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달의 세시풍속![]() |
조회 11,149 |
---|
ㆍ1월 세시 ( 원일(元日)-元旦 )
설날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은 세시 풍속뿐만 아니라 민속학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가 부여되는 날이라 할 것입니다. '으뜸되는 아침'이라는 뜻을 지닌 원단(元旦), 원일(元日)은 우리 전통의 생활 속에서 한 해를 맞이하는 의례(儀禮)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 해의 기원과 길 흉(吉凶)을 점쳐보는 소박한 풍속들이 이어오고 있습니다. 정월 초하루의 다양한 풍속과 행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정조차례 - 설날 아침 일찍 제물(祭物)을 사당(祀堂)에 진설(陳設)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합니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새해 첫인사를 드리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하고, 어린이들은 설빔으로 새 옷을 입습니다. 또한 세배 때 대접하는 음식과 술을 '세찬(歲饌)','세주(歲酒)'라 합니다. [ 饌(찬) 반찬 ]
원일음식 - 떡국{병탕(餠湯)} : 차례상에 오르는 대표적인 원일음식(元日飮食)으로 손님 접대에도 쓰이는 세찬(歲饌)입니다. '습면(濕麵)'으로도 불리었으며, 세속(世俗)에서 나이 먹는 것을 떡국을 몇 그릇 먹었냐고 하는 것으로 불리었습니다. * 조리과정 멥쌀가루를 쪄서 떡판에 놓고 나무자루가 달린 떡메로 무수히 찧은 다음 손으로 둥글려 기다랗게 늘여 만든 것이 가래떡{백병(白餠)}인데, 이것을 얄팍하게 돈 같이 썰어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후추가루를 쳐서 먹습니다.
- 시루떡{증병(甑餠)} : 새해 제사에 쓰이기도 하고 상(喪) 중의 삭망전(朔望奠:상중에 있는 집에서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지내는 제사)이나 그밖에 아무 때에라도 신에게 빌 때에 올려 사용했습니다. [ 甑(증) 시루, 餠(병) 떡 , 奠(전) 제물, 전 올리다 ]
* 조리과정 멥쌀가루와 삶은 팥을 각각 층으로 겹겹으로 깔되 쌀가루를 더 두툼하게 까는데, 시루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혹은 찹쌀가루를 몇 겹 더 깔아서 찌기도 합니다.
삼재법 - 나이가 삼재(三災)에 해당하는 사람은 집안 문설주에다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붙여 그 해의 액(厄)을 막는 것입니다. 이 삼재의 해에 해당하는 3년간에는 언동(言動)을 조심하고 모든 일에 삼가며 꺼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삼재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를 말하거나 병난(兵難), 질역(疾疫), 기근(飢饉)을 말하기도 합니다. [ 災(재) 재앙 ] * 삼재(三災) 해당년 사(巳:뱀띠), 유(酉:닭띠), 축(丑:소띠) 출생자 - 해(亥), 자(子), 축(丑)년이 삼재 신(申:원숭이띠), 자(子:쥐띠), 진(辰:용띠) 출생자 - 인(寅), 묘(卯), 진(辰)년이 삼재 해(亥:돼지띠), 묘(卯:토끼띠), 미(未:양띠) 출생자 - 사(巳), 오(午), 미(未)년이 삼재 인(寅:범띠), 오(午:말띠), 술(戌:개띠) 출생자 - 신(申), 유(酉), 술(戌)년이 삼재
덕담 - 새해에 일가친척간이나 친구, 젊은 사람을 만나면 올해는 "시험에 합격하시오." "부디 승진하시오" "아들을 낳으시오" 등으로 처지와 환경에 알맞은 말을 하는 것을 덕담(德談)이라 합니다. 이는 서로 복을 빌고 축의(祝意)를 표시하는 말인 것입니다.
* 청참(聽讖) - 초하룻날 첫새벽에 거리에 나가 맨 처음 들려오는 말소리로 그 해 1년간의 길흉(吉凶)을 점치는 것입니다. 이 때 까지 소리를 들으면, 그 해는 운수 대통하는 것으로 여겨 왔습니다. [ 讖(참) 예언, 참서 ]
윷놀이 {사희(柶戱)}, 윷점 - 윷놀이는 설날의 대표적 민속 놀이로 붉은 싸리나무 두 토막을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드는데, 길이는 세 치 가량입니다. 혹은 작게 반쪽의 콩알만큼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윷을 던져서 노는 놀이입니다. '柶'자는 <설문해자(說文解字) designtimesp=28372>에 의하면 '비(匕)'의 의미로 특히 네 쪽의 나무라는 뜻에서 사희(柶戱)라고 합니다. [柶(사) 윷, 숟가락 ; 윷의 뜻은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함. ] 세속(世俗)에서는 윷을 던져 새해의 길흉을 점치기도 합니다. 대개 세 번 던져서 짝을 지어 64괘(卦)로써 점괘를 알아봅니다.
오행점 - 나무로 장기쪽 같이 만들어 거기에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오행(五行)을 새겨 넣습니다. 그것을 함께 던져서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身數)를 점치는 것을 오행점(五行占)이라 합니다.
ㆍ2월 세시 (삭일(朔日)-초하루[2月1日] )
노비일 - 머슴날 -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긴 겨울 동안 쉬었던 노비(奴婢)들이 2월이 되면 이제 농사 준비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노비들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하루를 즐겁게 쉬게 하여 노비들에게 주식(酒食)을 베풀고 배불리 먹게 하였습니다. 이때 노비들은 농악(農樂)을 치며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보냈습니다. 또한 시절음식인 송편[송병(松餠)]을 노비들에게 그 나이 수 대로 나누어 먹이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노비(奴婢)의 분류는 본래 '노(奴)'는 사내종이고 '비(婢)'는 계집종을 일컫는 것입니다. 고전(古典) 문장에서 노(奴)와 비(婢)의 글자만으로도 성별(性別)을 구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시절음식 - 송편{송병(松餠)} : 현대에는 중추절(仲秋節;추석)의 대표적 음식으로 송편을 들 수 있지만, 본래 송편은 2월 초하루가 시절음식으로 시작입니다. * 조리과정 멥쌀 가루로 반죽을 한 뒤에 콩을 물에 불려서 소{속}를 만들어 넣고 모시조개 같이 빚어서 시루 안에 솔잎을 깔고 그 위에 넣어서 찌는 떡입니다. 푹 익힌 다음 꺼내서 물로 닦고 참기름을 발라서 먹는 것입니다. 떡집에서는 팥, 밤, 검은콩, 푸른콩 등으로 소를 넣거나 혹은 꿀을 섞어 싸기도 하고, 혹은 대추와 삶은 미나리를 넣어서 만들기도 합니다.
노래기부적 - 온 집안을 깨끗하게 쓸고 닦는 대청소(大淸掃)를 하는 날입니다. 특히 이때부터 집안까지 노래기{마륙(馬陸): 마디발 동물로 길이는 3mm에서 28mm까지 있으며 고약한 노린내를 풍긴다}가 나타나기 때문에 주술(呪術)적인 의미로 백지(白紙)에 다음과 같은 8자의 부적(符籍)을 써서 벽이나 서까래에 거꾸로 붙입니다.
香娘閣氏速去千里(향랑각씨[시]속거천리): 향랑 각시야 빨리 천리 밖으로 도망 가라. 각시는 젊은 여자를 의미하는데, 향랑 각시란 냄새가 나는 노래기를 의인화(擬人化)한 것이고, 빨리 없어지라는 주술적 의미입니다. 이때 주술적 부적(符籍)은 대개 붉은 색으로 글을 쓰지만 이 노래기부적은 묵서(墨書:검은 붓글씨)를 합니다.
풍신제 - 영남(嶺南) 지방 풍속에 집집마다 2월 초하루에 고사(告祀)를 지내는데, 이것은 "영등신(靈登神) 모신다"고 하거나 "바람 올린다"라고 하는 풍신제를 의미합니다. 이때 영등신이 무당(巫堂)에게 내리면 그 무당은 동네의 가가호호(家家戶戶)를 돌아다니고, 사람들은 그 무당을 불러다가 고사를 지내고 즐깁니다. 이는 영등할머니{영등파(靈登婆)}라는 풍신(風神)이 2월 초하루에 지상(地上)에 내려와서 20일에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데, 이 영등신이 강림(降臨)할 때 일 년 내의 바람재앙{풍재(風災)}을 면하게 해 달라는 "바람올린다"는 의미의 주술적 고사(告祀)를 행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바람이 불면 흉년이 든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유래되어 영등신이 내려오는 2월 초하루를 "영등날"이라 하고, 2월달을 "영등달"이라 합니다. 또한 제주도의 부락제(濟州道)에도 영등신을 모시는 "영등굿놀이"를 2월 초하루에 행합니다.
콩볶기 - 이 날 콩을 볶아 먹었는데, 콩을 볶을 때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하고 주문을 외었습니다. 이는 새와 쥐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인데, 역시 무사태평(無事太平)과 풍요(豊饒)를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ㆍ3월 세시 ( 삼짇날 - 3일(三日):삼질,중삼(重三),상사일(上巳日) )
삼짇날은 양수(陽數) 중복일 풍속의 하나입니다. 음양설(陰陽說)로 숫자는 짝수가 음기(陰氣)이고 홀수가 양기(陽氣)입니다. 그래서 날짜에 양기가 겹치는 날은 왕성한 양(陽)의 기운이 넘치는 날이기에 예로부터 커다란 명절로 일컬어 왔습니다. 3월 3일, 5월 5일{단오(端午)}, 7월 7일{칠석(七夕)}, 9월 9일{중양절{重陽節)} 모두 커다란 명절이었습니다. 특히 3이라는 숫자는 순양(純陽)의 '1'과 순음(純陰)의 '2'가 결합하여 얻어진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진 길수(吉數)로 여겨졌기에, 3월 3일은 만물(萬物)이 소생하는 왕성한 만춘(滿春)의 봄기운으로 인해 야외에서 얻어지는 풍속이 많은 날입니다. 근래에 삼짇날을 단순하게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로만 인식하지는 말아야 할 것입니다. 금년 삼짇날은 양력으로 서기 1999년 4월 18일입니다.
