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설란은 용의 혀 라는 뜻으로 잎이 용의 혀를 닮았다고 해서 '용설란' 으로 불립니다.
(100년만에 한 번 피는 꽃 "용설란")
▒ 괴로움을 놓아버리는 명상 ▒
괴로움, 그것은 곧 즐거움이다.
즐거움이자 성장이자 도반이자 스승이며
내 삶의 반려자요 수행의 재료이다.
아픔, 괴로움, 서글픔, 상처, 고통, 몸부림, 실수, 좌절, 패배, 슬픔, 공포, 증오...
이런 것들은 곧 우리를 성숙하게 해 주고, 내적으로 성장하게 해 주며,
우리 삶을 더욱 풍성하고 깨어있게 해 주는
스승의 죽비와도 같고 한줄기 목탁소리와도 같은 것이다.
아픔 없는 삶, 괴로움 없는 삶이 어디 있으랴.
우리는 끊임없이 삶의 한복판에서 고통과 좌절과 슬픔, 아픔을 마주하게 된다.
지나 온 삶을 돌이켜 보라.
생의 어느 한 순간에 내 존재를 스쳐 간 수많은 아픔과 고통과 좌절들이야말로
내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지금의 나를 나일 수 있게 해 주는 소중한 감로였고 동반자였다.
그 때 그 아픔이 없었다면 어떻게 지금의 내가 있을 수 있을까.
모든 아픔들, 모든 고통과 좌절들은
어떤 방법으로든 내 삶의 성장과 성숙을 가져다 준다.
어떤 것들은 내가 충분히 깨달을 수 있을 만큼 성장을 가져다 준 것도 있고, 또 어떤 것들에서는 도저히 그 아픔 속에서 무슨 깨달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좋지 않은 기억만을 가져다 준 것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기억 또한 어떠한 방법으로든
지금의 나를 만드는데 분명한 기여를 했으며
내가 알지 못하는 어떤 방법으로 나를 도왔다.
인생의 어느 때가 되고, 내적으로 어느 정도 삶의 통찰이 깊어지게 되면그 때의 그 아픔이 나에게 어떤 성장을 가져다 주었는지,어떤 도움을 주었는지를 깨닫게 되는 날이 있을 것이다.
아픔 없는 삶, 괴로움 없는 삶, 순탄한 삶,
우리가 꿈꾸는 삶은 그런 삶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사실 그런 삶 속에는 깨우침도, 성숙도, 지혜도. 자비도 꽃피어나기 어렵다.
원하는 것을 다 가질 수 있고, 원하는 대로 다 할 수 있는 삶이란
고작해야 우리에게 어리석음과 얕은 정신과 공허한 내면을 가져다 줄 뿐이다.
‘자녀를 망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원하는 대로 다 해 주는 것’이란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나의 아버지는 내가 어렸을 때 넘어져서 어지간히 피가 나더라도
‘일어나자. 일어날 수 있어.’ 하고 응원을 해 주셨을 지언정
호들갑스레 달려와서는 일으켜주고 옷을 털어주지는 않으셨다.
학교 다닐 때에도 빠듯한 용돈을 쥐어 주시며
알아서 잘 쓰라는 말 외에는 어디에 무엇을 썼느냐고 묻지도 않고 맡겨주셨다.
대학 때는 될 수 있으면 알아서 학비며 용돈도 벌어 쓰고
정 힘들 때만 이야기를 하라고 하셨고,
우리 자식들에게 대학 입학 이후에는
알아서 학교도 다니고 결혼도 하고 취직도 해야지
그 다음에는 손 벌릴 생각을 애초부터 하지 못하도록 늘 말씀해 오셨다.
괴로운 상황에서, 혹은 인생의 그 어떤 문제나 좌절 속에서
스스로 이겨낼 수 있도록 믿고 맡겨 주는 것은,
그것은 무관심이나 냉정 그 이상의 지혜롭고 자비로운 배려이다.
