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박명지(淡泊明志)
[요약] (淡: 묽을 담. 泊: 배댈 박. 明: 밝을 명. 志: 뜻 지)
마음이 맑고 깨끗하지 않으면 뜻을 밝게 할 수 없다는 뜻으로, 명리를 좇지 않고 뜻을[심지를] 분명히 하다는 의미.
[출전] 《제갈량(諸葛亮)의 계자서(誡子書)》
) -->
[내용] 삼국지(三國志)의 제갈량이 54세에 여덟 살배기 아들에 남긴 계자서(誡子書)는 중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이기도 하며, 일찍이 우리나라 학자들도 이 말을 학문하는 모든 이들에게 보내는 마치 전통처럼 내려왔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계자서(誡子書) 제갈량(諸葛亮)
“군자의 행동은 마음을 고요히 하여 몸을 닦고 알뜰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면서 그 덕을 쌓아야 한다. 마음이 넉넉하고 담백하지 않으면 뜻이 밝을 수가 없고, 고요하지 않으면 큰일을 도모할 수 없다.
무릇 배움은 요란하지 않고 반드시 평온한 마음으로 임해야 하며, 재능은 모름지기 배움에서만 길러진다. 배우지 않는다면 재능을 넓힐 수가 없고, 뜻이 없다면 학문을 이룰 수가 없다.
거만하거나 나태하면 정밀하고 미묘한 이치에 접근할 수 없고, 조급하거나 버둥대면 성품을 잘 다스릴 수가 없다. 세월은 말 달리듯 하고, 의지는 차츰 미약해진다. 설사 뜻을 이루었다 하더라도 차츰 쇠락하는 것이거늘, 막다른 곳에 가서야 한탄하고 궁색함을 안다고 한들, 이미 흘러간 세월을 돌이킬 수가 있겠는가!”
夫君子之行,靜以修身,儉以養德。非澹泊無以明志,非寧靜無以致遠。夫學須靜也,才須學也。非學無以廣才,非志無以成學。慆慢則不能勵精,險躁則不能冶性。年與時馳,意與日去,遂成枯落,多不接世。悲守窮廬,將復何及!
제갈량은 유명한 이 글을 남겨 동양 정신문화 순화와 학문고취에 큰 영향을 주었다. 곧 ‘마음을 비워야만 세상 이치를 깨칠 수가 있고, 심성이 맑고 편안해야 멀리 바라볼 수 있는 것’이 아닌가.
) -->
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
이 글은 경기신문 [근당의고전]淡泊明志(담박명지)에 첨삭하여 재구성 하였음.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유인언(井有仁焉) (0) | 2016.12.14 |
---|---|
언중유골(言中有骨) (0) | 2016.12.12 |
주식형제(酒食兄弟) (0) | 2016.12.09 |
문담(文膽) (0) | 2016.12.08 |
각유등급(各有等級) (0) | 2016.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