화전(花煎)과 화면(花麵)
산이며 들에 만발(滿發)하는 개나리와 진달래는 봄의 절정을 알리는 꽃입니다.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와 반죽해서 둥근 떡을 만들어 참기름을 발라 지진 것을 화전(花煎: 꽃부침개)이라 합니다. 9월 중양절(重陽節)에 국화꽃으로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 국화전과 유사한 풍속입니다. 화전은 옛날의 오병(熬餠: 지짐떡) 중의 한구(寒具:한식(寒食)때 먹는 음식의 한가지로 밀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뛰긴 것)로 전해져 오던 것입니다. 또한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익힌 다음 가늘게 썰어서 오미자(五味子) 국물에 띄우고 꿀물을 섞고 잣을 띄운 것을 화면(花麵: 꽃국수)이라 합니다. 화면은 혹 진달래꽃을 녹두에 반죽해서 만들기도 합니다. 이밖에 녹두로 국수를 만들고 붉은 색으로 물들여 꿀물에 띄운 것은 수면(水麵)이라 합니다. 화전(花煎), 화면(花麵), 수면(水麵) 모두 봄의 미각(味覺)을 돋아주는 시절음식(時節飮食)이고, 또한 제사(祭祀)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煎(전)지지다, 달이다. ]
시제사(時祭祀)
조선시대 순조(純祖)대에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designtimesp=28419>에 실린 삼짇날의 시제사(時祭祀) 부분을 인용하겠습니다. 나라 풍속에 기제사(忌祭祀)는 중하게 여기지만 시제(時祭)는 중하게 여지지 않는다. 이는 오랑캐의 비루(鄙陋)한 풍속에서 벋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왕조{조선조} 중엽에 이르러서 어진 선비가 배출되고 사대부 중에 예(禮)를 숭상하는 자가 많아져 비로소 시제(時祭)를 중하게 여기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백성들은 대체로 가난하고 검약(儉略)해서 사계절의 시제를 모두 행하는 자가 드물었고, 봄 가을 두 번 행했는데, 봄은 삼짇날에 지내고 가을은 중양절(重陽節;9월 9일)에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접점(蝶占)
삼짇날에는 나비가 보이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이에 나비점을 치는데, 호랑나비나 노란나비를 처음 보면 길조(吉兆)로 여기고 흰나비를 먼저 보면 흉조(凶兆)로 여깁니다. 꽃들 사이를 나는 나비에 대한 이야기로는 <장자(莊子) designtimesp=28423>의 "호접몽(胡蝶夢)"에 나오는 우주만물의 진리를 엿볼 수 있는 장자의 나비 일화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 蝶(접) 나비 ]
머리감기
삼짇날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윤기가 흐르듯이 아름답다고 해서 부녀자들은 머리를 감습니다.
ㆍ4월 세시 ( 초파일(初八日)- 석가탄신일(釋伽誕辰日:욕불일(浴佛日)) )
- 初八日{4월 8일}은 불교신도들이 석가의 탄신일로 경축하면서 사찰(寺刹)에 가서 재(齋)를 올리고 연등(燃燈)을 하며 제등행렬(提燈行列)을 함으로써 종교적인 차원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기는 하지만 과거 전통 사회에서는 민간의 행사로 성대한 풍속이었습니다. 전통적 풍속으로서의 초파일 세시(歲時)를 살펴보겠습니다. [ 燃(연)불타다. 提(제)들다, 끌다 ]
연등의 유래
초파일의 연등(燃燈) 행사는 신라 때부터 농사기도와 국가발전을 기원하던 예술제 성격의 연등회(燃燈會) 행사로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궁중의 팔관회(八關會)와 함께 민간의 행사로까지 확대된 연등회(燃燈會)가 거행되어 국가적 차원의 성대한 불교의식(佛敎儀式) 행사로 자리잡게 됩니다. 연등 행사 시기는 신라 때에 정월 보름에 행해 지다가 고려 때 계승되어 정월 혹은 2월 보름에 연등회(燃燈會) 행사로 행해지거나 두 차례 모두 실시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초기에 왕실에서 연등회를 베풀기도 했지만 이후 국가적인 행사는 사라지고 민간에서 세시풍속으로 전승됩니다. 현재의 사월 초파일에 연등하는 풍속은 고려시대 고종대(高宗代)에 최충헌(崔忠獻)의 아들이기도 한 최이(崔怡)가 초파일이 석가의 탄신일이기에 연등 행사도 이 날로 변경했다는 <고려사(高麗史) designtimesp=28444>의 기록이 있습니다.
연등풍속
고려 풍속에 초파일 수십 일 전부터 아이들이 종이를 잘라 등간(燈竿: 등불을 달 장대 기둥)에 매달아 깃발을 만들어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돈이나 쌀을 얻어 쓴 것을 호기(呼旗)라 하는데, 이 호기의 풍속이 계승되어 초파일 며칠 전부터 민가에서 등간(燈竿)을 세우고 그 꼭대기에 꿩 깃을 끼워 장식하고 천으로 깃발을 만들어 매답니다. 등간(燈竿)에 등을 다는데, 보통 그 집안의 자녀 수대로 등간을 세우고 등(燈)을 달았다가 9일에 그칩니다.
등의 제작과 종류
등(燈)의 종류는 수박, 마늘, 연꽃 등의 채과(菜果) 모양 등(燈)과 종, 북, 누각, 화분, 가마, 병, 항아리 등의 기물(器物) 모양의 등(燈), 용, 봉황, 학, 잉어, 거북, 자라 등의 동물(動物) 모양의 등(燈) 외에도 칠성등, 오행등, 일월등 등의 천문(天文) 모양의 등(燈)과 수복등(壽福燈), 태평등, 만세등(萬歲燈), 남산등(南山燈) 등의 상징적 문자(文字) 의미의 등(燈) 등 아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등(燈)의 제작은 종이를 바르기도 하고 혹은 붉고 푸른 천을 바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데, 고사(故事)의 인물상이나 동물 그림 등을 그려 천태만상(千態萬象)의 오색찬란(五色燦爛)한 다양한 모양의 등을 만듭니다.
연등놀이
연등 놀이를 하는 초파일 저녁을 등석(燈夕)이라고 하는데, 이 날은 전례에 따라 야간의 통행을 허락하며 서울 장안의 사람들은 산기슭에 올라가 달아놓은 등(燈) 구경을 합니다. 혹 악기를 들고 쏘다니거나 등을 들고 돌아다니는 제등행렬(提燈行列)을 하면서 밤새도록 떠들썩하게 그치지 않았습니다. 연등 놀이가 왕성한 시기에는 낙화희(落火戱)라 해서 일종의 불꽃놀이처럼 등간(燈竿)에 매달린 등 줄 사이에 숯과 사기 파편을 넣은 주머니를 매달고 불을 붙여 터뜨리며 불꽃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초파일 여습(餘習)
소밥{소반(素飯)} : 초파일에 느릅떡{유엽병(楡葉餠)}, 볶은 콩, 삶은 미나리 등을 차려 놓고 손님을 천해서 음식을 대접하는데 이를 석가의 탄신일에 고기 반찬 없는 소밥이라 합니다. - 물장구 놀이{수고희(水鼓戱)} : 아이들이 등간(燈竿) 아래에서 물동이에 물을 담아 바가지를 엎어 띄워 놓고 빗자루로 박아지를 두드리면 단조로운 소리가 나는데, 이를 물장구 놀이라 합니다. [ 素(소)바탕, 희다. 飯(반) 밥. 鼓(고)북, 치다. 戱(희) 놀이 ]
ㆍ5월 세시 ( 단오(端午)의 정의(正義) 및 유래(由來) )
端午節{음력 5월 5일}은 동양세계에서 고래(古來)로 지켜온 대표적 명절(名節) 중의 하나로, 특히 양수(陽數)[기수(奇數)로도 표현함]가 겹치는 날[3월3일, 5월5일, 7월7일, 9월9일]의 명절 중 볕이 가장 강하다고 하여 성대하게 풍속(風俗)이 행해지는 날입니다. 가정에서는 정갈한 음식을 마련해 단오차례(端午茶禮)를 지내고 여러 가지 풍속 놀이를 하며 하루를 즐깁니다. 단오의 의미는 초오(初午)라는 뜻으로 5월의 첫 오일(午日: 말의 날)을 말하고, 수(數)에서 홀수가 음양(陰陽)의 양수(陽數)에 해당하기에 달과 일의 수(數)가 겹치는 날이기도 한 5월 5일이 큰 명절이 되었습니다. 별칭(別稱)으로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端陽) 등으로 불리며 우리 나라에서는 수릿날이라고도 불립니다. [ 端(단)단오, 단정하다, 실마리, 끝 ]
단오의 유래 [중국(中國)]
시절전래설(時節傳來說) : 문헌상에도 고대 한(漢)나라 시절부터 단오 풍속의 기록이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5월 5일의 풍속이 생겨난 것은 비가 많이 내리기 시작하는 5월을 맞아 악질(惡疾)이나 액(厄)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豫防) 풍속이 생겨난 것으로 봅니다. 약초(藥草)나 창포(菖蒲)를 사용하거나 쑥으로 인형(人形)을 만드는 풍속에서 보이듯이 향(香)이 강한 풀이나 약초(藥草) 등으로 액(厄)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명절로 정해진 것입니다.
- 굴원고사설(屈原故事說)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충신(忠臣)이었던 시인(詩人) 굴원(屈原)이 충절(忠節)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 임금을 그리면서 유배지(流配地)의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은 날이 5월 5일이었기에 그를 기리는 뜻으로 대나무 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무 잎으로 싸서 물 속에 던지던 풍속이 변해 대나무 잎에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속으로 발전된 것으로 봅니다.
[우리 나라]
- 수릿날 : '수리[한자어로는 술의(戌衣)]'의 의미는 '신(神), 상(上), 고(高)'의 뜻으로, 상일(上日), 신일(神日)의 의미를 수릿날로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모내기 파종(播種)을 끝 맺는 5월이면 군중(群衆)들이 모여 하늘[신(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고 가무(歌舞)와 음주(飮酒)를 즐겼다는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한전(韓傳)[마한(馬韓) 기록] designtimesp=28480>의 기록을 보면 농경(農耕)의 풍작(豊作)을 기원(祈願)하는 풍속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는 '수리'를 '거(擧: 수레)'의 의미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단오절 시절음식(時節飮食)의 하나인 쑥떡을 수레바퀴 모양으로 만들어 먹기 때문에 수릿날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오절(端午節)이 대표 명절이 된 것은 좋은 기후의 계절에 양수(陽數) 중복의 날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굳어진 것으로 봄이 마땅할 것입니다.
단오제(端午祭)
단오날에 지방에서는 그 지방 향토신(鄕土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풍속이 있습니다. 강원도(江原道) 강릉(江陵)과 삼척(三陟)에서 행해지는 단오제(端午祭)가 가장 유명한데, 특히 강릉의 단오제는 커다란 축제(祝祭) 형태로 여러 날 행해집니다. 수많은 군중(群衆)들이 보는 앞에서 40-50여명의 무격(巫覡)들이 모여서 제사(祭祀)를 지내는데, 대관령(大關嶺)의 성황신(城隍神)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고 가면(假面) 놀이와 유희(遊戱)를 즐기면서 그 해의 풍년(豊年)과 대관령의 산행(山行) 안전(安全)을 기원합니다. 삼척에서도 오금잠제(烏金簪祭)라는 단오제를 지내는데,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유물(遺物)이라고 하는 비녀[잠(簪)]를 함(函)에 모시고 무당(巫堂)의 가무(歌舞)로 화(禍)를 물리치고 복(福)을 부른다[제화초복(除禍招福)]는 의미로 기원하는 의식을 여러 날 축제로 행합니다.
ㆍ6월 세시 ( 유두(流頭) )
流頭{음력 6월 15일}는 본래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이란 말의 준말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동편의 맑은 시냇가에서 머리 감고 몸을 씻는다"는 의미인데, 여름철 더운 날씨를 이겨내는 방법이며 동쪽은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곳으로 청(靑)에 해당하기에 '동류(東流)'를 택하여 불길한 것을 씻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극기(金克己)의 문집(文集)에 신라(新羅) 동도(東都; 경주)지방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몸을 청결하게 하고 하루를 맑게 노닐면서 지내면 상서(祥瑞)롭지 못한 기운을 제거하고 여름철의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의미로 행해지는 토속적(土俗的)인 풍속입니다. 풍속 가운데 매월 15일 보름날에 행해지는 풍속이 많기 때문에 유두일(流頭日) 역시 정월 대보름과 8월 한가위, 백중절(百中節)[7월 15일], 시월 시제(時祭)[15일 전후] 등과 함께 6월의 큰 명절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유두연(流頭宴)
일반적인 유두(流頭) 풍속의 일환으로 문인(文人)들이 유두일(流頭日)에 술과 안주를 마련해서 산천의 계곡이나 정자(亭子)를 찾아 자연을 벗삼아 자연(自然)을 읊으며 풍류(風流)을 즐기는 것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합니다.