수행자의 삶이란 바로 그런 것이다.
영적인 삶, 명상적이고 선(禪)적인 삶이란 것은
그 어떤 삶의 고난과 역경과 좌절 속에서도
그 문제의 뒤뜰 깊은 곳에서 피어나는 꽃봉오리의 의미를 깨닫는 것이다.
2. 100년 만에 한 번 핀다는 가시연꽃입니다. 꽃을 보면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삶에서 어떤 문제에 부딪쳤을 때
그 겉에 드러난 표면적인 상황만을 보기 때문에
쉽게 상처받고, 아파하고, 좌절하며, 괴로워 할 뿐이지만,
보다 영적이고 깨어있는 삶을 사는 이는
그 문제의 깊은 심연에서 피어나는 의미를
언제나 문제는
그 이면에 우리를 돕기 위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우리의 삶에 노크를 한다.
우리의 삶에서 어떤 문제가 생겨났다면
그것은 우리가 삶에서 어떤 배울 것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그 의미를 깨달을 수도 있고,
때로는 그 의미가 너무 깊고 심오하여 깨닫지 못하는 수도 있지만
존재의 깊은 곳에서는 그 의미를 이미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문제나 아픔을 만났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언제나 그 상황, 그 문제를 전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며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보듬어 주고 포용하는 일이다.
그 깊은 의미를 찾고자 애쓸 필요는 없다.
내 깊은 곳에서 알아서 깨달을 것이고,
알아서 이끌어 갈 것이니 그저 믿고 맡기면서 감사하게 받아들이면 그만이다.
보통 사람들이 삶의 어떤 문제를 만났을 때
그 문제를 향해 취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회피이며 둘째는 투쟁이다.
회피는 괴로움과의 대면에 대한 두려움이다.
괴로움을 피해 도망칠 곳을 찾기 위해 애를 쓴다.
그러나 다른 관심사나 일을 찾아 나서면 잠시는
그 문제를 잊은 듯 해도 그것은 사라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고 인연을 만나면 다시 되살아 난다.
또 어떤 사람은 그 괴로운 문제를 어떻게든 이겨보려고 애를 쓴다.
괴로운 문제와의 투쟁을 선포한다.
괴로움을 향해 화를 내 보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기도나 수행을 통해 괴로움을
이겨보려고 애를 쓰기도 한다.
물론 전자보다는 조금 더 낳은 방법일 수도 있겠지만
이 방법 또한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다.
기도나 수행은 그 문제를 없애기 위해,
그 문제와의 투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무기 같은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몸에 병이 들었을 때
그 부분을 창으로 찌르고 칼로 자르는 상상을 하면서
그 부분의 병이 사라지기를 바라기도 하고,
또 어떤 수련단체에서는 이 몸이 있기 때문에 괴로움이
있는 것이라며 무아를 증득하려면 몸을 없애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워몸을 칼로 자르고 폭탄으로 터치는 등
몸을 헤치는 각종 방법을 동원해 상상으로
몸을 죽여 없애라고 권하기도 한다.
3. 행운을 가져다 주는 100년만에 한번 피는 토란꽃
이 두 방법은 모두 지혜로운 중도의 길이 아니다.
부정하면서 회피하고 도망치려는 것이나
그 문제와의 투쟁을 통해 이겨내려는 것
모두 극단의 방법일 뿐이다.
삶에서 부딪치는 그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지혜로운
중도의 길은 회피하거나 투쟁하는 양 극단을 떠나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고(止) 가만히 지켜보는 것(觀)이다.
아픔이 오면 아픔이 오도록 그저 내버려 두라.
아픔이 내 존재 위를 스치고 지나가도록 그저 놔두고
다만 어떻게 왔다가 어떻게 스쳐지나 가는지를 묵연히 바라보기만 하라.
