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생활상식

제물 진설의 원리

淸潭 2007. 12. 9. 20:43

  세배와 어른

원래 절이란 인사의 의미도 있지만 “저의 얼” 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얼을 찾아서 키워 가겠다는 의미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해의 시작으로 절을 하고,

덕담(德談)을 듣는 것입니다. 이렇게 절을 하려고 하는 것은

나이 많은 사람이 어른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어른

이란 원래 ‘얼이 큰 사람’을 어른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즉 얼이 큰 사람을 찾아가서 올해 제가 얼을

키워 가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습니까? 하고 그 덕(德)이

되는 답을 듣고 온다는 것이 새해의 덕담입니다. 누가 얼이

크고 작은지 알 수가

없는 요즘 문화에서는 나이순으로 절을 받게

되는데 그러다 보니 덕담은 없고 세뱃돈만 주고받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우리의 문화(文化)가 점차 인성(人性)을 버리고

물질만능(物質萬能)의 시대로 밀려가고 있는

사항인 것 같습니다. 이러한 원리를 알아서

올해는 성숙된 어른의 진정한 덕담(德談)을

주고받을 수 있는 세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이 글을 주면서 읽어보게 하여 바로

보는 눈이라도 열린다면 이것이 바로 덕담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촛불

제사를 지낼 때 아침이거나 대낮인데도 촛불을 켜 놓고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그 이유는 어둠을 밝히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그 보다는 다른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초는

그 불을 밝히려고 하면 자신의 몸이 타야 하는 희생이 따르게

됩니다. 그래서 초에는 심지라는 불을 붙이는 심지가 있는데

이 심지는 바로 심지(心志)라

하여 자신의 마음 공부를 몸이 없어질 때까지 잠시도 마음을

놓치지 않고 일구월심으로

지속적으로 해야 마음을 밝힐 수 있고 그렇게 해야지

이 한 생(生)에 태어나서 자신의 얼을

완성하여 대 신명(神明)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윷놀이

설날 많이 하는 놀이문화로 윷놀이를 들 수

있습니다. 특히 윷놀이는 명절에 하는 것으로

이 설날의 윷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그 놀이 속에

아주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윷놀이의 의미는 결론을 말하자면 지구 일대기의 역사를

한판에 가르치는 놀이 문화입니다.


도(봄): 도(道)의 시작 또는 지구의 시작이라는 의미입니다.
개(여름) : 지구에 이 도의 문화가 열려서

펼쳐진다는 의미입니다.
걸(가을): 도의 농사를 지어서 그 결과를 걸러서 고른다는

뜻입니다.
윷(겨울) : 완성된 영은 윤회(輪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완성): 완성을 이루면 다시 이 세상에 태어남을

암시입니다.

그래서 윷놀이 중에 윷과 모는 다시 한번 더

게임을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즉 지구의 일대기 속에 인류가 이 세상에 와서 자신의 얼과

영(靈)을 키워서 완성을 이루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그 길을 가면서 영적으로 완성을

이루는 방법은 어느 길이 지름길인가를 알려

주는 것이 바로 윷놀이의 윷판이 되는 것입니다. 윷판의

구조를 잘 살펴보며 그 의미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대 추 - 조(棗)

진설을 하는데 과일 중에서 대추를 맨 첫 번째로

두는 것은 어느 집안이나 비슷합니다. 과일 중에서 대추를

으뜸으로 진설(陳設)을 하는 것은 이 대추가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宇宙)의 형상(形象)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지구(地球)도 따지고

보면 큰 우주공간 속에 하나의 별에

지니지 않습니다. 대추는 큰 의미로 우주의 시작이라는 뜻이 있고,

작게는 우주 공간의 태양계(太陽系)를 의미합니다.

또한 우리의 인간세상에서는 국가의 우두머리인

왕(王)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타원형으로 우주의 은하계

(銀河系)를 닮은 과일로 대추가 가장 으뜸이라고 봅니다.

대추나무는 원래 그 목질이

딱딱하고 그 맛은 짠맛이 납니다. 이는 오행의 으뜸인

수(水- 1.6)의 기운을 의미합니다. 원래 수(水)에 해당하는

오행(五行)의 맛은 짠맛입니다. 그래서 물 중에 물인 바닷물도

그 맛이 짠맛입니다. 우리가

정성(精誠)을 들이거나 기도(祈禱)를 하거나 할 때

사용하는 정한수를 놀려 놓는 것도 모두 우주와

통(通)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잡신(雜神)을

물리칠 때 짠 소금을 뿌리는 것도 마찬가지 이치

(理致)입니다.

