮고 방주를 채취하네 / 婦錦披肩蚌摘珠
그들의 임금 동쪽 서쪽의 땅을 나누어 서서 / 峒王分立東西主
영락 연간과 옹정 연간에 조공을 바쳐 왔네 / 永樂筐篚雍正輸
소록국은 동남쪽 바다 가운데 위치해 있다. 영락(永樂) 연간에 중국에 조회하러 왔고, 옹정(雍正) 때 또 중국에 와서 조공을 바쳤다. 백성들은 머리를 깎고 수수로 술을 빚으며, 여인들은 비단폭으로 어깨를 덮고, 방주(蚌珠)를 채취하는 것을 생업으로 삼는다.
5 남장국(南掌國)
십 년에 한 번씩 조공하던 월상씨 / 十年一貢越裳氏
비취루 높은 곳에 거처하는 존귀한 사람 / 翡翠樓高尊貴子
백릉으로 이마를 싸맨 노과의 예쁜 여인 / 白綾抹額老撾娥
전필로 몸을 감고 내지에 들어와 무역하네 / 全疋纏身入內市
남장은 옛적의 월상(越裳)이다. 부장(部長)은 높은 누대에 거처하는데, 오랑캐 백성들이 그를 ‘노과(老撾)’라고 부른다. 필포(疋布)로 몸을 감고 백릉(白綾)으로 이마를 싸매며, 내지에 들어와서 무역을 한다.
6 면전국(緬甸國)
십 년에 한 번씩 조공하던 월상씨 / 十年一貢越裳氏
비취루 높은 곳에 거처하는 존귀한 사람 / 翡翠樓高尊貴子
백릉으로 이마를 싸맨 노과의 예쁜 여인 / 白綾抹額老撾娥
전필로 몸을 감고 내지에 들어와 무역하네 / 全疋纏身入內市
남장은 옛적의 월상(越裳)이다. 부장(部長)은 높은 누대에 거처하는데, 오랑캐 백성들이 그를 ‘노과(老撾)’라고 부른다. 필포(疋布)로 몸을 감고 백릉(白綾)으로 이마를 싸매며, 내지에 들어와서 무역을 한다.
7 대서양(大西洋)
살결은 눈처럼 하얗고 코는 우뚝 솟았는데 / 肌膚雪白鼻高昻
검은 전을 삼각으로 꺾어서 모자를 만들었네 / 帽折黑氈三角長
머리털 꼬아 북상투 틀고 옷깃엔 금주(金珠) 달았는데 / 螺髮䰐鬖珠貫領
향산 문오에 임시로 거주하던 대서양 사람들 / 香山門澳僑夷洋
대서양은 한편 ‘이탈리아[意大里亞]’라 칭한다. 살결이 하얗고 코가 우뚝하며, 검은 전(氈)을 삼각으로 꺾어서 모자를 만든다. 부녀자들은 머리털을 배배 꼬아서 북상투를 틀고 옷깃에는 금주(金珠)를 단다. 향산 문오(香山門澳)에 임시로 거주하여 해마다 지세(地稅)를 실어 온다.
8 합륵미제아성(合勒未祭亞省)
충의로워 은덕을 갚고 공설 학교에서 공부하며 / 淳忠報德塾多學
부인들은 정숙하고 정교한 솜씨로 길쌈을 하네 / 貞質精工織不機
팥알만한 금주를 분토처럼 흔전만전 쓰고 / 豆粒金珠糞土用
겨울에는 집을 지어서 추위를 막는도다 / 三冬作室禦寒威
이 나라는 열이마니아국(熱爾瑪尼亞國)에 소속되어 있다. 사람들이 모두 충의(忠義)로워 은덕을 받으면 반드시 갚았다. 학교는 국가나 공공 단체에서 설립하였다. 땅에서는 금과 구슬이 생산되고, 산이 많아서 냉기가 심하다. 사람들은 집을 잘 짓는다. 부인들은 정숙하고 질박하고 정직하며 솜씨가 정교하여 베틀 같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길쌈을 한다.
