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실/지식관련글

漢字단어 사-1

淸潭 2017. 12. 28. 22:01

漢字단어 사-1


~

사가(謝家) 남북조(南北朝) 제(齊)의 사조(謝?), 송(宋)의 사혜련(謝惠連) 사영운(謝靈運) 등이 배출된 가문.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記得謝家詩 淸和卽此時가 있음.

사기(詐欺) 이득을 위해 남을 속임 [對: 뇌물(賂物) ]

사고무친(四顧無親) 사고무인(四顧無人) 친척이 없어 외로움.

사교(四郊) 사야(四野) 사방 들 [對: 고항(古巷) 만수(萬穗) 벽수(碧水) 천리(千里) 천장(千?) 일정(一井) 천간(千澗) ]

사구(沙鷗) 모래사장의 갈매기. [對: 풍난(風鸞) 기류(磯柳) ]

사관(事關) 일이 얽혀져 있는 관계

사계(四季) 사시(四時) 사절(四節) 사계절(四季節) [對: 삼생(三生) ]

사군(事君) 임금을 섬김. [對: 위국(爲國) 우국(憂國) 위정(爲政) ]

사기(士氣) 의욕이 높음. [對: 인심(人心) 인심(仁心) ]

사념(思念) 사려(思慮) 여러 가지 일들을 깊게 생각함.

사덕(四德) 네 가지 덕 [對: 삼종(三從) ]

사도(斯道) 유도(儒道) 유학(儒學) [對: 세진(世塵) 이단(異端) ]

사루(謝樓) 제(齊)의 사조(謝?)가 선성태수로 있을 때 지은 누각. 일반적으로 시흥(詩興)이 도도하게 우러나는 경치를 일컫는 말.

사린(四隣) 사방의 이웃 [對: 삼경(三逕) 삼경(三徑:隱者의 집) 천리(千里) ]

사림(士林) 유림(儒林) [對: 묵객(墨客) 사필(史筆) 의례(儀禮) ]

사모(思慕) 앙모(仰慕) [對: 결교(結交) ]

사문(斯文) 유교의 문화. 유교의 여러 가지 글 [對: 성학(聖學) 성훈(聖訓) 오도(吾道) ]

사문진작(斯文振作) 공맹(孔孟)의 학문을 진작함 [對: 성훈준행(聖訓遵行) 오도계승(吾道繼承) 오도선양(吾道宣揚) 오도부흥(吾道復興) ]

사물(四勿) 사물잠(四勿箴) [對: 구사(九思) ]

사방(四方) 동서남북(東西南北) [對: 삼한(三韓) 종일(終日) 중국(中國) 천리(千里) 천재(千載) 천추(千秋) 천폭(千幅) ]

사사(事事) 이 일 저 일. 모든 일. [對: 시시(時時) 인인(人人) ]

사사(??) 까치가 우는 소리 [對: 각각(閣閣) 곡곡(穀穀) ]

사사(事師) 스승으로 섬김 [對: 교우(交友) 상소(上疏) 수업(受業) ]

사상(思想) 생각에 따른 견해 [對: 정신(精神) ]

사생(捨生) 삶을 버리다. [對: 결사(決死) ]

사생취의(捨生取義) 목숨을 버리고 의를 취하다 [對: 결사탄충(決死?忠) 취사성인(就死成仁) ]

사서(史書) 사적(史籍) 역사서(歷史書)

사서(四書)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 [對: 삼전(三典) 오곡(五穀) ]

사수(泗洙) 사수(泗水)와 수수(洙水). 공자께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 부근의 강. [對: 민락(?洛) ]

사수(泗水) 강 이름 [對: 니산(尼山) 염계(濂溪) ]

사숙(私塾) 가숙(家塾) 사설의 서당. 글방. [對: 공상(公庠) ]

사시(四時) 사절(四節) 사계(四季) [對: 삼대(三代) 천객(千客) 천재(千載) ]