대추는 우주의 으뜸이고, 과일 중에 으뜸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추가 맨 처음에 자리를

차지하는 것입니다. 대추를 제사상에 놓은 것은

이 원리(原理)를 알아서 하늘의 뜻을 따라 바르게 보고 바르게

정치하는 왕이 집안에 태어나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옛부터 왕(王)은 하늘이

내리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 말을 보아도 대추는

하늘이나 우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밤 - 율(栗)

두 번째의 밤은 대추 다음으로 진설을 하는 것이며 대추가

우주의 근원(根源)이라면 이 밤은 천지인

(天地人)의 사상이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밤은

한 송이에 밤알 3개가 가지런히 들어 있는 것입니다. 국가 조직의

서열로 보면 왕을 보필하는

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고위직에

오르고 그 임무를 수행하려면 높은 인품(人品)과 덕망(德望)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입니다.

또 밤의 형상은 3개의 알이지만 그 성질은 인간의

오복(五福)과 연관이 되어 다섯 성품과 연결되는

의미가 있습니다. 밤은 겉으로는 강한 가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겉으로 또는 대국적, 대외적으로 강직함과

용맹으로 나라를 지켜 영토나 권력을 확보하라는 뜻으로 밤은

그 겉모양이 가시처럼

침으로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알갱이인 밤알을

살펴보면 겉껍질이 단단하고 빛이 납니다. 이는 탄탄하고 야무진

나라를 만들어 가라는 뜻을 지닙니다. 그리고 그 속을 보면

부드러운 하얀 털이 있는데 이는 마치 갑옷의 속은 솜이나 털로

이루어져 있듯이 포근함과 따뜻함으로 국민의 안위(安慰)를

보호하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밤알을 보면

떫은 속껍질이 있는데 이는

너무 보호만 하면 예의범절(禮儀凡節)을 모르고

방자하게 되니 이를 따끔하게 호통을 치면서

엄중하게 꾸짖기도 하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진정한 속 알맹이의 고소한 밤알이

나오게 됩니다. 이는 진정으로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입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다섯 성정(性情)을 두루 갖춘 사람이

정승(政丞)의 반열에 올라야 하고 또 성군(聖君)의 마음을 가져야

정승의 자격이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훌륭한 자손이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이 밤을 제사상에 놓는 것입니다.



  곶감

세 번째에 진설하는 과일은 곶감으로 이 곶감의 씨는 6개입니다.

이는 육조판서의 계열을 의미합니다. 감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의미는 상당히 많습니다.

감은 일단 그 꼭지부터 살펴보면 4개의 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우주의 사상(四象)과 오행(五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다룬 밤의 의미에 5가지의 성질을

다룬 것이 함축되어 포함됩니다. 그래서 감꼭지는 오행(五行)을

상징하고 인간의

오복(五福)을 의미합니다. 이것에 대한 예를 보면

경복궁(景福宮)에 있는 여러 여닫이문들의 문고리를 보면 모두

이 감꼭지 모양의 고리받침이 있는데

이런 것도 다 이 오행과 사상(四象)의 원리를 갖추고 두루

원만하게 나라를 다스리라는 의미를 주는 것입니다.

감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감의 씨를 심어서 나온 나무는 감이

잘 자라지 않고 돌감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감은 항상 고염나무에 접붙이기를 하여

감나무를 키워 갑니다, 그래야 충실한 감이 됩니다.

이는 진정한 깨달음을 얻어서 성품의 평정을

얻으려면 우리 몸과 육체가 아닌 자신의

얼(죽어서는 영)이 제대로 하늘의 기운을 받아 영급이 높아져

그 영(靈)이 익은 사람(덕망을 갖춤 사람)이 되어야 육조판서의

서열에 임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감은 겉에 하얀 분이 생겨 난 곶감을 쓰게

되는데 이는 바로 영혼이 익은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사를 지낼 때 곶감의 꼭지를

떼어 내지 않는 이유도 다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오기(五氣)를 고루 받지 못하면 완성된

성품을 갖추기 힘들고 성품이 바르지 못하면 나라 정치를

바르게 할 수 없는 편협된 시각을 가지기

쉽습니다. 본래 혼(魂)은 뿌연 색으로 나타납니다. 위패를 모시는

지방(紙榜)도 뿌연 모양의 한지(韓紙)를 사용하며, 영(靈)을

키우기 위해 먹는 곡기(穀氣-음식)도 모두 뿌연 색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리하여 감은 후손의 집안에 육조판서(六曹判書)가 나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겨 있는 것입니다.