9 옹가리아국(翁加里亞國)
사람들은 몽고 사람과 모습이 방불한데 / 蒙古儀形彷彿人
영리한 그들 칼도 차고 말 타기도 익히네 / 彎刀馳馬穎精神
부인들까지도 글을 잘 하는 그 나라는 / 文字能通娃亦解
예모를 숭상하며 금은이 있는 곳 알아내네 / 不貪禮俗識金銀
이 나라는 파사니아(波斯泥亞) 남쪽에 위치해 있다. 그 나라 사람들은 몽고(蒙古) 사람과 방불한데 몹시 영리하고 말 타기에 익숙하며 항상 칼을 차고 다녔다. 부인들은 글에 능숙하고, 풍속은 예모를 숭상한다. 금, 은, 동, 철이 수출할 정도로 많이 생산된다.
10 파라니아국(波羅泥亞國)
부인들 가사를 전담하고 내외법이 엄하며 / 持家井井婦人能
꽃 떨어진 봉림에는 호박이 엉기도다 / 花落蜂林琥珀凝
늦봄에도 오히려 지난겨울 가죽 옷을 입고 / 晩春尙服前冬貉
검도를 좋아하고 또 곰놀이를 구경하도다 / 擊劍且看熊子騰
이 나라는 열이마니아국 동쪽에 위치해 있다. 지역이 한랭(寒冷)하므로 초여름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우 갖옷을 입는다. 검도를 좋아하고, 집에서 곰을 길러 곰놀이를 제공한다. 부인들은 가사를 전담하고, 내외법이 엄하며, 봉림호박(蜂林琥珀)이 생산된다.
11 양흑귀노(洋黑鬼奴)
흑귀노는 바로 당나라 시대의 곤륜노 / 黑奴唐代崑崙奴
명사에도 하란이 부리던 오귀가 있네 / 明史荷蘭役鬼烏
구유에 음식을 담아서 말처럼 먹이고 / 饋以一槽如馬食
손에 단봉을 들고 다니며 부려 먹네 / 手提短棒自相呼
이민족들이 부리던 흑귀노(黑鬼奴)는 바로 당시 이른바 ‘곤륜노(崑崙奴)’라는 것이다. 《명사(明史)》에도 하란(荷蘭 네덜란드) 사람이 부리던 노예를 ‘오귀(烏鬼)’라고 일컫는다는 말이 실려 있다. 이민족들은 남은 음식을 말구유통 같은 그릇 하나에 쏟아서 그들을 먹이고 항상
12 양승니(洋僧尼)
교화를 맡고 치세를 맡는 두 왕으로 나누고 / 掌敎掌治分二王
치의와 푸른 두모에 일산 받치고 깃발 꽂네 / 緇衣靑斗盖旛張
승추는 그를 호위하고 남녀는 꿇어앉으며 / 僧雛扈衛婦男跪
중국에 들어간 자는 수염과 모발이 길었네 / 曾入京師鬚髮長
서양에는 교화(敎化)와 치세(治世)를 각각 맡는 두 왕이 있다. 푸른 두모(斗帽)를 쓰고 치의(緇衣)를 입으며, 나들이할 적에는 일산을 받치고 깃발을 꽂으며, 승추(僧雛 소승(小僧))들이 그를 호위한다. 그가 지나갈 적에는 남녀들이 꿇어앉아서 그가 지나가기를 기다린다. 일찍이 중국에 들어간 선교사는 수염과 모발을 길렀다.
13 소서양국(小西洋國)
중국에서 만리나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데 / 中土遙遙萬里天
서양의 대소국들이 서로 칭해 전하도다 / 西洋大小互稱傳
긴 옷과 푸른 머리띠 서로 어울리는데 / 長衣靑帕相交錯
접은 소매에서 수놓은 솜씨를 보겠네 / 摺袖惟看繡譜箋
그 나라는 중국에서 만리나 떨어져 있는데, 대서양(大西洋)에 소속되어 있다. 부녀들은 푸른 머리띠를 머리에 얹고 비단폭으로 소매를 꺾어 접으며, 수보(繡譜)를 가지고 뜨개질을 익힌다.