유두천신(流頭薦新)
또한 새로 나오는 과실(果實)인 수박, 참외 등과 함께 국수와 떡을 만들어 사당(祠堂)에 제(祭)를 올리는데, 이를 '유두날 새 것을 올린다'는 의미의 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 합니다. 이는 조상숭배사상이 강한 우리 민족의 자연스러운 생활양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 薦(천)올리다,천거하다. ]
시절음식
- 유두면(流頭麵) : 유두일에 특별히 국수를 만들어 먹는데, 이를 유두면(流頭麵)이라 합니다. 특이하게 구슬처럼 만드는데, 유듀면을 먹으면 더위에 고생하지 않고 장수(長壽)한다고 합니다. 또한 거기에 오색(五色) 물을 들여 세 개씩 포개어 색실로 꿰어 허리에 차거나 문설주에 걸어놓는데, 잡귀(雜鬼)의 출입을 막고 액(厄)을 물리친다고 합니다. [ 麵(면)국수 ; 본래는 '麥+面'입니다. ]
- 수단(水團), 건단(乾團) : 찹쌀가루를 쪄서 반죽해 구슬처럼 만들고 얼음물에 넣어 꿀을 타서 먹는 것을 수단(水團)이라 하고, 얼음물에 넣지 않는 것을 건단(乾團)이라 합니다. 수단은 보통 사당(祠堂)에 올리는 제사(祭祀)에도 씁니다.
- 연병(連餠) : 밀가루를 반죽해서 판 위에 놓고 방망이로 밀어 넓게 만들어 기름에 튀기거나 콩을 묻혀 꿀을 발라 만들어 먹는 것을 연병(連餠)이라 합니다. [ 餠(병) 떡 ]
- 상화병(霜花餠) : 역시 밀가루를 반죽하여 콩이나 참깨로 소를 만들어 넣어 찐 것을 상화병(霜花餠)이라 합니다.
ㆍ7월 세시 ( 칠월(七月) 칠석(七夕) )
七夕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의 애틋한 사랑 전설(傳說)을 간직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아낙네들의 길쌈 솜씨나 청년들의 학문 연마(硏磨)를 위해 밤하늘에 별을 그리며 소원을 빌곤 합니다. 애절한 사랑 전설(傳說)만큼이나 잠 못 이루는 한여름 밤의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 칠석(七夕)은 천상(天上)과 지상(地上)을 연결하는 풍속(風俗)으로 발전합니다. 양력(陽曆) 1999년의 칠석(七夕)은 8월 17일입니다.
[ 牽(견) 끌다. 織(직) 짜다 ]
전설과 유래
은하수(銀河水)의 양 끝 둑에 살고 있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 칠석(七夕)입니다. 너무나 사랑을 속삭이던 두 별은 옥황상제(玉皇上帝)의 노여움으로 1년에 한 번 칠석(七夕) 전날 밤에 은하수(銀河水)를 건너 만나게 됩니다. 이 때 까치[작(鵲)]와 까마귀[오(烏)]가 날개를 펴서 다리를 놓아주는데, 이 다리를 오작교(烏鵲橋)라 합니다. 그래서 칠석날 아침에 비가 내리면 견우직녀(牽牛織女) 상봉(相逢)의 눈물이요, 저녁에 비가 내리면 이별(離別)의 눈물이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설(傳說)과는 달리 실제 천체(天體)의 운행(運行)에서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의 각(角)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고 단순하게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이맘때 즈음에 초저녁 하늘 가운데 뜨기 때문에 시야(視野)에 가득 들어오고 7월 7일이 양수(陽數)가 겹치는 왕성한 날이기에 애절한 견우직녀 전설과 함께 어울려 늦여름의 행사로 정착된 것입니다.
의(衣), 서(書) 말리기
여름철 장마가 지난 뒤에 습기(濕氣)가 찬 의류(衣類)나 서적류(書籍類)가 좀이 먹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칠석날을 기해 강한 여름철 햇빛에 말려 무사히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칠석 절식
더위가 약간 줄어든 이 시절에는 오이와 참외가 많이 나고, 호박이 잘 열려 호박부침을 즐겨 만들어 먹고 칠성당(七星堂) 재(齋)에 올리기도 합니다.
ㆍ8월 세시 ( 중추절(仲秋節) : 秋夕, 한가위, 가위, 가배(嘉俳) )
仲秋節{8월 보름} 한가위는 원단(元旦: 설)과 함께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답게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가위'라는 명칭이 신라 시대 가배(嘉俳 : 혹은 嘉排) 풍속에서 변천된 것이고, '추석(秋夕)'이라는 명칭은 <예기(禮記)>의 "춘조월추석월(春朝月 秋夕月)"에서 유래된 것으로 봅니다. 특히 가을의 중심 8월은 만물이 성숙(成熟)하는 좋은 철이기에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하여 온갖 음식과 과실(果實)을 풍성하게 장만합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하는 속담(俗談)에서도 알 수 있듯이 풍요로움 속에서 조상의 은덕(恩德)을 기리고 밝은 한가위 달과 함께 다양한 행사와 풍속으로 지냅니다.
[嘉(가)아름답다,좋다. 俳(배)광대. 排(배)물리치다 ]
가배 유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등에서 찾을 수 있는 가배(嘉俳)의 유래(由來)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때에 육부(六部)를 나누어 두 편을 만들고 왕녀(王女) 2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나눈 부락(部落)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7월 16일부터 매일 큰 부락의 광장에 모여 길쌈 짜는 내기를 하는데, 을야(乙夜 :밤 9시 - 11시)가 되어서야 하루를 마쳤습니다. 그러다가 8월 보름이 되면 각 편의 길쌈 결과물의 많고 적음을 따져 내기에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합니다. 이때 노래와 춤을 추며 온갖 놀이를 즐겼는데, 이를 가배(嘉俳)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때 내기에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하면서 "회소(會蘇) 회소(會蘇)"라고 노래를 부르는데, 그 소리가 애절(哀絶)하면서도 단아(端雅)해서 후대 사람들이 그것으로 노래를 지어 '회소곡(會蘇曲)'이라 합니다."
이상의 사료(史料)를 통해서 그 유래를 살펴보면 신라(新羅)가 부족국가(部族國家)에서 고대국가(古代國歌) 체제(體制)로 전환되는 시점에 부족의 결속력(結束力)과 응집력(凝集力)을 모으는 방편으로 길쌈내기를 시행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회소(會蘇)'라는 의미 역시 "모여서[會] 다시 하자[蘇]"라는 아쉬움의 표현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가배(嘉俳)는 국가적 단결(團結) 행사에서 출발하여 풍요와 결실의 계절에 넉넉함을 나눌 수 있는 풍속(風俗) 행사로 발전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차례와 벌초 농사일도 거의 끝나 햇곡식을 먹을 수 있는 시기이기에 새로 수확(收穫)한 곡식(穀食)이나 과실(果實)로 사당(祠堂)에 차례(茶禮)를 올리는데, 절차는 설날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이와 함께 한식(寒食) 때 손질한 이후 여름철 내내 풀로 무성한 조상(祖上)의 묘소(墓所)를 찾아 벌초(伐草)를 함으로써 겨울을 잘 지낼 수 있도록 합니다. 고향(故鄕)을 찾아 떠나는 민족(民族)의 대이동이 시작되는 이 시기는 조상(祖上)의 음덕(陰德)을 잊지 않는 우리 민족(民族)의 아름다운 풍속(風俗)의 한 모습입니다.
ㆍ9월 세시 ( 중양절(重陽節) : 중구(重九), 구중(九重) )
重陽節{음력 9월 9일}은 양수(陽數)가 겹친 날이라는 의미이고, 중구(重九) 역시 구(九)가 중복된다는 의미입니다. 중양절은 양수중복일(陽數重複日) 풍속의 하나로 가을의 정취를 더해주는 계절의 풍요로움으로 인해 다양한 시절음식(時節飮食)과 풍속(風俗)들이 행해집니다. 또한 이 날은 제비가 강남(江南)으로 간다고 전해지는데, 실제 이 시기가 되면 제비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시절음식(時節飮食)
- 국화전(菊花煎) : 여염(閭閻)집 가정에서 이 날 국화 꽃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해 단자(團子) 모양의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데, 이를 국화전(菊花煎)이라 합니다. 국화전은 3월 3일 삼짇날의 봄철 진달래 화전(花煎)과 동일한 가을철 화전(花煎)입니다. 본래 국화전의 유래(由來)는 서울 사람들이 9월 9일에 밀가루로 떡을 쪄서 나누어 먹었다는 이야기 맹원로(孟元老)가 서술한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에 전합니다.
- 화채(花菜) : 잘게 썬 배와 유자(柚子), 석류(石榴)를 꿀물에 타서 잣을 띄워 마시는 것을 화채(花菜)라 합니다. 특히 화채는 계절의 미각을 느끼게 해주는 시절음식으로 제사(祭祀)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단풍놀이
서울 풍속에 중양절(重陽節)을 맞이해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남산(南山)이나 북악산 등에 올라가 시식(時食)을 배불리 먹고 하루를 흥겹게 지냈는데, 이를 단풍놀이라 합니다. 이는 본래 중국 후한(後漢) 때 환경(桓景)이라는 사람에게서 유래된 '등고(登高)'의 풍속을 답습한 것입니다. 특히 시인(詩人), 묵객(墨客)들은 술과 음식을 마련해 국화꽃잎을 술잔에 띄워 마시며 풍류(風流)를 즐기면서 가을을 만끽했습니다. 이러한 전통(傳統)은 가을 소풍이나 단풍놀이로 현대까지 계승(繼承)되어 오고 있습니다
ㆍ10월 세시 ( 시월 제례풍속 : 오일(午日) , 시제(時祭) )
十月은 '상달'이라 하듯이 겨울을 준비하는 맹동(孟冬)이자 입동(立冬)의 달이면서 다양한 제례(祭禮)의 행사가 행해지는 때입니다. 오일(午日: 마일(馬日)) 고사(告祀)와 성주제, 그리고 시제(時祭) 등 많은 제례 행사는 감사(感謝)와 안녕(安寧)의 기원을 희망하는 풍속들입니다.
오일(午日)
'오(午)'는 12지수 가운데 말{마(馬)}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시월 오일(午日)이 되면 말을 소중하게 여기고 무병(無病)을 기원하는 고사(告祀)를 지냈는데, 팥으로 시루떡을 쪄서 마구간에 차려놓고 고사를 지냈습니다.
보통 시월에 두 번 정도의 오일(午日)이 드는데, 병오일(丙午日)일 때에는 '병(丙)'이 병이라는 의미의 '병(病)'과 음(音)이 같아서 고사(告祀)를 지내지 않고 금기(禁忌)시 했고, 무오일(戊午日)일 경우는 상마일(上馬日)이라 해서 아주 성대하게 지냅니다. 이 역시 '무(戊)'가 번성한다는 의미의 '무(茂)'와 음(音)이 같은 것에서 연유합니다.