  배 - 이(梨)

배는 그 자체가 수분이 많은 것이 특징이고 그 맛은 시원함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색은 누런 황(黃)색

입니다. 그리고 배는 지혜로운 사람을 뜻합니다. 배의 수분은

우리의 지혜를 의미합니다. 겉의 잘 익은 누른 색은 도(道)를

이룬 색을 뜻합니다. 즉

지혜롭고 지능이 뛰어나고 세상의 흐름을 시원하게 이끌어

갈 도인(道人)들의 세상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지혜를 지닌 교육자들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씨앗은 8개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8도의 감찰사(監察使)나

방백(方伯) 등을 뜻하는

것입니다.



  사과

이 사과는 겉이 붉은 색이고 그 모양은 하트 모양을 닮아서 사랑을

의미합니다. 인간의 성품이 완성을 이루고 지혜(智慧)를 얻으면

세상에 사랑으로

베풀어서 아름답게 만들어 가라는 뜻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인류를 사랑하고 백성을 사랑하고 세상을 아름답게 꾸려갈

큰 자비(慈悲)와 사랑을 뜻하는

것이 바로 사과입니다. 서로 사랑하는 사회를

이루고 사랑과 기쁨으로 충만한 세상이 되란 것을 암시하는

의미가 강한 것이 사과입니다.



  호 두

호두는 겉모양이 마치 우리 인간의 뇌를 닮은 모양입니다.

그래서 우리인류의 지능적인 발달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지혜로운 성인(聖人) 단계의

아래인 지식이 출중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두뇌가 뛰어난

사람들이 이 세상에 많이 와서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라는 뜻이

숨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호두는 우리의 뇌와 너무나 흡사합니다. 겉이

딱딱한 것도 우리 머리뼈를 쏙 빼어 닮은꼴이고, 그 속을 보면

우리의 뇌 구조와 아주 비슷한 모양

입니다. 그래서 이 호두는 지능이 뛰어나 인재(人才)들이

이 우주에 많이 태어나게 하라는 것을

암시하는 뜻으로 보여집니다.



  은행

이 은행은 그 겉모양이 마치 비행접시 같은

모양입니다. 우수한 두뇌의 소유자들이 이 지구에 많이 태어나면

그들이 과학을 발전시킬 것이고

우주선을 만들어 낼 것이며 그리하여 근대 우주과학을 이루어

간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제사(祭祀)가 차려지는 생활문화

시점에서 과연 우주선이 있고 비행 접시가 있었을까 하는 것에

대한 의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자신이 의식을 받아들이면서 가진 편견(偏見)에서

오는 착오라고 생각됩니다. 우리가 이 지구에 살아온 것은

무려 200만 년이 넘는 시기부터 살아온 것입니다. 이 지구에

지금의 과학(科學)보다 더 발달된 고도의 과학문명(科學文明)

시기가 없다고 보는 자신의 견해에 대한 의심을 한번쯤 가져

보는 것도 자기의 의식을 성장시키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예 - 용, 붕, 도깨비 등)



  옥수수

옥수수는 그 열매가 질서정연한 모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조직 사회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상과 같은 과학(科學)을 발전시키고

또 집단(集團)과 조직(組織)을 이루려면 일정한 질서를

가지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래서 군대조직,

학교조직, 국가 기관의 하부조직 등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포 도

포도는 똑같은 알맹이가 많이 달려 있으면서

그 질서가 일정하지 않게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은

임의 단체나 사회단체 등과 같은 단체를 의미하고, 사회조직을

의미하는 운동권조직(아나키스트)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이 다음으로 놓는 것들은 집안마다 다른데 다른

것들은 생략하고 마지막으로 과일에서 뺄 수 없는

과자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자 : 원래 과자란 과자(菓子), 과일의 열매라는

의미입니다.
옛날에는 여름이나 과일이 나지 않는 시기에 과일을

보관할 수 없어서 곡기를 가지고 과일처럼 모양을 만들어

낸 것이 과자입니다. 그래서 과자는 과일 줄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과자 중에서도 필히 새해

차례 상에 차리는 것이 다식이라는 것입니다.

다식 : 다식(茶食)은 곡기로 만든 과일에 해당하는 과자인데

이 다식은 각기 모양이 다른 문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문양은 아무렇게나 모양만

좋게 만든 것이 아니라 아주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 문양은

모두 우주의 기운의 작용을 도형화시킨

것입니다. 원래 다식판은 한판에 보통 5개의 다식을 찍어내는데

이는 가정의 오복(오행)을 의미하는 뜻이 있습니다.