14 영길리국(英吉利國)
중군에다가 잡색의 다라융을 입고 / 重裙雜色哆囉絨
금루합에 비연을 담아 가지고 다니네 / 壺貯鼻煙金縷中
시집가지 않은 여자 허리 가늘게 하려고 / 未嫁女兒腰欲細
평소 허리를 꽁꽁 묶는 일 이골이 났네 / 生來裝束夙成工
영길리국(英吉利國 영국(英國))은 하란(荷蘭)에 소속되어 있다. 남자들은 대부분 다라융(哆囉絨)을 입고, 여자는 시집가기 전에는 허리를 묶어서 가늘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단의(短衣)에 중군(重裙)을 입으며, 출행할 적에는 금루합(金縷合)에 비연(鼻煙)을 담아 가지고 다녔다.
15 법란서국(法蘭西國)
불랑서는 바로 불랑기인데 / 佛郞西卽佛郞機
미락을 중분하고 여송을 차지했네 / 美洛中分呂宋歸
홍모인과 합세하여 민과 월을 지배하고 / 合勢紅毛閩粤擅
영길리와 패권 다투다 근자엔 쇠미하네 / 爭雄英吉近衰微
법란서는 일명 ‘불랑서(佛郞西)’라고도 한다. 누차 여송(呂宋)을 깨뜨리고, 홍모국(紅毛國 네덜란드)과 더불어 미락(美洛)을 중분해서 살며, 민(閩)과 월(粤)을 모두 손아귀에 넣고 마음대로 하며, 근래에는 영길리와 패권을 다투는데 약간 약하다.
16 서국(?國)
어른에게 절을 하려면 얼른 모자를 벗고 / 禮拜老尊輒脫帽
등편을 가지고 다녀 몸을 호위하도다 / 藤鞭一脚衛身好
옷 밖에 치마를 묶어서 두 소매를 말고 / 衣外束裙雙袂卷
동정을 모나게 하여 가슴을 드러내도다 / 露胸方領金花倒
서국은 또한 하란의 속국이다. 모자를 벗어서 예의를 표하고, 등편(藤鞭)을 가져 몸을 호위한다. 부인들은 동정을 모나게 해서 가슴을 드러내고 옷 밖에 치마를 묶는다.
[주-D001] 서국(?國) : 아마 서전(瑞典), 곧 스웨덴을 가리킨 듯하나 미상이다.
17 일본국(日本國)
옛적엔 왜노였고 당나라 때에 일본으로 고쳤는데 / 古昔倭奴唐日本
성질이 방정맞은 데다 무당을 믿고 불교를 존숭하네 / 信巫崇釋性佻狼
생명을 새털처럼 가볍게 여기고 / 此生如寄輕鴻毛
어디를 가든 칼 하나를 차고 다니네 / 一劍隨身無邇遠
옛날에는 왜노(倭奴)였었는데 당(唐)나라 때 일본으로 고쳤다. 성질이 교랑(狡狼)하여 생명을 가볍게 여기며, 무당을 믿고 불교를 존숭하며, 나들이할 때에는 칼을 차고 다닌다.
18 마진국(馬辰國)
마진국은 본래 문랑마신의 나라인데 / 馬辰國本馬神墟
마원이 교지 정벌 때 데려간 군사들 후예 / 漢士南征苗裔餘
추장은 육지에서 살고 백성은 뗏목에서 사는데 / 夷酋居陸民居筏
등나무와 산초를 채습하고 융단옷을 걸치도다 / 採拾藤椒袒罽裾
이 나라는 본래 문랑마신(文郞馬神)으로서 동남쪽 바다 가운데 위치해 있는데, 후한(後漢)의 마원(馬援)이 남쪽으로 교지(交趾)를 정벌할 때 이끌고 갔던 군사의 후예가 살고 있는 곳이다. 그 땅은 물이 많다. 그 민족의 추장은 육지에서 살고, 일반인은 뗏목에서 산다. 등나무를 채취하고 산초를 주우며, 허리에는 꽃무늬가 있는 융단을 두른다.