성주제
'성주'는 민속(民俗)에서 집안을 지키는 신령(神靈)으로 일컫는데, 주로 오일(午日)에 각 가정에서 성주에게 지내는 제사를 성주제라 합니다. 성주신은 상량신(上樑神)을 의미하는데, 집안에서 제일 높고,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담당하고 있어 제물(祭物)을 마련해 제사(祭祀)를 지내거나 무당(巫堂)을 불러 굿을 하는 경우도 있어 '성주굿', '성주받이굿' 등으로도 불립니다.
시제(時祭)
시월 보름날이나 그 날을 전후해 조상신(祖上神)에게 지내는 제사(祭祀)를 시제(時祭) 또는 시향(時享)이라 하는데, 시월 시제는 동지(冬至) 뒤 세 번째 미일(未日)에 지내는 납향(臘享)과 함께 겨울철 대표적인 제례(祭禮) 행사입니다. 본래 조상(祖上)에 대한 제사(祭祀)는 4대 봉사(奉祀)라 해서 4대조까지는 사당(祠堂)이나 집안에서 지내고 5대조 이상의 조상들은 늦가을에 묘소(墓所)에서 직접 제사(祭祀)를 지내온 것입니다. 근래에 와서 5대조 이상의 조상들의 시제(時祭)를 위해 별도의 지역에 사당(祠堂)을 설립해 시제를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 臘(납) 납향, 섣달 ]
ㆍ11월 세시 ( 동지(冬至) : 아세(亞歲) )
冬至{양력 12월 22, 23일경}는 겨울철의 대표적 명절(名節)로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하지(夏至)와 대칭되는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입니다. 자원(字源)으로 볼 때도 하지.동지의 지(至)자의 의미가 '이르다, 지극하다'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하지와 동지는 태양의 운행을 중심으로 여름과 겨울의 도달을 의미하면서 또한 그 계절의 정점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지는 고대(古代) 시절에 설{원단(元旦)}로 삼았던 때가 있었기 때문에 아세(亞歲: 작은 설)라고도 합니다. 특히 민간(民間)에서는 동지 팥죽이라 하여 팥죽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합니다. [ 亞(아) 버금 ]
冬至팥죽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먼저 사당(祠堂)에 차례(茶禮)를 지내고 나서 방이나 마루, 광 등에 한 그릇씩 놓고, 또한 솔잎에 적시거나 수저로 떠서 대문, 벽 등에 뿌려 액(厄)을 막고 잡귀(雜鬼)를 물리쳤습니다.
* 동지팥죽의 유래 중국 고대(古代) 요순시대(堯舜時代) 때, 형벌(刑罰)을 담당했다고 하는 신화(神話)적인 인물인 공공씨(共工氏)에게서 유래된 이야기입니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가 불초(不肖)한 자식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 귀신[역귀(疫鬼)]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역귀(疫鬼)가 생전(生前)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疫鬼)를 쫓는 풍속(風俗)으로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붉은 빛은 양기(陽氣)를 의미하기에 붉은 빛을 띠는 팥이 귀신을 쫓는 역할(役割)을 하는 음식으로 전래(傳來)되어 잡귀(雜鬼)를 물리치는 용도로 팥죽을 사용해 왔다는 것입니다. [ 疫(역) 돌림병, 염병 ]
* 조리 과정
동지 팥죽은 팥을 삶아 으깨거나 체에 걸러내고, 찹쌀로 새알 정도 크기로 단자를 만들어 함께 쑤는데, 이 단자를 '새알심'이라 합니다. 새알심의 의미는 아마도 새알의 부화(孵化)를 의미하는 새로운 변화의 의미를 상징하는 것으로 봅니다. [ 孵(부) 알까다 ]
冬至달력
조선조 시대에는 동지(冬至)가 되면 관상감(觀象監)에서 새 달력을 만들어 궁궐(宮闕)에 올렸습니다. 임금은 이를 황색 표지의 '황장력(黃粧曆)'과 백색 표지의 '백장력(白粧曆)' 등으로 분리해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옥새(玉璽)를 찍어 신하(臣下)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또한 각 관청(官廳)에서도 일정 수량의 책력(冊曆)을 나누어 받고, 각자 자신의 친분있는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이것이 전래되어 서울 지방에서는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는 풍속이 정착되는데, 이는 여름철에는 단오날 부채를 선물하고, 겨울철에는 동짓날 달력을 선물하는 풍속입니다. [ 粧(장) 화장하다, 꾸미다. 璽(새) 옥새. 扇(선) 부채 ]
전약(煎藥)
궁궐의 내의원(內醫院)에서는 동짓날이 되면 겨울철 내내 사용하기 위해 계피, 후추, 설탕, 꿀 등을 쇠가죽과 함께 푹 고아 고약(膏藥)을 만들어 진상했는데, 이를 전약(煎藥)이라 합니다. 현대의 고약(膏藥)이 여기에서 전래된 것입니다. [ 煎(전) 달이다, 지지다 ]
ㆍ12월 세시 ( 납일(臘日) - 납평(臘平) : 가평절(嘉平節) )
- 臘日은 중국에서 시작된 풍속이지만 오행신앙(五行信仰)에 의해 시대와 나라마다 납일을 정하는 방식이 달라 동지(冬至) 후 세 번째 술일(戌日), 진일(辰日) 등으로 이어왔는데,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冬至) 후 세 번째 미일(未日)에 해당하는 날을 납일(臘日)로 정하고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큰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오색(五色)으로 청제(靑帝)는 미랍(未臘)에 해당하니, 오행(五行)으로 목(木)에 해당하고 목(木)은 방위로 동(東)에 해당하기에 동방(東方)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미일(未日)로 정해졌다."라는 설(說)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금년의 납일을 따져보면 양력(陽曆)으로는 서기 1999년 1월 19일이고, 음력(陰曆)으로는 무인년(戊寅年) 12월 2일{申未日}에 해당합니다.
납향(臘享)
臘(랍)은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의하면 왼쪽 부분은 육(肉)변이고 오른쪽 부분은 '랍'의 발음으로 의미는 '백신(百神)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라 했습니다.
그래서 납일에 한 해 동안의 일이나 농사 결과를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납향(臘享) 또는 납제(臘祭)라 합니다. 납향으로 인해 납일(臘日)의 명칭이 정해졌고, 12월을 납월(臘月)이라 불리는 것도 여기에서 연유합니다. 국가에서는 이 날 새나 짐승을 잡아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공물(供物)로 바치고 제사를 지냈는데, 사맹삭(四猛朔;춘하추동의 각 첫 달인 1,4,7,10월의 삭일 제사)과 함께 5대제향(五大祭享)으로 중요시했고, 민가에서도 혹 제사를 지냈습니다. 또한 제향에 사용하는 제물(祭物)에 관련된 일화(逸話)가 있습니다. 납향의 제물은 멧돼지와 토끼를 쓰는데, 조선조 후기 정조(正祖)대에 경기도 산골 군(郡)에서 국가에 헌상할 멧돼지를 잡기 위해 온 군민이 동원되는 폐단을 없애고자 정조 임금이 서울의 포수에게 명해 용문산(龍門山)이나 축령산(祝靈山) 등에서 직접 잡아 사용하게 했다고 합니다.
납약(臘藥)
- 조선시대에 궁궐(宮闕)에서는 내의원(內醫院)에서 여러 종류의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고 임금은 이를 신하들에게 하사(下賜)했는데, 이를 납약(臘藥) 또는 납제(臘劑)라고 합니다. 특히 심경(心經)의 열을 푸는 청심환(淸心丸)과 열을 내리는데 쓰는 안신환(安神丸), 곽란{한여름에 급격한 토사(吐瀉)를 일으키는 급성 병}을 다스리는데 쓰는 소합환(蘇合丸)이 가장 중요한 약이었습니다. 또한 정조(正祖)대{1790년}에는 소합환 보다 더욱 효과가 있다는 제중단(濟衆丹)과 광제환(廣濟丸)을 만들어 군졸(軍卒)들의 구급(救急)에 사용토록 했다고 합니다.
민간풍속(民間風俗)
- 새잡이 : 납일에 잡는 짐승의 고기는 사람에게 모두 좋다고 하는데, 특히 참새를 잡아 어린아이에게 먹이면 마마를 곱게 한다고 하거나 병약(病弱)한 사람에게 좋다 해서 그물이나 총을 사용해서 참새를 잡습니다.
- 납설수(臘雪水) : 납일에 내린 눈을 녹여 그 물을 납설수(臘雪水)라 하는데, 약(藥)으로 쓰고 그 물에 수건을 적셔두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납설수(臘雪水)는 김장독에 넣으면 맛이 변하지 않고, 의류와 서적의 좀을 막을 수 있으며, 눈을 씻으면 안질(眼疾)을 막고 눈이 좋아진다고 합니다.
- 엿 고기 : 충청.호남지방에서는 납일에 엿을 고는 풍속이 있습니다.
당분(糖分)의 섭취를 위한 엿 고기는 주로 납일날 밤에 시작해서 다음날 아침에 완성이 됩니다.
윤달
윤달 - 윤월(閏月), 윤삭(閏朔), 윤여(閏餘)
閏月은 일반적으로 전통 태음력(太陰曆)에서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어 책력(冊曆)과 계절(季節)을 일치시켰는데, 명칭은 윤월(閏月), 윤삭(閏朔), 윤여(閏餘) 등으로 불립니다. 윤달은 일년 중 한 달이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에 모든 일에 부정(不淨)을 타거나 액(厄)이 끼이지 않는 달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주로 집안의 수리나 이사(移徙)를 하기도 하고, 특히 혼례(婚禮)를 올리는 날로 잡거나 집안 어른의 수의(壽衣)를 만들어 놓으면 좋다 하여 윤달에 많이 거행합니다.
사찰불공
전국의 큰 사찰(寺刹)에서는 예전부터 윤달에 부녀자들이 불탑(佛榻)에 돈을 놓고 불공(佛供)을 드리는데, 치성(致誠)을 드리면 죽은 후에 극락(極樂)에 간다고 믿어 윤달 내내 주로 부녀자들이 정성스럽게 불공을 드립니다.
성돌이
중부 이남 지방에서는 윤달에 성(城)이 있는 마을 부녀자들이 성터에 올라가 성 줄기를 따라 도는 풍속(風俗)이 있는데, 이를 '성돌이' 또는 '성밟기'라고 합니다. 이 역시 불교(佛敎) 신앙(信仰)의 '탑돌이'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극락(極樂)으로 가고자 하는 염원(念願)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전라도 고창 지역에서는 '성돌기' 할 때 액(厄)을 물리치고 장수(長壽)한다는 의미에서 돌을 머리에 이고 돌기도 합니다.