사심(私心) 사의(私意) 개인의 사사로운 마음 [對: 선의(善意) ]

사액(賜額) 임금이 편액을 하사함 [對: 강당(講堂) 건사(建祠) 윤당(倫堂) 축정(築庭) ]

사야(四野) 사방(四方)의 들판. [對: 삼추(三秋) 장강(長江) 천가(千家) ]

사양(斜陽) 석양(夕陽) 석조(夕照) 낙조(落照) 석휘(夕暉) [對: 벽수(碧樹) 세우(細雨) 제월(霽月) 제조(啼鳥) ]

사억(瀉臆) 가슴에 쌓인 회포를 쏟아냄. [對: 회사(回思) ]

사업(事業) 일에 대한 경영(經營) [對: 가성(家聲) 경영(經營) 공명(功名) 남아(南兒) 단심(丹心) 명성(名聲) 문장(文章) 평생(平生) 행장(行裝) ]

사용(使用) 이용(利用) 응용(應用) [對: 유통(流通) ]

사우(士友) 선비의 벗 [對: 소붕(騷朋) 아손(兒孫) ]

사우(社友) 같은 시사의 벗 [對: 소붕(騷朋) 시붕(詩朋) ]

사일(社日) 입춘(立春)이나 입추(立秋)가 지난 다섯째 무일(戊日) [對: 잔양(殘陽) 중양(重陽) ]

사장(沙場) 모래사장. 모래톱 [對: 유막(柳幕) 수반(水畔) ]

사재(渣滓) 가라앉은 찌꺼기

사적(事績) 업적(業績) 공적(功績) [對: 경륜(經綸) 원형(原形) ]

사점(乍霑) 균점(均霑) 잠깐 적심. 잠깐 만에 적심. [對: 균강(均降) 재습(?濕) ]

사절(四節) 사계(四季) 사시(四時)

사조(謝祖) 진(晉)나라 때 난리를 평정한 명장(名將) 사현(謝玄)과 조적(祖?)장군.

사중(?中) 정자 안. [對: 교외(郊外) ]

사즙(嗣葺) 대들보나 현판에 새겨서 남김 [對: 장전(長傳) ]

사직(社稷) 사직단(社稷壇) [對: 산하(山河) 여민(黎民) 유풍(遺風) 조고(操?) 조정(朝廷) ]

사찰(寺刹) 가람(伽藍) 감우(紺宇) 감원(紺園) 금지(金地) 범우(梵宇) 법동(法棟) 불가(佛家) 불사(佛寺) 불찰(佛刹) 사문(寺門) 사사(寺社) 사원(寺院) 선궁(禪宮) 승방(僧坊) 승사(僧舍) 승원(僧院) 임궁(琳宮) 정궁(淨宮) 정사(精舍) 정찰(淨刹) 절

사친(事親) 효친(孝親) 어버이를 섬김. [對: 우국(憂國) ]

사통팔달(四通八達) 사통오달(四通五達) 교통망이 사방으로 통함. [對: 서주동분(西走東奔) ]

사풍(邪風) 악풍(惡風) 삿된 풍습. 나쁜 풍속. [對: 선속(善俗) 미속(美俗) ]

사해(四海) 천하(天下) 천지(天地) 우내(宇內) [對: 삼동(三冬) 삼한(三韓) 천추(千秋) ]

사후(死後) 죽은 뒤 [對: 생전(生前) ]

삭금(?金) 삭석(?石) 쇠를 녹일 정도로 더운 여름 날씨를 비유.