19 문채국(汶菜國)
살생을 싫어하고 베풀기를 좋아하고 돼지고기를 금하며 / 惡殺喜施禁食豕
당나라 땐 파라라 불렀는데 서양이 시작되는 지점에 있네 / 唐婆羅號西洋起
무슨 일로 수염은 깎고 구레나룻만 남겨 두는가 / 去鬚底事只留髥
영락 연간에 정씨를 따라간 군사들의 후예국이네 / 永樂年間隨鄭氏
이 나라는 본래 당나라 때의 파라국(婆羅國)인데, 동양(東洋)이 다한 곳이자 서양(西洋)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영락(永樂) 연간에 중국에 들어와 조공을 바쳤다. 정화(鄭和)를 따라간 군사들이 그곳에서 그대로 살았다. 살생을 싫어하고 은덕을 베풀기를 좋아하며, 돼지고기 먹는 것을 금한다. 그리고 수염은 깎고 구레나룻만 남겨 둔다.
[주-D001] 정화(鄭和) : 명(明)나라 성조(成祖) 때의 환관(宦官)이다. 성조가 이역(異域)에 무력을 가하여 중국의 부강(富強)을 과시하려고 정화로 하여금 군사를 이끌고 소(蘇), 절(浙), 민(閩)을 경유하여 바다를 따라 남하하여 남양 군도를 거쳐 비주 동안(非洲東岸)에까지 이르게 하였다. 그러자 정화가 30여 국을 거쳐 가면서 그 나라의 임금이나 추장이 공순할 경우에는 많은 물품을 주고 불순할 경우에는 정복을 하니, 조공을 바치러 오는 나라가 날로 늘어났다 한다.
20 유불국(柔佛國)
살생을 싫어하고 베풀기를 좋아하고 돼지고기를 금하며 / 惡殺喜施禁食豕
당나라 땐 파라라 불렀는데 서양이 시작되는 지점에 있네 / 唐婆羅號西洋起
무슨 일로 수염은 깎고 구레나룻만 남겨 두는가 / 去鬚底事只留髥
영락 연간에 정씨를 따라간 군사들의 후예국이네 / 永樂年間隨鄭氏
이 나라는 본래 당나라 때의 파라국(婆羅國)인데, 동양(東洋)이 다한 곳이자 서양(西洋)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영락(永樂) 연간에 중국에 들어와 조공을 바쳤다. 정화(鄭和)를 따라간 군사들이 그곳에서 그대로 살았다. 살생을 싫어하고 은덕을 베풀기를 좋아하며, 돼지고기 먹는 것을 금한다. 그리고 수염은 깎고 구레나룻만 남겨 둔다.
[주-D001] 정화(鄭和) : 명(明)나라 성조(成祖) 때의 환관(宦官)이다. 성조가 이역(異域)에 무력을 가하여 중국의 부강(富強)을 과시하려고 정화로 하여금 군사를 이끌고 소(蘇), 절(浙), 민(閩)을 경유하여 바다를 따라 남하하여 남양 군도를 거쳐 비주 동안(非洲東岸)에까지 이르게 하였다. 그러자 정화가 30여 국을 거쳐 가면서 그 나라의 임금이나 추장이 공순할 경우에는 많은 물품을 주고 불순할 경우에는 정복을 하니, 조공을 바치러 오는 나라가 날로 늘어났다 한다.
21 하란국(荷蘭國)
영길리국과 홍모국은 같은 종족의 나라인데 / 吉利紅毛一種蕃
불랑기에서 가까운 것이 바로 하란국이네 / 佛郞地近是荷蘭
커다란 배를 오리보다 가볍게 모는데 / 蔽山大艦輕於鴨
바다를 육지보다 안전하게 보기 때문이지 / 萬水看他陸地安
하란국(荷蘭國)은 한편 ‘영길리(英吉利)’라고도 칭하고 일명 ‘홍모번(紅毛番)’이라고도 하는데, 그 땅이 불란서[佛郞機]에 가깝다. 그들은 항상 큰 배를 몰고 다닌다.