아픔을 나와 둘로 나누어 놓고 나면
아픔으로부터 도망을 치거나, 아니면 싸워 이기거나
둘 중 하나의 방법을 쓸 수 밖에 없지만,
아픔을 나와 둘로 나누지 않고 내 존재의 일부분으로,
내 삶의 하나로써 가만히 포개어 놓고 나면
더 이상 아픔과 싸울 필요도 도망 칠 필요도 없음을 깨닫게 된다.
그것이 아픔과 괴로움과 좌절을 다루는 중도적인 수행방법이다.
사실 수행의 길, 명상의 길, 영적인 구도의 길은
괴로움이 없고 항상 즐거움만 있는 그런 길이 아니다.
어떤 사람들은 명상을 하면
괴로운 일이 사라지고, 장애가 사라지고
항상 즐거운 일만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오히려 구도의 길 위에는
온갖 가시밭길이 놓여 질 수도 있고,
일반인들 보다 더 큰 아픔과 좌절과 슬픔을 겪어야 하는 수도 있다.
아픔과 괴로움을 대항해 싸우려 하지도 도망치려 하지도 않으니
오히려 그들이 물밀듯 밀려들어올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구도의 길을 돕기 위한 법계의 배려요,
신의 사랑이고, 붓다의 자비이다.
지혜로운 이는 문제 속에서, 아픔과 좌절 속에서
붓다의 자비로운 이끎을 보고 신의 사랑스런 도우심을 본다.
그래서 때때로 구도의 길을 걷는 이들은 자신을 단련시키기 위해
일부러 괴로운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신을 더욱 공부의 한 가운데로
몰아넣고자신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런 괴로운 상황 속에서 자신의 마음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지켜본다.
실제로 티베트에서는 수행을 시작하기 전에
괴로움을 청하는 축원을 암송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런 수행을 통해 지혜와 자비와 인내와 정진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럴진데 우리의 삶 앞에 펼쳐지는 그 어떤 괴로움이
생겼다고 아파하고 좌절하고 회피하고
투쟁을 할 필요가 무엇인가.
오히려 그 때를 소중한 공부의 기회로 알아야 한다.
내 삶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내 정신의 지평이 한층 넓어질 수 있는 소중한 기회로 알아야 한다.
물론 즐거운 일도 마찬가지다.
괴로움이 공부의 재료이듯 즐거움 또한 공부의 재료가 된다.
즐거움이 오더라도 거기에 집착해 더 많은 즐거움을
쟁취하려 애쓸 것도 없고그렇다고 고행을 위해
즐거움을 죄다 내다버릴 필요도 없다.
즐거움이 오든 괴로움이 오든
그것은 한줄기 바람이 내 존재 위를 스쳐가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것은 즐거운 것도 괴로운 것도 아닌
다만 ‘어떤 인연’이 잠시 오고 가는 것일 뿐이다.
그러니 들뜰 것도 없고 가라앉을 것도 없는 것이다.
언제나 우리의 인생에서는
‘어떤’일이 일어날 뿐이지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일어나는 법은 없다.
이 모든 ‘어떤 일’들은
항상 부처님의 자비로써 하느님의 사랑으로써
내 존재 위에 살며시 내려앉았다가 인연이
다하면 살며시 돌아 갈 뿐이다.
내 삶에는 괴로운 일도 없고 즐거운 일도 없다.
다만 ‘어떤 일’들이 우리를 돕기 위해
우리의 정신의 지평을 넓혀주기 위해
우리의 심심한 일상에 지혜의 기회를 던져 주기 위해
꿈처럼 환영처럼 잠시 그렇게 왔다 그렇게 갈 뿐.
글쓴이 : 법상스님
'불교이야기 > 禪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라니를 잡아먹는다는 말에… (0) | 2011.08.08 |
---|---|
분별 시비는 모두 놓아버리고 (0) | 2011.08.01 |
마음의 움직임이 번뇌에 막힘 (0) | 2011.06.10 |
생멸없는 법 (0) | 2011.06.09 |
고승들의 열반송 (0) | 201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