보통 그믐날 밤에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만들 때는 정성을

들이며 하나의 중요한 의식으로 여깁니다. 마음을 집중하여

이 다식을 만들며 그런 후 틀에서 빼어내다 보면 그 모양이

깨지는 것이 있고 아니면 잘 빠지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깨지는

것을 보며 그 집안의 한해 운(運)이 어디서 문제가 생기는가를

점(占)치는 것입니다. 즉 다식은 한해의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점치는 의식으로 만들어 갔던 것입니다.

복숭아와 살구는 조상의 혼백(魂魄)을 물리치는

기운이 강하여 이를 사용하시면 조상님이 제사 음식을 받으러

오지를 못합니다. 복숭아와 살구는 영혼을 물리치는 강한

기운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사리

고사리는 그 모양을 보면 마치 하늘을 향하여 손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원래 손이란 일을 하는 일손을

뜻합니다. 일을 하기는

하는데 어떤 일인가 하면 이름이

고사리(高事理)이듯이 높고 거룩한 하늘의 일을

하라는 것을 뜻합니다. 과일에서 알려주는 것이

무형(無形)의 사상이나 정신이라면 이제 이러한 것을 세상에

펼치기 위해서 이러한 일을 할 수 있는 일손이 필요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즉 높은 이치의 일이란 다음 나물에서 말해주듯이

하늘의 일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도라지

도라지는 자신의 깨달음을 알아 가는 일을 도(道)를 알아 가는

일이라고 하여 “도를 알지” 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 세상에 태어나서 자신을 깨닫고, 세상을 깨닫고,

도(道)를 통(通)하게 되는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민요의

도라지라는 노래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를 알지

도를 알지 백도라지(영혼을 알지), 심심(心心)마음속 깊이 있는

자신의 영혼을 알지 ........)’ 라는 식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즉 고사리와

도라지의 의미를 합쳐 보면 이 세상에 태어나서

해야 할 가장 큰 일은 자신을 알고 도를 깨달아 가는 일을 하라는

것입니다. 또 그렇게 하려면 실제로

행하는 사람이 세상에 많이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콩나물

콩나물이란 콩이 자라나서 콩나물이 됩니다. 그 콩은 둥글고

두 쪽으로 이루어져서 마치 그 모양이

깨달음의 태극(太極)과 같은 모양입니다. 그런데 이 콩이 뿌리를

내려 자라난 것이 바로 콩나물입니다. 즉 세상에 도를 뿌리내리게

하라는 암시의 뜻이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이 세상에 큰일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려면 일손이 많이 필요하고 그 일을 하는 것은

도를 아는 일이며 도를 알고 나면 그 도를 세상에 널리 펼쳐서

세상에 뿌리내리게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숙주나물

만약에 자칫 잘못하면 도(道)라 하여 유사한 사이비 도(道)가

많으니 이를 잘 살펴서 진도(眞道)를 찾아서 하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숙주나물입니다. 이

숙주나물은 마치 콩나물과 흡사 하게 생겼지만

콩나물은 아닙니다. 그러니 이러한 잘못된 이치에 속지 말고

진도를 찾아서 일을 하라는 것입니다.

숙주나물은 그 맛이 순식간에 잘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도를 찾아 일생을

살다보면 잠깐의 잘못으로 사심(邪心)이 들어 숙주같이 변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흐트러지는

마음을 경계하는 뜻에서

숙주나물을 놓는 것입니다. 그럼 이렇게 일구월심

으로 도를 찾는 구도심(求道心)을 일심으로

살아가는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은 바로 다음에 나오는

나물인 시금치입니다.



  시금치

지금까지 깨닫고 배운 일을 세상을 향해서 펼쳐

나가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마음이 변하지 않도록

머뭇거리지 말고 지금(今) 즉시

깨달았을 때(時) 당장에 그 일을 다스려(治) 전념

하라는 의미의 시금치를 진설하는 방법입니다. 이 시금치는

머뭇거리면 마음이 변질되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해태(김)

육지에도 식물과 동물이 있듯이 바다에도 식물과

동물이 살아갑니다. 바다에서 나는 나물은

해태(海苔)인 김입니다. 김은 그래서 나물 줄에 해당이 됩니다.



  오징어

오징어의 모양을 보면 마치 로켓이나 전투기의 보양을 닮아

있습니다. 그리고 이 오징어가 바다에서 먹물을 뿜으면서 달리는

모습은 마치 전투기가 하늘을 나는 모습을 그대로 연상하게

합니다. 이 오징어를 제사상에 놓게 하는 것은 우리의 지구가

더욱 진화하게 되면 이러한 전투기와 로켓 등이 생겨난다는 것을

예언을 하는 것입니다. 너무나 신기한 일인 것 같이 보이지만

좀 폭넓은 시각에서 본다면 너무나 당연한 일인 것입니다.