22 아라사국(俄羅斯國)
한나라 적의 견곤과 정령이요 당나라 적의 힐알사이며 / 漢代丁令唐戛斯
원나라 때의 길리길사와 아라사였네 / 吉斯元世阿羅思
명나라 삼백 년 후 강희 때에 와서 조공을 바쳤는데 / 明三百後康煕貢
대사과와 소사과가 북쪽 맨 끝에 나열되어 있도다 / 大小斯科極北陲
아라사국(俄羅斯國 러시아)은 북쪽 맨 끝에 위치해 있는데, 한(漢)나라 때의 견곤(堅昆) 부족과 정령(丁令) 부족이었고, 당(唐)나라 때의 힐알사(黠戛斯) 부족 또는 골리간(骨利幹) 부족이었으며, 원(元)나라 때의 아라사(阿羅思) 및 길리길사(吉利吉斯) 등의 부족이었다. 명(明)나라 300년 동안은 중국과 통하지 못하다가 청(淸)나라 강희(康煕) 때에 이르러 중국에 들어와 조공을 바쳤다. 8도(道)를 두어 ‘사과(斯科)’라고 칭하고, 사과마다 또 각각 소사과(小斯科)로 나누었다.
23 송거로국(宋腒朥國)
꿩 꼬리털로 머리를 장식하고 비단으로 허리를 묶고 / 雉尾雙分帛束腰
농사짓고 고기 잡고 코끼리 기르며 섬라에 세금 내네 / 耕漁弄象暹羅徭
좁은 바지 반신에 걸치고 항상 칼을 차고 / 窄袴半身常佩劍
신과 버선은 전연 신지 않고 맨발로 다니네 / 全抛履襪赤條條
이 나라는 섬라(暹羅)에 소속되어 있다. 사람들은 농사짓고 고기 잡고 코끼리를 사육하는 것으로 생업을 삼는다. 머리는 꿩 꼬리털로 장식을 하고, 허리는 필백(疋帛)으로 묶으며, 짧은 웃옷에 좁은 바지를 입고, 신과 버선은 신지 않으며, 항상 칼을 차고 다닌다.
24 간포채국(柬埔寨國)
남자는 하체만 가리는데 여자는 유방만 가리고 / 男衣下體女衣乳
산에서 서각 채취하고 코끼리에게 춤 가르치네 / 角取山犀象演舞
당나라 때 진랍이 남긴 종족이 바로 이 종족 / 唐時眞臘此遺種
만력 연간에 좋은 이름으로 옛 이름을 고쳤네 / 萬曆嘉名改古部
간포채는 바로 진랍국(眞臘國)으로서 안남(安南)과 섬라(暹羅) 사이에 끼어 있는데, 처음에는 ‘감발지(甘孛智)’라 칭하다가 만력(萬曆) 연간에 이름을 고쳤다. 사람들은 코끼리를 길러 재주를 훈련시키고, 산에 가서 서각(犀角)을 채취한다. 남자는 겨우 하체만 가리게 옷을 입고, 여자는 유방만 가리게 옷을 입는다.
25 여송국(呂宋國)
고양이의 눈매와 매의 부리에 코와 신장이 크고 / 猫睛鷹嘴鼻身高
옷 속엔 등나무 줄기로 이삼 층을 감아서 댔네 / 裙裏藤圈三數遭
불란서가 병탄하여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는데 / 佛郞呑倂名仍在
땅은 민의 장주에 가깝고 험한 파도 의지했네 / 地近漳閩倚險濤
이 나라는 남해(南海) 가운데 위치해 있는데, 민(閩)의 장주(漳州)와 거리가 매우 가깝다. 만력 연간에 불란서에게 병탄을 당했는데, 그 이름을 그대로 쓰고 있다. 사람들은 키가 크고 코가 우뚝하고 고양이의 눈매에 매의 부리로 생겼으며, 옷 속에는 등나무 줄기를 2, 3층으로 빙빙 감아서 댄다.