설날 한 해가 시작되는 날은 세시 풍속뿐만 아니라 민속학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가 부여되는 날이라 할 것입니다. '으뜸되는 아침'이라는 뜻을 지닌 원단(元旦), 원일(元日)은 우리 전통의 생활 속에서 한 해를 맞이하는 의례(儀禮)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 해의 기원과 길 흉(吉凶)을 점쳐보는 소박한 풍속들이 이어오고 있습니다. 정월 초하루의 다양한 풍속과 행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정조차례 - 설날 아침 일찍 제물(祭物)을 사당(祀堂)에 진설(陳設)하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합니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새해 첫인사를 드리는데 이를 세배(歲拜)라 하고, 어린이들은 설빔으로 새 옷을 입습니다. 또한 세배 때 대접하는 음식과 술을 '세찬(歲饌)','세주(歲酒)'라 합니다. [ 饌(찬) 반찬 ]
원일음식 - 떡국{병탕(餠湯)} : 차례상에 오르는 대표적인 원일음식(元日飮食)으로 손님 접대에도 쓰이는 세찬(歲饌)입니다. '습면(濕麵)'으로도 불리었으며, 세속(世俗)에서 나이 먹는 것을 떡국을 몇 그릇 먹었냐고 하는 것으로 불리었습니다. * 조리과정 멥쌀가루를 쪄서 떡판에 놓고 나무자루가 달린 떡메로 무수히 찧은 다음 손으로 둥글려 기다랗게 늘여 만든 것이 가래떡{백병(白餠)}인데, 이것을 얄팍하게 돈 같이 썰어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후추가루를 쳐서 먹습니다.
- 시루떡{증병(甑餠)} : 새해 제사에 쓰이기도 하고 상(喪) 중의 삭망전(朔望奠:상중에 있는 집에서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지내는 제사)이나 그밖에 아무 때에라도 신에게 빌 때에 올려 사용했습니다. [ 甑(증) 시루, 餠(병) 떡 , 奠(전) 제물, 전 올리다 ]
* 조리과정 멥쌀가루와 삶은 팥을 각각 층으로 겹겹으로 깔되 쌀가루를 더 두툼하게 까는데, 시루의 크고 작음에 따라서 혹은 찹쌀가루를 몇 겹 더 깔아서 찌기도 합니다.
삼재법 - 나이가 삼재(三災)에 해당하는 사람은 집안 문설주에다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붙여 그 해의 액(厄)을 막는 것입니다. 이 삼재의 해에 해당하는 3년간에는 언동(言動)을 조심하고 모든 일에 삼가며 꺼리는 일이 많았습니다. 삼재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를 말하거나 병난(兵難), 질역(疾疫), 기근(飢饉)을 말하기도 합니다. [ 災(재) 재앙 ] * 삼재(三災) 해당년 사(巳:뱀띠), 유(酉:닭띠), 축(丑:소띠) 출생자 - 해(亥), 자(子), 축(丑)년이 삼재 신(申:원숭이띠), 자(子:쥐띠), 진(辰:용띠) 출생자 - 인(寅), 묘(卯), 진(辰)년이 삼재 해(亥:돼지띠), 묘(卯:토끼띠), 미(未:양띠) 출생자 - 사(巳), 오(午), 미(未)년이 삼재 인(寅:범띠), 오(午:말띠), 술(戌:개띠) 출생자 - 신(申), 유(酉), 술(戌)년이 삼재
덕담 - 새해에 일가친척간이나 친구, 젊은 사람을 만나면 올해는 "시험에 합격하시오." "부디 승진하시오" "아들을 낳으시오" 등으로 처지와 환경에 알맞은 말을 하는 것을 덕담(德談)이라 합니다. 이는 서로 복을 빌고 축의(祝意)를 표시하는 말인 것입니다.
* 청참(聽讖) - 초하룻날 첫새벽에 거리에 나가 맨 처음 들려오는 말소리로 그 해 1년간의 길흉(吉凶)을 점치는 것입니다. 이 때 까지 소리를 들으면, 그 해는 운수 대통하는 것으로 여겨 왔습니다. [ 讖(참) 예언, 참서 ]
윷놀이 {사희(柶戱)}, 윷점 - 윷놀이는 설날의 대표적 민속 놀이로 붉은 싸리나무 두 토막을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드는데, 길이는 세 치 가량입니다. 혹은 작게 반쪽의 콩알만큼 만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윷을 던져서 노는 놀이입니다. '柶'자는 <설문해자(說文解字) designtimesp=28372>에 의하면 '비(匕)'의 의미로 특히 네 쪽의 나무라는 뜻에서 사희(柶戱)라고 합니다. [柶(사) 윷, 숟가락 ; 윷의 뜻은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함. ] 세속(世俗)에서는 윷을 던져 새해의 길흉을 점치기도 합니다. 대개 세 번 던져서 짝을 지어 64괘(卦)로써 점괘를 알아봅니다.
오행점 - 나무로 장기쪽 같이 만들어 거기에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오행(五行)을 새겨 넣습니다. 그것을 함께 던져서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身數)를 점치는 것을 오행점(五行占)이라 합니다.
ㆍ2월 세시 (삭일(朔日)-초하루[2月1日] )
노비일 - 머슴날 - 조선시대(朝鮮時代)에는 긴 겨울 동안 쉬었던 노비(奴婢)들이 2월이 되면 이제 농사 준비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노비들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하루를 즐겁게 쉬게 하여 노비들에게 주식(酒食)을 베풀고 배불리 먹게 하였습니다. 이때 노비들은 농악(農樂)을 치며 노래와 춤으로 하루를 보냈습니다. 또한 시절음식인 송편[송병(松餠)]을 노비들에게 그 나이 수 대로 나누어 먹이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노비(奴婢)의 분류는 본래 '노(奴)'는 사내종이고 '비(婢)'는 계집종을 일컫는 것입니다. 고전(古典) 문장에서 노(奴)와 비(婢)의 글자만으로도 성별(性別)을 구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시절음식 - 송편{송병(松餠)} : 현대에는 중추절(仲秋節;추석)의 대표적 음식으로 송편을 들 수 있지만, 본래 송편은 2월 초하루가 시절음식으로 시작입니다. * 조리과정 멥쌀 가루로 반죽을 한 뒤에 콩을 물에 불려서 소{속}를 만들어 넣고 모시조개 같이 빚어서 시루 안에 솔잎을 깔고 그 위에 넣어서 찌는 떡입니다. 푹 익힌 다음 꺼내서 물로 닦고 참기름을 발라서 먹는 것입니다. 떡집에서는 팥, 밤, 검은콩, 푸른콩 등으로 소를 넣거나 혹은 꿀을 섞어 싸기도 하고, 혹은 대추와 삶은 미나리를 넣어서 만들기도 합니다.
노래기부적 - 온 집안을 깨끗하게 쓸고 닦는 대청소(大淸掃)를 하는 날입니다. 특히 이때부터 집안까지 노래기{마륙(馬陸): 마디발 동물로 길이는 3mm에서 28mm까지 있으며 고약한 노린내를 풍긴다}가 나타나기 때문에 주술(呪術)적인 의미로 백지(白紙)에 다음과 같은 8자의 부적(符籍)을 써서 벽이나 서까래에 거꾸로 붙입니다.
香娘閣氏速去千里(향랑각씨[시]속거천리): 향랑 각시야 빨리 천리 밖으로 도망 가라. 각시는 젊은 여자를 의미하는데, 향랑 각시란 냄새가 나는 노래기를 의인화(擬人化)한 것이고, 빨리 없어지라는 주술적 의미입니다. 이때 주술적 부적(符籍)은 대개 붉은 색으로 글을 쓰지만 이 노래기부적은 묵서(墨書:검은 붓글씨)를 합니다.
풍신제 - 영남(嶺南) 지방 풍속에 집집마다 2월 초하루에 고사(告祀)를 지내는데, 이것은 "영등신(靈登神) 모신다"고 하거나 "바람 올린다"라고 하는 풍신제를 의미합니다. 이때 영등신이 무당(巫堂)에게 내리면 그 무당은 동네의 가가호호(家家戶戶)를 돌아다니고, 사람들은 그 무당을 불러다가 고사를 지내고 즐깁니다. 이는 영등할머니{영등파(靈登婆)}라는 풍신(風神)이 2월 초하루에 지상(地上)에 내려와서 20일에 다시 하늘로 올라가는데, 이 영등신이 강림(降臨)할 때 일 년 내의 바람재앙{풍재(風災)}을 면하게 해 달라는 "바람올린다"는 의미의 주술적 고사(告祀)를 행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날 비가 오면 풍년이 들고 바람이 불면 흉년이 든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유래되어 영등신이 내려오는 2월 초하루를 "영등날"이라 하고, 2월달을 "영등달"이라 합니다. 또한 제주도의 부락제(濟州道)에도 영등신을 모시는 "영등굿놀이"를 2월 초하루에 행합니다.
콩볶기 - 이 날 콩을 볶아 먹었는데, 콩을 볶을 때 "새알 볶아라.", "쥐알 볶아라.", 콩 볶아라." 하고 주문을 외었습니다. 이는 새와 쥐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인데, 역시 무사태평(無事太平)과 풍요(豊饒)를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ㆍ3월 세시 ( 삼짇날 - 3일(三日):삼질,중삼(重三),상사일(上巳日) )
삼짇날은 양수(陽數) 중복일 풍속의 하나입니다. 음양설(陰陽說)로 숫자는 짝수가 음기(陰氣)이고 홀수가 양기(陽氣)입니다. 그래서 날짜에 양기가 겹치는 날은 왕성한 양(陽)의 기운이 넘치는 날이기에 예로부터 커다란 명절로 일컬어 왔습니다. 3월 3일, 5월 5일{단오(端午)}, 7월 7일{칠석(七夕)}, 9월 9일{중양절{重陽節)} 모두 커다란 명절이었습니다. 특히 3이라는 숫자는 순양(純陽)의 '1'과 순음(純陰)의 '2'가 결합하여 얻어진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진 길수(吉數)로 여겨졌기에, 3월 3일은 만물(萬物)이 소생하는 왕성한 만춘(滿春)의 봄기운으로 인해 야외에서 얻어지는 풍속이 많은 날입니다. 근래에 삼짇날을 단순하게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로만 인식하지는 말아야 할 것입니다. 금년 삼짇날은 양력으로 서기 1999년 4월 18일입니다.
화전(花煎)과 화면(花麵)
산이며 들에 만발(滿發)하는 개나리와 진달래는 봄의 절정을 알리는 꽃입니다.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와 반죽해서 둥근 떡을 만들어 참기름을 발라 지진 것을 화전(花煎: 꽃부침개)이라 합니다. 9월 중양절(重陽節)에 국화꽃으로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 국화전과 유사한 풍속입니다. 화전은 옛날의 오병(熬餠: 지짐떡) 중의 한구(寒具:한식(寒食)때 먹는 음식의 한가지로 밀가루를 반죽하여 기름에 뛰긴 것)로 전해져 오던 것입니다. 또한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익힌 다음 가늘게 썰어서 오미자(五味子) 국물에 띄우고 꿀물을 섞고 잣을 띄운 것을 화면(花麵: 꽃국수)이라 합니다. 화면은 혹 진달래꽃을 녹두에 반죽해서 만들기도 합니다. 이밖에 녹두로 국수를 만들고 붉은 색으로 물들여 꿀물에 띄운 것은 수면(水麵)이라 합니다. 화전(花煎), 화면(花麵), 수면(水麵) 모두 봄의 미각(味覺)을 돋아주는 시절음식(時節飮食)이고, 또한 제사(祭祀)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煎(전)지지다, 달이다. ]
시제사(時祭祀)
조선시대 순조(純祖)대에 김매순(金邁淳)이 지은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designtimesp=28419>에 실린 삼짇날의 시제사(時祭祀) 부분을 인용하겠습니다. 나라 풍속에 기제사(忌祭祀)는 중하게 여기지만 시제(時祭)는 중하게 여지지 않는다. 이는 오랑캐의 비루(鄙陋)한 풍속에서 벋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왕조{조선조} 중엽에 이르러서 어진 선비가 배출되고 사대부 중에 예(禮)를 숭상하는 자가 많아져 비로소 시제(時祭)를 중하게 여기게 되었다. 하지만 많은 백성들은 대체로 가난하고 검약(儉略)해서 사계절의 시제를 모두 행하는 자가 드물었고, 봄 가을 두 번 행했는데, 봄은 삼짇날에 지내고 가을은 중양절(重陽節;9월 9일)에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접점(蝶占)
삼짇날에는 나비가 보이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이에 나비점을 치는데, 호랑나비나 노란나비를 처음 보면 길조(吉兆)로 여기고 흰나비를 먼저 보면 흉조(凶兆)로 여깁니다. 꽃들 사이를 나는 나비에 대한 이야기로는 <장자(莊子) designtimesp=28423>의 "호접몽(胡蝶夢)"에 나오는 우주만물의 진리를 엿볼 수 있는 장자의 나비 일화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 蝶(접) 나비 ]
머리감기
삼짇날에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윤기가 흐르듯이 아름답다고 해서 부녀자들은 머리를 감습니다.
