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故事成語

수어지교(水魚之交)

淸潭 2013. 5. 26. 09:30

 

수어지교(水魚之交)

劉備(유비)가 諸葛亮(제갈량)을 찾던 三顧草廬(삼고초려) 때의 이야기다. 두번이나 허탕치고 세번째에야 비로소 가까스로 만났는데 사실 關羽(관우)와 張飛(장비)는 처음부터 劉飛가 친히 찾아가는 것에 대해 내심 못마땅해 했다.

"일개 촌부에 불과한 것 같은데 사람을 보내 불러 오게 합시다." 張飛의 말이었다.

결국 두번째도 허탕치자 이번에는 關羽도 참을 수 없다는 듯이 한마디 했다.
"두번이나 찾았다면 예를 다한 셈입니다. 보아하니 諸葛亮은 有名無實(유명무실)한 인물이라 일부러 피하는지 모릅니다. 너무 애착을 갖는 것은 아닌지요."

그러자 張飛도 이때다 싶어 크게 말했다.
"이젠 정말 가실 필요가 없습니다. 녀석이 안오겠다면 제가 밧줄로 꽁꽁 묶어서라도 잡아 오겠습니다."

결국 劉飛의 정성에 감복한 諸葛亮은 하산해 그를 위해 犬馬之勞(견마지로)를 다한다.

유비에게는 관우와 장비와 같은 용장이 있었지만, 천하의 계교를 세울 만한 지략이 뛰어난 모사(謀士)가 없었다. 이러한 때에 제갈공명(諸葛孔明)과 같은 사람을 얻었으므로, 유비의 기쁨은 몹시 컸다.

 

그리고 제갈공명이 금후에 취해야 할 방침으로, 형주(荊州)와 익주(益州)를 눌러서 그 곳을 근거지로 할 것과 서쪽과 남쪽의 이민족을 어루만져 뒤의 근심을 끊을 것과 내정을 다스려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실리를 올릴 것과, 손권과 결탁하여 조조를 고립시킨 후 시기를 보아 조조를 토벌할 것 등의 천하 평정의 계책을 말하자 유비는 그 계책에 전적으로 찬성하여 그 실현에 힘을 다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유비는 제갈공명을 절대적으로 신뢰하게 되어 두 사람의 교분은 날이 갈수록 친밀해졌다. 後에 劉飛는 諸葛亮을 師父(사부)로 모시면서 침식을 같이 할 정도로 극진히 모셨다.

물론 關羽와 張飛는 여전히 불만이었다. 신예인데다가 나이 또한 젊은 제갈량이 더 중요시되고 자신들은 업신여김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때 공명은 27세로 유비보다 20세나 연하였다. 이것을 알아챈 劉飛가 관우와 장비를 달래어 말했다.

"나에게 孔明이 있는 것은 마치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과 같다. 두말없기를 바란다(孤之有孔明, 猶魚之有水 願勿復言)."

 

 

가져온 곳 :
카페 >광산김씨 전북 종친회
|
글쓴이 : 孤巖/準一| 원글보기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出於藍(청출어람)  (0) 2013.05.26
中原逐鹿(중원축록)  (0) 2013.05.26
望梅解渴(망매해갈)  (0) 2013.05.24
陸績懷橘(육적회귤)  (0) 2013.05.24
타산지석(他山之石)   (0) 2013.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