伯牙絶絃(백아절현)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에게는 그 소리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는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 내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울이고 있던 종자기의 잎에서는 탄성이 연발한다.
"아,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솟는 그 느낌은 마치 태산(泰山)같군"
"응, 훌륭해, 넘칠 듯이 흘러 가는 그 느낌은 마치 황하(黃河)같군"
두 사람은 그토록 마음이 통하는 연주자였고 청취자였으나 불행히도 종자기는 병으로 죽고 말았다.
그러자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기(知己)를 가리켜 지음(知音)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순자(荀子) '勸學篇'에,
『옛날에 호파가 비파를 타면 물 속에 있던 물고기가 나와 들었고, 백아(伯牙) 가 거문고를 타면 여섯 필의 말이 풀을 뜯다가 고개를 들어 쳐다 보았다.
그러므로 소리는 작더라도 들리지 않는 것이 없고 행동은 숨기어도 나타나지 않는 것이 없다.
옥이 산에 있으면 풀 과 나무가 윤택하고, 연못에 진주가 생기면 언덕이 마르지 않는다.
선(善)을 행하고 악(惡)을 쌓지 않는다면 어찌 명성이 들리지 않겠는가?』
그 후부터 친한 벗이 죽었을 때 <백아절현(伯牙絶絃)>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석침류(漱石枕流) (0) | 2013.05.20 |
---|---|
郢書燕說(영서연설) (0) | 2013.05.20 |
知 音 ( 지 음 ) (0) | 2013.05.19 |
城下之盟(성하지맹) (0) | 2013.05.18 |
파천황(破天荒) (0) | 201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