ㆍ4월 세시 ( 초파일(初八日)- 석가탄신일(釋伽誕辰日:욕불일(浴佛日)) )
- 初八日{4월 8일}은 불교신도들이 석가의 탄신일로 경축하면서 사찰(寺刹)에 가서 재(齋)를 올리고 연등(燃燈)을 하며 제등행렬(提燈行列)을 함으로써 종교적인 차원으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기는 하지만 과거 전통 사회에서는 민간의 행사로 성대한 풍속이었습니다. 전통적 풍속으로서의 초파일 세시(歲時)를 살펴보겠습니다. [ 燃(연)불타다. 提(제)들다, 끌다 ]
연등의 유래
초파일의 연등(燃燈) 행사는 신라 때부터 농사기도와 국가발전을 기원하던 예술제 성격의 연등회(燃燈會) 행사로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 궁중의 팔관회(八關會)와 함께 민간의 행사로까지 확대된 연등회(燃燈會)가 거행되어 국가적 차원의 성대한 불교의식(佛敎儀式) 행사로 자리잡게 됩니다. 연등 행사 시기는 신라 때에 정월 보름에 행해 지다가 고려 때 계승되어 정월 혹은 2월 보름에 연등회(燃燈會) 행사로 행해지거나 두 차례 모두 실시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 초기에 왕실에서 연등회를 베풀기도 했지만 이후 국가적인 행사는 사라지고 민간에서 세시풍속으로 전승됩니다. 현재의 사월 초파일에 연등하는 풍속은 고려시대 고종대(高宗代)에 최충헌(崔忠獻)의 아들이기도 한 최이(崔怡)가 초파일이 석가의 탄신일이기에 연등 행사도 이 날로 변경했다는 <고려사(高麗史) designtimesp=28444>의 기록이 있습니다.
연등풍속
고려 풍속에 초파일 수십 일 전부터 아이들이 종이를 잘라 등간(燈竿: 등불을 달 장대 기둥)에 매달아 깃발을 만들어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돈이나 쌀을 얻어 쓴 것을 호기(呼旗)라 하는데, 이 호기의 풍속이 계승되어 초파일 며칠 전부터 민가에서 등간(燈竿)을 세우고 그 꼭대기에 꿩 깃을 끼워 장식하고 천으로 깃발을 만들어 매답니다. 등간(燈竿)에 등을 다는데, 보통 그 집안의 자녀 수대로 등간을 세우고 등(燈)을 달았다가 9일에 그칩니다.
등의 제작과 종류
등(燈)의 종류는 수박, 마늘, 연꽃 등의 채과(菜果) 모양 등(燈)과 종, 북, 누각, 화분, 가마, 병, 항아리 등의 기물(器物) 모양의 등(燈), 용, 봉황, 학, 잉어, 거북, 자라 등의 동물(動物) 모양의 등(燈) 외에도 칠성등, 오행등, 일월등 등의 천문(天文) 모양의 등(燈)과 수복등(壽福燈), 태평등, 만세등(萬歲燈), 남산등(南山燈) 등의 상징적 문자(文字) 의미의 등(燈) 등 아주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등(燈)의 제작은 종이를 바르기도 하고 혹은 붉고 푸른 천을 바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데, 고사(故事)의 인물상이나 동물 그림 등을 그려 천태만상(千態萬象)의 오색찬란(五色燦爛)한 다양한 모양의 등을 만듭니다.
연등놀이
연등 놀이를 하는 초파일 저녁을 등석(燈夕)이라고 하는데, 이 날은 전례에 따라 야간의 통행을 허락하며 서울 장안의 사람들은 산기슭에 올라가 달아놓은 등(燈) 구경을 합니다. 혹 악기를 들고 쏘다니거나 등을 들고 돌아다니는 제등행렬(提燈行列)을 하면서 밤새도록 떠들썩하게 그치지 않았습니다. 연등 놀이가 왕성한 시기에는 낙화희(落火戱)라 해서 일종의 불꽃놀이처럼 등간(燈竿)에 매달린 등 줄 사이에 숯과 사기 파편을 넣은 주머니를 매달고 불을 붙여 터뜨리며 불꽃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초파일 여습(餘習)
소밥{소반(素飯)} : 초파일에 느릅떡{유엽병(楡葉餠)}, 볶은 콩, 삶은 미나리 등을 차려 놓고 손님을 천해서 음식을 대접하는데 이를 석가의 탄신일에 고기 반찬 없는 소밥이라 합니다. - 물장구 놀이{수고희(水鼓戱)} : 아이들이 등간(燈竿) 아래에서 물동이에 물을 담아 바가지를 엎어 띄워 놓고 빗자루로 박아지를 두드리면 단조로운 소리가 나는데, 이를 물장구 놀이라 합니다. [ 素(소)바탕, 희다. 飯(반) 밥. 鼓(고)북, 치다. 戱(희) 놀이 ]
ㆍ5월 세시 ( 단오(端午)의 정의(正義) 및 유래(由來) )
端午節{음력 5월 5일}은 동양세계에서 고래(古來)로 지켜온 대표적 명절(名節) 중의 하나로, 특히 양수(陽數)[기수(奇數)로도 표현함]가 겹치는 날[3월3일, 5월5일, 7월7일, 9월9일]의 명절 중 볕이 가장 강하다고 하여 성대하게 풍속(風俗)이 행해지는 날입니다. 가정에서는 정갈한 음식을 마련해 단오차례(端午茶禮)를 지내고 여러 가지 풍속 놀이를 하며 하루를 즐깁니다. 단오의 의미는 초오(初午)라는 뜻으로 5월의 첫 오일(午日: 말의 날)을 말하고, 수(數)에서 홀수가 음양(陰陽)의 양수(陽數)에 해당하기에 달과 일의 수(數)가 겹치는 날이기도 한 5월 5일이 큰 명절이 되었습니다. 별칭(別稱)으로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端陽) 등으로 불리며 우리 나라에서는 수릿날이라고도 불립니다. [ 端(단)단오, 단정하다, 실마리, 끝 ]
단오의 유래 [중국(中國)]
시절전래설(時節傳來說) : 문헌상에도 고대 한(漢)나라 시절부터 단오 풍속의 기록이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5월 5일의 풍속이 생겨난 것은 비가 많이 내리기 시작하는 5월을 맞아 악질(惡疾)이나 액(厄)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豫防) 풍속이 생겨난 것으로 봅니다. 약초(藥草)나 창포(菖蒲)를 사용하거나 쑥으로 인형(人形)을 만드는 풍속에서 보이듯이 향(香)이 강한 풀이나 약초(藥草) 등으로 액(厄)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명절로 정해진 것입니다.
- 굴원고사설(屈原故事說)
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나라의 충신(忠臣)이었던 시인(詩人) 굴원(屈原)이 충절(忠節)의 마음을 알아주지 않는 임금을 그리면서 유배지(流配地)의 멱라수에 몸을 던져 죽은 날이 5월 5일이었기에 그를 기리는 뜻으로 대나무 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무 잎으로 싸서 물 속에 던지던 풍속이 변해 대나무 잎에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속으로 발전된 것으로 봅니다.
[우리 나라]
- 수릿날 : '수리[한자어로는 술의(戌衣)]'의 의미는 '신(神), 상(上), 고(高)'의 뜻으로, 상일(上日), 신일(神日)의 의미를 수릿날로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모내기 파종(播種)을 끝 맺는 5월이면 군중(群衆)들이 모여 하늘[신(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고 가무(歌舞)와 음주(飮酒)를 즐겼다는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한전(韓傳)[마한(馬韓) 기록] designtimesp=28480>의 기록을 보면 농경(農耕)의 풍작(豊作)을 기원(祈願)하는 풍속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는 '수리'를 '거(擧: 수레)'의 의미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 단오절 시절음식(時節飮食)의 하나인 쑥떡을 수레바퀴 모양으로 만들어 먹기 때문에 수릿날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오절(端午節)이 대표 명절이 된 것은 좋은 기후의 계절에 양수(陽數) 중복의 날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굳어진 것으로 봄이 마땅할 것입니다.
단오제(端午祭)
단오날에 지방에서는 그 지방 향토신(鄕土神)에게 제사(祭祀)를 지내는 풍속이 있습니다. 강원도(江原道) 강릉(江陵)과 삼척(三陟)에서 행해지는 단오제(端午祭)가 가장 유명한데, 특히 강릉의 단오제는 커다란 축제(祝祭) 형태로 여러 날 행해집니다. 수많은 군중(群衆)들이 보는 앞에서 40-50여명의 무격(巫覡)들이 모여서 제사(祭祀)를 지내는데, 대관령(大關嶺)의 성황신(城隍神)을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고 가면(假面) 놀이와 유희(遊戱)를 즐기면서 그 해의 풍년(豊年)과 대관령의 산행(山行) 안전(安全)을 기원합니다. 삼척에서도 오금잠제(烏金簪祭)라는 단오제를 지내는데,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유물(遺物)이라고 하는 비녀[잠(簪)]를 함(函)에 모시고 무당(巫堂)의 가무(歌舞)로 화(禍)를 물리치고 복(福)을 부른다[제화초복(除禍招福)]는 의미로 기원하는 의식을 여러 날 축제로 행합니다.
ㆍ6월 세시 ( 유두(流頭) )
流頭{음력 6월 15일}는 본래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이란 말의 준말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동편의 맑은 시냇가에서 머리 감고 몸을 씻는다"는 의미인데, 여름철 더운 날씨를 이겨내는 방법이며 동쪽은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곳으로 청(靑)에 해당하기에 '동류(東流)'를 택하여 불길한 것을 씻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의 학자 김극기(金克己)의 문집(文集)에 신라(新羅) 동도(東都; 경주)지방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몸을 청결하게 하고 하루를 맑게 노닐면서 지내면 상서(祥瑞)롭지 못한 기운을 제거하고 여름철의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의미로 행해지는 토속적(土俗的)인 풍속입니다. 풍속 가운데 매월 15일 보름날에 행해지는 풍속이 많기 때문에 유두일(流頭日) 역시 정월 대보름과 8월 한가위, 백중절(百中節)[7월 15일], 시월 시제(時祭)[15일 전후] 등과 함께 6월의 큰 명절로 이어오고 있습니다.
