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서예실

몽유도원도16 - 절재 김종서(節齋 金宗瑞)편

淸潭 2007. 9. 8. 21:38
 
몽유도원도16 - 절재 김종서(節齋 金宗瑞)편

 

 

김종서(金宗瑞)

공양왕 2년 ~ 단종 1년 ( 1390 - 1453 )

 

자는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 본관은 順天.

도총제(都摠制) 추(錐)의 아들로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한 후, 사간원우정언(司諫院右正言), 지평(持平),

우부대언(右副代言) 등을 거쳐, 세종 15년(1433)에는

함길도(咸吉道) 도관찰사(都觀察使)가 되어

야인(野人)들을 격퇴하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을 국경으로 확정했다.

 

이어 함길도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겸직하여 야인들의

정세를 탐지하고 그 비변책(備邊策)을 건의했으며

형조판서와 예조판서, 우참찬(右參贊),

평안도 도절제사(平安道 都節制使) 등을 거쳐

문종1년(1451)에는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권제 등이 수교(讐校)한 [高麗史]를 세종 31년(1449)

개찬(改撰)할 때에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로

총책임을 맡아 간행했으며, [高麗史節要]의 편찬도

감수하여 간행했고, [世宗實錄]의 총재관(摠裁官)도

역임했다.

 

문종의 유명(遺命)으로 황보인, 정분 등과 함께

어린 단종을 보필했으나,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에

의해 대역모반죄(大逆謀叛罪)로 두 아들과 함께

살해됨으로써 계유정난(癸酉靖難)의 첫번째

희생자가 되었다.

 

[고려사]의 개찬을 총지휘하였는데도 정인지가

총재관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은 대역모반죄를

이유로 삭제되었기 때문이다.

 

영조 22년(1746)에 복관(復官)되었으며,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저서로 [制勝方略]이 있으며

시조 두 수 전해지고 있다.

 

 

 

 

 

 

 

[작품해설]

 

도원이 꿈속에 영원으로 들어오고

꿈속에 영혼이 도원으로 돌아갔네.

정신의 변화는 서로 실마리조차 없으니

누가 조화의 본원을 알 수 있으리.

 

공자께서 주공을 이으시어

천지의 근원을 따라 밟으셨었나니

앞 뒤의 성인이 헤아림을 함께 하여

얼마나 빈번히 꿈에 뵈었던가!

 

황량몽(黃梁몽)과 남가몽(南柯夢)은

허황스럽고 망령되어 말할 바도 못 되는 것

달인(達人)이 신선을 꿈꾼다 하였거니

이 말 참으로 옳도다!

 

 


 

 

자진(子晋)이 본디 도기(道氣) 많아

일찍부터 속세의 시끄러움을 싫어하였다네.

줄곧 속세 밖의 세상 그리워하였고,

부귀 영화를 뜬 구름 같이 여기었네.

 

무릉에 이르는 길 끝이 없고

진(秦)나라 시절 아득하기만 하네.

우연히도 그윽히 꿈속에서 만나

마음껏 올라가서 샅샅이 찾았네.

깨어나서 화공에게 그림으로 그리도록 하니

온갖 형상이 완연하게 어우러졌네

 

천고의 옛날부터 속세를 피하여 오던 땅이

하루 저녁에 높은 집으로 옮겨졌네.

시단의 뛰어난 인물들 주옥 같은 글을 곁들이니

해와 달의 빛처럼 눈부시게 빛나네.

그림을 펼치고 문장을 읽어보니

하루 해가 다하도록 즐겁기 그지없네.

 

인생은 쇠나 돌처럼 오래 가지 못하며

백 년 세월도 번개처럼 지나네.

신선 땅 복숭아나무 어떻게 뽑아다가

 

 



 

 

궁궐 안에 옮겨 심을 수 있을까?

 

저 삼투아(三偸兒)를 재촉하여

많이 많이 따다가 우리 님께 바치고져.

 

절재 김종서.

 

<참조>

황량(黃梁): 심기제(沈旣濟)의 소설 <枕中記>의 주제고사.

감단(邯鄲)땅의 노생(盧生)이란 청년이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어

잠을 잤더니 메조밥(黃梁)을 한번 짓는 동안에 부귀공명을

다 누린 꿈을 꾸었다는 데서 부귀공명의 덧없음을 비유함.

 

남가(南柯): 당 이공좌의 소설 <南柯記>의 主題故事.

東平땅의 순우분(淳于분)이란 사람이 낮잠을 자다 꿈속에서

南柯郡을 20년간이나 다스리며 부귀를 누렸다는 내용.

부귀영화의 無常함을 비유하는 故事.

 

자진(子晋): 곧 王子晋.혹은 王子喬라고도 함.

주령왕(周靈王)의 태자였으며, 도사 부구생(浮丘生)을 만나

得仙하여 학을 타고 날아갔다고 함.

유향(劉向)의 <列仙傳>에 보임.

 

고헌(高軒) : 매죽헌, 안평대군.

 

자미원(紫薇垣) : 天子의 대궐

 

삼투아(三偸兒) : 곧 東方朔, 西王母의 仙桃를 東方朔이

세 번이나 훔쳐 먹었다는 전설에서 유래함.

 

[시조 감상]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

만리 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

긴 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에라"

 

 

"장백산에 기를 꽂고 두만강에 말 씻겨

썩은 저 선비야 우리 아니 사나이냐

어떻다 인각화상을 누가 먼저 하리요"

 

인각화상(麟閣畵像) : 인각은 기린각이니 중국

한나라 때에 공신의 화상(초상)을 그려서 걸어

놓던 사당이다. 이곳에 화상이 걸리게 되는 것을

무상의 영광으로 여겼다.

 

<김종서>가 세종대왕의 명을 받들어 여진족을 무찌르고

두만강가에 6진을 설치하고 만주의 옛땅을 찾자고 하였는데

이것을 무모한 짓이라고 하여 반대한 비겁한 대신들이

있었다. 그 때문에 그 대망(大望)을 이루지 못하였고,

이 시조는 그 울분을  노래한 것으로서 대장부의 기개가

약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