26 가라파국(咖喇吧國)
그릇 정교하고 집 화려하여 중국 사람 모여들고 / 器精室麗集華人
목봉의 머리에 글자를 새겨서 입신을 표시한다 / 木棒鐫頭表立身
낭자에 비녀 꽂고 귀고리 차고 화포로 상체 휘감는 / 髧䯻珥簪花布拖
아름다운 여인들 과일 즐겨 먹고 바느질 잘 한다 / 美姝啖果事縫紉
이 나라는 본래 과왜(瓜哇)의 옛 땅인데, 중국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무역을 한다. 집은 웅장하고 화려하며 그릇은 정교하고 치밀하며, 손에는 목봉(木棒)을 가지고 다니는데 벼슬이 있는 사람은 그 머리에 글자를 새겨서 구별을 한다. 부인들은 낭자를 늘어뜨려 비녀를 꽂고 귀고리를 차며, 화포(花布)로 상체를 휘감는다. 그리고 바느질을 잘 하고 과일을 즐겨 먹는다.
27 마육갑국(嘛六甲國)
처음에는 점성에 있던 만라가였는데 / 初在占城滿刺加
명나라가 국왕을 봉하고 좋은 이름 주었네 / 大明封國錫名嘉
사람은 성질 기교하고 기구는 정교 치밀하며 / 性情機巧器精緻
짧은 바지에 긴 웃옷 복식이 아름답도다 / 短袴長衣服飾姱
이 나라는 본래 만라가(滿刺加)인데, 영락 연간에 중국에 와서 조공을 바치므로 국왕(國王)으로 봉해 주었다. 사람은 성질이 기교하고 기구는 정교 치밀하였다. 그들은 물색 베로 머리를 휘감고 긴 웃옷에 짧은 바지를 입었다.
28 소라국(蘇喇國)
한나라 때의 조지와 당나라 때의 파사 / 漢條支號唐波斯
금과 구슬로 꾸며서 턱 밑에 드리우네 / 繁飾金珠頷下垂
땅은 소문에 접하여 민속이 순후하고 / 地接蘇門民俗厚
기후가 따뜻하여 벼만 있고 보리는 없네 / 有禾無麥暖天時
이 나라는 본래 회회국(回回國)으로서 서남쪽에 위치해 있는데, 바로 한나라 때의 조지(條支)와 당나라 때의 파사(波斯)이다. 기후가 따뜻하여 보리는 없고 벼만 있다. 풍속은 꽤 순후하며, 턱 밑과 가슴 앞을 금과 구슬로 많이 꾸미고 있다.
29 아리만국(亞利晩國)
서양의 속국으로 회회국과 가까운데 / 西洋屬國近回回
비단으로 만든 팔각 모자를 높이 쓰네 / 錦帽峩峩八角裁
좁은 소매로 허리 묶고 손 씻을 그릇 휴대하며 / 窄袖束腰持盥器
옷의 무늬는 간들간들 버들가지와 같도다 / 衣文裊娜柳條開
이 나라는 서양에 있어 회회국과 서로 가깝다. 사람들은 팔각 모자를 쓰고 장의(長衣)를 입는데 장의의 무늬는 버들가지와 같다. 좁은 소매로 허리를 묶고 항상 손 씻을 그릇을 휴대하고 다닌다.
30 서장 제번(西藏諸番
서양의 속국으로 회회국과 가까운데 / 西洋屬國近回回
비단으로 만든 팔각 모자를 높이 쓰네 / 錦帽峩峩八角裁
좁은 소매로 허리 묶고 손 씻을 그릇 휴대하며 / 窄袖束腰持盥器
옷의 무늬는 간들간들 버들가지와 같도다 / 衣文裊娜柳條開
이 나라는 서양에 있어 회회국과 서로 가깝다. 사람들은 팔각 모자를 쓰고 장의(長衣)를 입는데 장의의 무늬는 버들가지와 같다. 좁은 소매로 허리를 묶고 항상 손 씻을 그릇을 휴대하고 다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