유두연(流頭宴)
일반적인 유두(流頭) 풍속의 일환으로 문인(文人)들이 유두일(流頭日)에 술과 안주를 마련해서 산천의 계곡이나 정자(亭子)를 찾아 자연을 벗삼아 자연(自然)을 읊으며 풍류(風流)을 즐기는 것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합니다.
유두천신(流頭薦新)
또한 새로 나오는 과실(果實)인 수박, 참외 등과 함께 국수와 떡을 만들어 사당(祠堂)에 제(祭)를 올리는데, 이를 '유두날 새 것을 올린다'는 의미의 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 합니다. 이는 조상숭배사상이 강한 우리 민족의 자연스러운 생활양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 薦(천)올리다,천거하다. ]
시절음식
- 유두면(流頭麵) : 유두일에 특별히 국수를 만들어 먹는데, 이를 유두면(流頭麵)이라 합니다. 특이하게 구슬처럼 만드는데, 유듀면을 먹으면 더위에 고생하지 않고 장수(長壽)한다고 합니다. 또한 거기에 오색(五色) 물을 들여 세 개씩 포개어 색실로 꿰어 허리에 차거나 문설주에 걸어놓는데, 잡귀(雜鬼)의 출입을 막고 액(厄)을 물리친다고 합니다. [ 麵(면)국수 ; 본래는 '麥+面'입니다. ]
- 수단(水團), 건단(乾團) : 찹쌀가루를 쪄서 반죽해 구슬처럼 만들고 얼음물에 넣어 꿀을 타서 먹는 것을 수단(水團)이라 하고, 얼음물에 넣지 않는 것을 건단(乾團)이라 합니다. 수단은 보통 사당(祠堂)에 올리는 제사(祭祀)에도 씁니다.
- 연병(連餠) : 밀가루를 반죽해서 판 위에 놓고 방망이로 밀어 넓게 만들어 기름에 튀기거나 콩을 묻혀 꿀을 발라 만들어 먹는 것을 연병(連餠)이라 합니다. [ 餠(병) 떡 ]
- 상화병(霜花餠) : 역시 밀가루를 반죽하여 콩이나 참깨로 소를 만들어 넣어 찐 것을 상화병(霜花餠)이라 합니다.
ㆍ7월 세시 ( 칠월(七月) 칠석(七夕) )
七夕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의 애틋한 사랑 전설(傳說)을 간직하고 있어 전통적으로 아낙네들의 길쌈 솜씨나 청년들의 학문 연마(硏磨)를 위해 밤하늘에 별을 그리며 소원을 빌곤 합니다. 애절한 사랑 전설(傳說)만큼이나 잠 못 이루는 한여름 밤의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 칠석(七夕)은 천상(天上)과 지상(地上)을 연결하는 풍속(風俗)으로 발전합니다. 양력(陽曆) 1999년의 칠석(七夕)은 8월 17일입니다.
[ 牽(견) 끌다. 織(직) 짜다 ]
전설과 유래
은하수(銀河水)의 양 끝 둑에 살고 있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 칠석(七夕)입니다. 너무나 사랑을 속삭이던 두 별은 옥황상제(玉皇上帝)의 노여움으로 1년에 한 번 칠석(七夕) 전날 밤에 은하수(銀河水)를 건너 만나게 됩니다. 이 때 까치[작(鵲)]와 까마귀[오(烏)]가 날개를 펴서 다리를 놓아주는데, 이 다리를 오작교(烏鵲橋)라 합니다. 그래서 칠석날 아침에 비가 내리면 견우직녀(牽牛織女) 상봉(相逢)의 눈물이요, 저녁에 비가 내리면 이별(離別)의 눈물이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설(傳說)과는 달리 실제 천체(天體)의 운행(運行)에서는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의 각(角)거리가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고 단순하게 견우성(牽牛星)과 직녀성(織女星)이 이맘때 즈음에 초저녁 하늘 가운데 뜨기 때문에 시야(視野)에 가득 들어오고 7월 7일이 양수(陽數)가 겹치는 왕성한 날이기에 애절한 견우직녀 전설과 함께 어울려 늦여름의 행사로 정착된 것입니다.
의(衣), 서(書) 말리기
여름철 장마가 지난 뒤에 습기(濕氣)가 찬 의류(衣類)나 서적류(書籍類)가 좀이 먹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칠석날을 기해 강한 여름철 햇빛에 말려 무사히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칠석 절식
더위가 약간 줄어든 이 시절에는 오이와 참외가 많이 나고, 호박이 잘 열려 호박부침을 즐겨 만들어 먹고 칠성당(七星堂) 재(齋)에 올리기도 합니다.
ㆍ8월 세시 ( 중추절(仲秋節) : 秋夕, 한가위, 가위, 가배(嘉俳) )
仲秋節{8월 보름} 한가위는 원단(元旦: 설)과 함께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답게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가위'라는 명칭이 신라 시대 가배(嘉俳 : 혹은 嘉排) 풍속에서 변천된 것이고, '추석(秋夕)'이라는 명칭은 <예기(禮記)>의 "춘조월추석월(春朝月 秋夕月)"에서 유래된 것으로 봅니다. 특히 가을의 중심 8월은 만물이 성숙(成熟)하는 좋은 철이기에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하여 온갖 음식과 과실(果實)을 풍성하게 장만합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하는 속담(俗談)에서도 알 수 있듯이 풍요로움 속에서 조상의 은덕(恩德)을 기리고 밝은 한가위 달과 함께 다양한 행사와 풍속으로 지냅니다.
[嘉(가)아름답다,좋다. 俳(배)광대. 排(배)물리치다 ]
가배 유래 <삼국사기(三國史記)>나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등에서 찾을 수 있는 가배(嘉俳)의 유래(由來)는 다음과 같습니다.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때에 육부(六部)를 나누어 두 편을 만들고 왕녀(王女) 2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나눈 부락(部落)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7월 16일부터 매일 큰 부락의 광장에 모여 길쌈 짜는 내기를 하는데, 을야(乙夜 :밤 9시 - 11시)가 되어서야 하루를 마쳤습니다. 그러다가 8월 보름이 되면 각 편의 길쌈 결과물의 많고 적음을 따져 내기에 진 편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합니다. 이때 노래와 춤을 추며 온갖 놀이를 즐겼는데, 이를 가배(嘉俳)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때 내기에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며 탄식하면서 "회소(會蘇) 회소(會蘇)"라고 노래를 부르는데, 그 소리가 애절(哀絶)하면서도 단아(端雅)해서 후대 사람들이 그것으로 노래를 지어 '회소곡(會蘇曲)'이라 합니다."
이상의 사료(史料)를 통해서 그 유래를 살펴보면 신라(新羅)가 부족국가(部族國家)에서 고대국가(古代國歌) 체제(體制)로 전환되는 시점에 부족의 결속력(結束力)과 응집력(凝集力)을 모으는 방편으로 길쌈내기를 시행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회소(會蘇)'라는 의미 역시 "모여서[會] 다시 하자[蘇]"라는 아쉬움의 표현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가배(嘉俳)는 국가적 단결(團結) 행사에서 출발하여 풍요와 결실의 계절에 넉넉함을 나눌 수 있는 풍속(風俗) 행사로 발전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차례와 벌초 농사일도 거의 끝나 햇곡식을 먹을 수 있는 시기이기에 새로 수확(收穫)한 곡식(穀食)이나 과실(果實)로 사당(祠堂)에 차례(茶禮)를 올리는데, 절차는 설날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이와 함께 한식(寒食) 때 손질한 이후 여름철 내내 풀로 무성한 조상(祖上)의 묘소(墓所)를 찾아 벌초(伐草)를 함으로써 겨울을 잘 지낼 수 있도록 합니다. 고향(故鄕)을 찾아 떠나는 민족(民族)의 대이동이 시작되는 이 시기는 조상(祖上)의 음덕(陰德)을 잊지 않는 우리 민족(民族)의 아름다운 풍속(風俗)의 한 모습입니다.
ㆍ9월 세시 ( 중양절(重陽節) : 중구(重九), 구중(九重) )
重陽節{음력 9월 9일}은 양수(陽數)가 겹친 날이라는 의미이고, 중구(重九) 역시 구(九)가 중복된다는 의미입니다. 중양절은 양수중복일(陽數重複日) 풍속의 하나로 가을의 정취를 더해주는 계절의 풍요로움으로 인해 다양한 시절음식(時節飮食)과 풍속(風俗)들이 행해집니다. 또한 이 날은 제비가 강남(江南)으로 간다고 전해지는데, 실제 이 시기가 되면 제비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시절음식(時節飮食)
- 국화전(菊花煎) : 여염(閭閻)집 가정에서 이 날 국화 꽃잎을 따서 찹쌀가루와 반죽해 단자(團子) 모양의 찹쌀떡을 만들어 먹는데, 이를 국화전(菊花煎)이라 합니다. 국화전은 3월 3일 삼짇날의 봄철 진달래 화전(花煎)과 동일한 가을철 화전(花煎)입니다. 본래 국화전의 유래(由來)는 서울 사람들이 9월 9일에 밀가루로 떡을 쪄서 나누어 먹었다는 이야기 맹원로(孟元老)가 서술한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에 전합니다.
- 화채(花菜) : 잘게 썬 배와 유자(柚子), 석류(石榴)를 꿀물에 타서 잣을 띄워 마시는 것을 화채(花菜)라 합니다. 특히 화채는 계절의 미각을 느끼게 해주는 시절음식으로 제사(祭祀)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단풍놀이
서울 풍속에 중양절(重陽節)을 맞이해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남산(南山)이나 북악산 등에 올라가 시식(時食)을 배불리 먹고 하루를 흥겹게 지냈는데, 이를 단풍놀이라 합니다. 이는 본래 중국 후한(後漢) 때 환경(桓景)이라는 사람에게서 유래된 '등고(登高)'의 풍속을 답습한 것입니다. 특히 시인(詩人), 묵객(墨客)들은 술과 음식을 마련해 국화꽃잎을 술잔에 띄워 마시며 풍류(風流)를 즐기면서 가을을 만끽했습니다. 이러한 전통(傳統)은 가을 소풍이나 단풍놀이로 현대까지 계승(繼承)되어 오고 있습니다
ㆍ10월 세시 ( 시월 제례풍속 : 오일(午日) , 시제(時祭) )
十月은 '상달'이라 하듯이 겨울을 준비하는 맹동(孟冬)이자 입동(立冬)의 달이면서 다양한 제례(祭禮)의 행사가 행해지는 때입니다. 오일(午日: 마일(馬日)) 고사(告祀)와 성주제, 그리고 시제(時祭) 등 많은 제례 행사는 감사(感謝)와 안녕(安寧)의 기원을 희망하는 풍속들입니다.
오일(午日)
'오(午)'는 12지수 가운데 말{마(馬)}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시월 오일(午日)이 되면 말을 소중하게 여기고 무병(無病)을 기원하는 고사(告祀)를 지냈는데, 팥으로 시루떡을 쪄서 마구간에 차려놓고 고사를 지냈습니다.
보통 시월에 두 번 정도의 오일(午日)이 드는데, 병오일(丙午日)일 때에는 '병(丙)'이 병이라는 의미의 '병(病)'과 음(音)이 같아서 고사(告祀)를 지내지 않고 금기(禁忌)시 했고, 무오일(戊午日)일 경우는 상마일(上馬日)이라 해서 아주 성대하게 지냅니다. 이 역시 '무(戊)'가 번성한다는 의미의 '무(茂)'와 음(音)이 같은 것에서 연유합니다.