시조인 단군(檀君)이 가지고온 삼족오(三足烏-발이 3개

달린 까마귀)의 전설도 바로 이 전투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문 어

문어는 오징어와 유사하지만 오징어는 발이 10개이고 문어는 발이

8개입니다. 즉 오징어는 앞의 전투기를 의미한다면 문어는

우주선, 로켓을 표현한 것입니다. 우주선은 대기권 밖을 나가게

되면 무중력의 기운으로 이 비행선이 유지하게 됩니다. 그래서

제사상에는 문어의 발을 마치 기운형상의 문양으로 칼이나

가위로 잘라서 그 모양을 형상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앞으로

과학이 발달하여 지구촌에 우주선을 만들게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명 태

인류 진화를 의미함. (지구 최초의 생명은 바다에서 시작) 우리의

영은 하늘에서 왔고 우리의 육체는 땅에서 왔으며 땅에서 온

이 육체는 지구 최초에 기에서 미생물이 발전, 진화하여 어류,

육류로 진화 인간의 몸을 형성해 나왔음을 알려주는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가래떡

새해 설날에는 뭐니뭐니 해도 떡국을 먹는 것이

가장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먼저 떡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래떡을 만들게 되는데 가래떡이

둥글면서 길쭉하게 쭉 빠지게 만드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앞에서

다루었듯이 쌀이나 곡기는 기운(氣運)이고, 이것의

의미는 영혼(靈魂)의 양식이고 에너지입니다.

가래떡은 쌀가루로 만들어지는데 이 쌀가루는 영혼의 ‘기운줄’을

의미합니다. 즉 가래떡은 영혼의 기운이 쭉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하여 가래떡은 영혼의 영원함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칼로 썰게 되면 타원형의 모양을 하게 되는데 이는

한해 한해를 나타내는 한해의 주기, 또는

태양계의 모습, 또는 하루의 자전 모습 등 타원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설에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지요. 이는 단순히

떡국 한 그릇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혼의 양식이고 에너지인

떡국을 먹음으로서 영의 급수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하여

기운줄을 놓치지 말고 살아가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입니다.

이와는 달리 추석에는 송편을 합니다. 한해동안

영혼의 농사를 지어서 그 영혼이 어느 정도 성장을 하고 실속이

찾는가를 알아보는 점술법이 송편

입니다. 그래서 송편에는 그 속에 곡식을(팥이나 콩 등) 넣게

되는 것이고, 그 송편을 쪄서 그 모양이

깨지는 정도를 보고 어느 기운이 잘못되었는가를

점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추석에 해 먹는 송편의 의미입니다.



  탕 (天,地,人)

3탕을 많이 쓴다. 탕은 기본 되는 三탕 또는 五탕을 두며 삼탕은

天, 地, 人을 의미하고 五탕은 오행

(五行)을 의미한다. 옛말에 빈곤함에 제사를 못 모실 경우라

하더라도 삼탕은 놓고 제를 올리라. 그래도 어려우면 정한수라도

떠올리라 하였다.
水는 하늘의 생명수이고 우주 근원의 초기 생명이다.

탕은 나열의 어, 육, 체로 되는데 우리 육체가

어류에서 진화하여 기류동물로 진화 발전하고, 농법을 이용하고

정착 농경 생활이 발달해 왔다는

간편한 우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신 위

1. 신위는 전체 제사의 주체가 됨으로 우주원리의

   1 완성의 의미를 뜻한다.
2. 촛대 2, (국밥) 등은 2개를 의미하고, 음(陰)과 양(陽)을 뜻한다.
   1번과 2번을 합하여 天 地 人 3이 된다.
3. 탕은 3탕을 원칙으로 하고 어, 육, 체 로하여 天, 地, 人 이라는

   뜻이 있다.
4. 진설할 때 가로로 5줄을 놓은 것은 5運 (5氣) 뜻이 있기 때문이다.
   (과일줄, 나물줄, 적줄, 탕줄, 메줄)



  원 칙

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왼편에 놓고 식혜는

오른편에 놓는다.
어동육서(漁東肉西) 어류는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과일이나 조과의

붉은 색은 동쪽으로 놓고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률이시(棗栗梨枾) 서편에서부터 대추, 밤, 감, 배, 순으로 놓는다.



  참 고

참고로 조(대추)씨가 하나로 임금을 뜻하고, 율(밤)을 세톨로

삼정승, 시(감.곶감)는 여섯 개로 육방관속, 이(배. 사과)는

여덟개로 8도 관찰사를 뜻하며

조율시이의 순서가 옳다고 하는 예도 있다.

 

 출처  http://blog.naver.com/poomasi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