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서예실

사륙변려체

淸潭 2009. 7. 1. 09:06

-----

 

“백제 한문학 사상 최초의 사륙변려체”

▲ 익산 미륵사지석탑서 발견 ‘금제사리봉안기’ 전북 익산 미륵사지석탑(국보 제11호) 출토 금제사리봉안기. 백제 한문학 사상 사륙변려체 문장이 처음 등장하는 자료라는 주장이 나왔다. 문화재청 제공

★*…지난 1월 전북 익산 미륵사지석탑(서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이하 사리기·639)에서 백제 한문학 사상 최초의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 문장이 등장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

변체문(騈體文)·사륙변려·사륙문으로도 불리는 변려문은 이른바 ‘대구(對句)’를 존중하며 지은 문장 형식을 가리킨다. 변려문은 시기에 따라 4-4자(구)의 변려문으로부터 4-6자의 변려문으로 바뀌어가는 변화 과정을 거쳤는데, 4-6자의 변려문(사륙변려문)은 변려문 가운데서도 가장 복잡하고 발달된 형식을 보이는 것이다.... 최영창기자 ycchoi@munhwa.com

▲ 문화 닷컴| ‘원본 글 닷컴가기'☜
http://www.munhwa.com
위창 오세창 선생이 엮은 옛 글씨첩 ‘근묵’ 66년만에 완역

★*…29일 서울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에서 김채식 성대박물관 학예사(왼쪽)가 1943년 위창 오세창(뒤쪽 자료화면 사진)이 고려 말에서 조선에 이르는 문인과 정치인의 서간과 시 등을 엮은 ‘근묵’을 설명하고 있다.

★*…추사 김정희가 부인을 잃은 지인에게 보낸 편지. 김정희는 “나는 일찍이 이런 상황에 익숙해진 적이 있기 때문에, 그 단맛과 쓴맛을 잘 압니다. 마음을 안정시키고 슬픔을 삭이는 데는, 종려나무 삿갓을 쓰고 오동나무 나막신을 신고 산색을 보고 강물 소리를 들으며 방랑하는 것이 제일입니다”라고 위로했다.

★*… 고종이 1875년 8월 10일 원행(遠行)을 떠난 영의정에게 쓴 편지. 고종은 이 편지에서 “이번 큰비로 피해가 적지 않을 것 같은데, 백성의 곤궁함과 급박함을 경은 반드시 자세히 살펴 만약 민생을 위해 도울 일이 있거든, 보는 대로 기록하여 보여주기 바란다. 비단옷과 맛있는 음식이 실로 편치 않기 때문이다”라고 썼다. 연합뉴스·사진 제공 성균관대
▲ 동아닷컴| ‘원본 글 닷컴가기'☜
http://ww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