성주제
'성주'는 민속(民俗)에서 집안을 지키는 신령(神靈)으로 일컫는데, 주로 오일(午日)에 각 가정에서 성주에게 지내는 제사를 성주제라 합니다. 성주신은 상량신(上樑神)을 의미하는데, 집안에서 제일 높고,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담당하고 있어 제물(祭物)을 마련해 제사(祭祀)를 지내거나 무당(巫堂)을 불러 굿을 하는 경우도 있어 '성주굿', '성주받이굿' 등으로도 불립니다.
시제(時祭)
시월 보름날이나 그 날을 전후해 조상신(祖上神)에게 지내는 제사(祭祀)를 시제(時祭) 또는 시향(時享)이라 하는데, 시월 시제는 동지(冬至) 뒤 세 번째 미일(未日)에 지내는 납향(臘享)과 함께 겨울철 대표적인 제례(祭禮) 행사입니다. 본래 조상(祖上)에 대한 제사(祭祀)는 4대 봉사(奉祀)라 해서 4대조까지는 사당(祠堂)이나 집안에서 지내고 5대조 이상의 조상들은 늦가을에 묘소(墓所)에서 직접 제사(祭祀)를 지내온 것입니다. 근래에 와서 5대조 이상의 조상들의 시제(時祭)를 위해 별도의 지역에 사당(祠堂)을 설립해 시제를 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 臘(납) 납향, 섣달 ]
ㆍ11월 세시 ( 동지(冬至) : 아세(亞歲) )
冬至{양력 12월 22, 23일경}는 겨울철의 대표적 명절(名節)로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하지(夏至)와 대칭되는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입니다. 자원(字源)으로 볼 때도 하지.동지의 지(至)자의 의미가 '이르다, 지극하다'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하지와 동지는 태양의 운행을 중심으로 여름과 겨울의 도달을 의미하면서 또한 그 계절의 정점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동지는 고대(古代) 시절에 설{원단(元旦)}로 삼았던 때가 있었기 때문에 아세(亞歲: 작은 설)라고도 합니다. 특히 민간(民間)에서는 동지 팥죽이라 하여 팥죽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합니다. [ 亞(아) 버금 ]
冬至팥죽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먼저 사당(祠堂)에 차례(茶禮)를 지내고 나서 방이나 마루, 광 등에 한 그릇씩 놓고, 또한 솔잎에 적시거나 수저로 떠서 대문, 벽 등에 뿌려 액(厄)을 막고 잡귀(雜鬼)를 물리쳤습니다.
* 동지팥죽의 유래 중국 고대(古代) 요순시대(堯舜時代) 때, 형벌(刑罰)을 담당했다고 하는 신화(神話)적인 인물인 공공씨(共工氏)에게서 유래된 이야기입니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가 불초(不肖)한 자식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 귀신[역귀(疫鬼)]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역귀(疫鬼)가 생전(生前)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疫鬼)를 쫓는 풍속(風俗)으로 전래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붉은 빛은 양기(陽氣)를 의미하기에 붉은 빛을 띠는 팥이 귀신을 쫓는 역할(役割)을 하는 음식으로 전래(傳來)되어 잡귀(雜鬼)를 물리치는 용도로 팥죽을 사용해 왔다는 것입니다. [ 疫(역) 돌림병, 염병 ]
* 조리 과정
동지 팥죽은 팥을 삶아 으깨거나 체에 걸러내고, 찹쌀로 새알 정도 크기로 단자를 만들어 함께 쑤는데, 이 단자를 '새알심'이라 합니다. 새알심의 의미는 아마도 새알의 부화(孵化)를 의미하는 새로운 변화의 의미를 상징하는 것으로 봅니다. [ 孵(부) 알까다 ]
冬至달력
조선조 시대에는 동지(冬至)가 되면 관상감(觀象監)에서 새 달력을 만들어 궁궐(宮闕)에 올렸습니다. 임금은 이를 황색 표지의 '황장력(黃粧曆)'과 백색 표지의 '백장력(白粧曆)' 등으로 분리해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옥새(玉璽)를 찍어 신하(臣下)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또한 각 관청(官廳)에서도 일정 수량의 책력(冊曆)을 나누어 받고, 각자 자신의 친분있는 사람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이것이 전래되어 서울 지방에서는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는 풍속이 정착되는데, 이는 여름철에는 단오날 부채를 선물하고, 겨울철에는 동짓날 달력을 선물하는 풍속입니다. [ 粧(장) 화장하다, 꾸미다. 璽(새) 옥새. 扇(선) 부채 ]
전약(煎藥)
궁궐의 내의원(內醫院)에서는 동짓날이 되면 겨울철 내내 사용하기 위해 계피, 후추, 설탕, 꿀 등을 쇠가죽과 함께 푹 고아 고약(膏藥)을 만들어 진상했는데, 이를 전약(煎藥)이라 합니다. 현대의 고약(膏藥)이 여기에서 전래된 것입니다. [ 煎(전) 달이다, 지지다 ]
ㆍ12월 세시 ( 납일(臘日) - 납평(臘平) : 가평절(嘉平節) )
- 臘日은 중국에서 시작된 풍속이지만 오행신앙(五行信仰)에 의해 시대와 나라마다 납일을 정하는 방식이 달라 동지(冬至) 후 세 번째 술일(戌日), 진일(辰日) 등으로 이어왔는데,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와서 동지(冬至) 후 세 번째 미일(未日)에 해당하는 날을 납일(臘日)로 정하고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큰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 "오색(五色)으로 청제(靑帝)는 미랍(未臘)에 해당하니, 오행(五行)으로 목(木)에 해당하고 목(木)은 방위로 동(東)에 해당하기에 동방(東方)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미일(未日)로 정해졌다."라는 설(說)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금년의 납일을 따져보면 양력(陽曆)으로는 서기 1999년 1월 19일이고, 음력(陰曆)으로는 무인년(戊寅年) 12월 2일{申未日}에 해당합니다.
납향(臘享)
臘(랍)은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의하면 왼쪽 부분은 육(肉)변이고 오른쪽 부분은 '랍'의 발음으로 의미는 '백신(百神)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라 했습니다.
그래서 납일에 한 해 동안의 일이나 농사 결과를 하늘에 고하는 제사를 납향(臘享) 또는 납제(臘祭)라 합니다. 납향으로 인해 납일(臘日)의 명칭이 정해졌고, 12월을 납월(臘月)이라 불리는 것도 여기에서 연유합니다. 국가에서는 이 날 새나 짐승을 잡아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에 공물(供物)로 바치고 제사를 지냈는데, 사맹삭(四猛朔;춘하추동의 각 첫 달인 1,4,7,10월의 삭일 제사)과 함께 5대제향(五大祭享)으로 중요시했고, 민가에서도 혹 제사를 지냈습니다. 또한 제향에 사용하는 제물(祭物)에 관련된 일화(逸話)가 있습니다. 납향의 제물은 멧돼지와 토끼를 쓰는데, 조선조 후기 정조(正祖)대에 경기도 산골 군(郡)에서 국가에 헌상할 멧돼지를 잡기 위해 온 군민이 동원되는 폐단을 없애고자 정조 임금이 서울의 포수에게 명해 용문산(龍門山)이나 축령산(祝靈山) 등에서 직접 잡아 사용하게 했다고 합니다.
납약(臘藥)
- 조선시대에 궁궐(宮闕)에서는 내의원(內醫院)에서 여러 종류의 환약(丸藥)을 지어 올리고 임금은 이를 신하들에게 하사(下賜)했는데, 이를 납약(臘藥) 또는 납제(臘劑)라고 합니다. 특히 심경(心經)의 열을 푸는 청심환(淸心丸)과 열을 내리는데 쓰는 안신환(安神丸), 곽란{한여름에 급격한 토사(吐瀉)를 일으키는 급성 병}을 다스리는데 쓰는 소합환(蘇合丸)이 가장 중요한 약이었습니다. 또한 정조(正祖)대{1790년}에는 소합환 보다 더욱 효과가 있다는 제중단(濟衆丹)과 광제환(廣濟丸)을 만들어 군졸(軍卒)들의 구급(救急)에 사용토록 했다고 합니다.
민간풍속(民間風俗)
- 새잡이 : 납일에 잡는 짐승의 고기는 사람에게 모두 좋다고 하는데, 특히 참새를 잡아 어린아이에게 먹이면 마마를 곱게 한다고 하거나 병약(病弱)한 사람에게 좋다 해서 그물이나 총을 사용해서 참새를 잡습니다.
- 납설수(臘雪水) : 납일에 내린 눈을 녹여 그 물을 납설수(臘雪水)라 하는데, 약(藥)으로 쓰고 그 물에 수건을 적셔두면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한 납설수(臘雪水)는 김장독에 넣으면 맛이 변하지 않고, 의류와 서적의 좀을 막을 수 있으며, 눈을 씻으면 안질(眼疾)을 막고 눈이 좋아진다고 합니다.
- 엿 고기 : 충청.호남지방에서는 납일에 엿을 고는 풍속이 있습니다.
당분(糖分)의 섭취를 위한 엿 고기는 주로 납일날 밤에 시작해서 다음날 아침에 완성이 됩니다.
윤달
윤달 - 윤월(閏月), 윤삭(閏朔), 윤여(閏餘)
閏月은 일반적으로 전통 태음력(太陰曆)에서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어 책력(冊曆)과 계절(季節)을 일치시켰는데, 명칭은 윤월(閏月), 윤삭(閏朔), 윤여(閏餘) 등으로 불립니다. 윤달은 일년 중 한 달이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에 모든 일에 부정(不淨)을 타거나 액(厄)이 끼이지 않는 달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주로 집안의 수리나 이사(移徙)를 하기도 하고, 특히 혼례(婚禮)를 올리는 날로 잡거나 집안 어른의 수의(壽衣)를 만들어 놓으면 좋다 하여 윤달에 많이 거행합니다.
사찰불공
전국의 큰 사찰(寺刹)에서는 예전부터 윤달에 부녀자들이 불탑(佛榻)에 돈을 놓고 불공(佛供)을 드리는데, 치성(致誠)을 드리면 죽은 후에 극락(極樂)에 간다고 믿어 윤달 내내 주로 부녀자들이 정성스럽게 불공을 드립니다.
성돌이
중부 이남 지방에서는 윤달에 성(城)이 있는 마을 부녀자들이 성터에 올라가 성 줄기를 따라 도는 풍속(風俗)이 있는데, 이를 '성돌이' 또는 '성밟기'라고 합니다. 이 역시 불교(佛敎) 신앙(信仰)의 '탑돌이'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극락(極樂)으로 가고자 하는 염원(念願)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전라도 고창 지역에서는 '성돌기' 할 때 액(厄)을 물리치고 장수(長壽)한다는 의미에서 돌을 머리에 이고 돌기도 합니다.
'사회생활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상식 (0) | 2007.12.12 |
---|---|
제물 진설의 원리 (0) | 2007.12.09 |
안보면 후회되는 너무좋은 자료들 (0) | 2007.12.07 |
진기한 기네스 세계 기록들 (0) | 2007.12.05 |
생활속의 지혜 200 여가지 (0) | 2007.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