삭단(朔旦) 초하루 아침 [對: 춘초(春初) 개원(開元) ]

삭석(?石) 삭금(?金) 쇠를 녹일 정도로 더운 여름 날씨를 비유. [對: 유금(流金) 전사(煎沙) ]

삭열(?熱) 삭석(?石) 삭금(?金) 온갖 사물을 녹일 정도의 더운 열기. [對: 상량(想凉) 심량(尋凉) 탐량(探凉) ]

삭풍(朔風) 한풍(寒風) 북풍(北風) 겨울철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바람 [對: 쇠로(衰老) 한설(寒雪) ]

산광(山光) 산경(山景) 산색(山色) [對: 수색(水色) 수색(樹色) 야색(野色) 조어(鳥語) 해기(海氣) ]

산두(山斗) 태두(泰斗) 홍곡(鴻鵠) 태산북두(泰山北斗) 위대한 인물에 대한 비유. [對: 벽규(璧奎) 일성(日星) ]

산록(山麓) 산기슭 [對: 수전(水田) 제변(堤邊) ]

산림(山林) 산의 숲 [對: 세로(世路) 야월(夜月) 초야(草野) ]

산보(散步) 산책(散策) 멀지 않은 거리를 천천히 거닐다. [對: 소요(逍遙) ]

산붕(山崩) 산사태. 산이 무너짐 [對: 세구(歲久) 해갈(海渴) ]

산사(山寺) 산의 절 [對: 시가(市街) 호염(戶閻) ]

산색(山色) 산광(山光) 산경(山景) [對: 수광(水光) 수성(水聲) ]

산성(山城) [對: 체반(?畔) 택반(澤畔) ]

산업(産業) 생업(生業) 생업을 위하여 전문적으로 하는 일. [對: 교통(交通) 유풍(遺風) ]

산옹(山翁) 산에 사는 늙은이 [對: 야객(野客) 야로(野老) 해객(海客) 해녀(海女) ]

산요(山腰) 산허리 [對: 곡구(谷口) 동구(洞口) 수면(水面) 암저(巖底) 옥각(屋角) ]

산용(山容) 산형(山形) 산의 모양 [對: 세사(世事) 속태(俗態) 수면(水面) 파영(波影) ]

산인(山人) 산속에서 사는 사람. [對: 야로(野老) 야수(野?) 해객(海客) ]

산자수명(山紫水明) 산자하명(山紫河明) 풍경(風景)이 아름답다. [對: 화홍초록(花紅草綠) ]

산창(山窓) 산 속의 집에 있는 창. 산에 연해 있는 창 [對: 간반(澗畔) 수함(水檻) 야포(野圃) 수각(水閣) ]

산책(散策) 산보(散步) 멀지 않은 거리를 천천히 거닐다. [對: 소요(逍遙) ]

산촌(山村) 산 속의 마을 [對: 고목(古木) 안반(岸畔) 야경(野逕) 야농(野?) 택반(澤畔) 해안(海岸) ]

산촌(散村)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집

산합(散合) 흩어지고 모임. [對: 참차(參差) 분운(紛?) ]

삼강(三綱)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對: 오교(五敎) 오덕(五德) 오전(五典) 육예(六藝) ]

삼경(三更) 심야(深夜) 심경(深更) 한 밤중. 밤 12시 [對: 만리(萬里) 매야(每夜) 사벽(四壁) 일안(一案) ]

삼농(三農) 봄 여름 가을의 석 달에 걸친 농사 일. [對: 만물(萬物) 백곡(百穀) 오곡(五穀) ]

삼동(三冬) 석 달의 겨울 [對: 일각(一刻) ]

삼라만상(森羅萬象) 세상 모든 것 [對: 금수강산(錦繡江山) 초목천산(草木千山) ]

삼려(三閭) 삼려대부(三閭大夫) 굴원(屈原) 국화(菊花)와 충신(忠臣) 절의(節義) [對: 오류(五柳) 칠리(七里) ]

삼령(三靈) ① 천지인 ②해달별 [對: 만상(萬象) ]

삼루(?漏) 누설(漏泄) 누설(漏洩) 물이 새다.

삼백(三白) ①세 가지 흰색의 물품. ②정월 3일 이전에 오는 눈. [對: 육화(六花) ]

삼성오신(三省吾身) 하루 세 번 자신을 반성함.

삼신(三神) ①환인 환웅 환검 ②아기를 점지하는 할머니 신 [對: 만물(萬物) ]

삼양(三陽) 1월. 정월. 주역으로 정월은 양(陽)이 세 개 나란히 있음. [對: 만물(萬物) 백훼(百卉) 일기(一氣) ] (三陽至/萬物新)

삼원(三元) 삼시(三始) 삼조(三朝) 정월 초하루. [對: 백훼(百卉) 사시(四始) ]

삼재(三災) 재앙의 세 가지. 즉, 대삼재(大三災:水火風)와 소삼재(小三災:亂病飢)가 있음. [對: 오복(五福) ]

삼종(三從) 부덕(婦德)의 세 가지. [對: 사덕(四德) ]

삼춘(三春) 봄. 봄의 석 달. 1, 2, 3월을 통틀어 하는 말.

   삼한(三韓) 대한민국 [對: 팔역(八域) 팔도(八道) ]

   삽삽(颯颯) 바람 소리 혹은 빗소리의 형용. [對: 몽몽(??) 분분(紛紛) 비비(??) 처처(凄凄) 

   표표(飄飄) 휘휘(輝輝) 허허(噓噓) ]

삽시(?時) 삽시간(?時間) 갑자기 [對: 졸지(猝地) ]

상객(賞客) 경치를 감상하는 사람. [對: 농부(農夫) 소인(騷人) 어옹(漁翁) 유림(儒林) 유인(遊人) 초동(樵童) 치인(治人) ]

상거(相距) 서로 떨어져 있음.

상공(商工) 상업과 공업 [對: 경제(經濟) 무역(貿易) 문물(文物) 물화(物貨) 산물(産物) 예체(藝體) ]

상광(祥光) 서광(瑞光) [對: 서기(瑞氣) 왕기(旺氣) 왕운(旺運) ]

상기(爽氣) 양기(凉氣) 상쾌한 기분. 시원한 기운 [對: 미풍(微風) 청광(淸光) 청풍(淸風) 풍징(豊徵) 한광(寒光) ]

상기(商氣) 가을의 기운 [對: 노염(老炎) ]

상담(嘗膽) 와신상담(臥薪嘗膽)

상담(湘潭) 상담초사(湘潭楚辭). 초(楚)의 굴원(屈原)이 귀양갔던 상수(湘水) 물가로, 궁벽(窮僻)한 귀양지.

상덕(尙德) 덕을 숭상함. [對: 시인(施仁) 숭인(崇仁) ]

상도(常道) 항상 변하지 않는 떳떳한 도리 [對: 호시(好時) ]

상량(爽?) 시원하다. [對: 흔쾌(欣快) ]

상량(商量) 헤아려 생각함. [對: 강개(慷慨) 정중(鄭重) 계신(戒愼) 혐외(嫌畏) ]

상봉(相逢) 서로 만남. [對: 각별(各別) 대좌(對坐) 대화(對話) 독재(獨在) 수음(數飮) ]

상봉(桑蓬) 세상에 나가 성공하려는 뜻 [對: 죽백(竹帛) ]

상부(相扶) 서로 돕다. [對: 공조(共助) ]

상부상조(相扶相助) 서로 도움 [對: 공희공비(共喜共悲) 호애호련(互愛互憐) ]

상부(祥符) ①길조(吉兆) ②송나라 진종(眞宗)의 연호 대중상부(大中祥符)의 준말. [對: 귀물(貴物) ]

상사(相思) 서로 생각하고 그리워함. [對: 일별(一別) 불견(不見) 유약(有約) ]

상서(祥瑞) 상서롭다. 길한 운수. [對: 곤액(困厄) ]

상수(常修) 늘 닦다.

상수(常守) 늘 지키다.

상수(相酬) 상작(相酌) 수작(酬酌) [對: 독보(獨步) 부절(不絶) 호권(互勸) ]

상시(常時) 항시(恒時) 늘. 언제나. 평소. [對: 도처(到處) ]

상심(賞心) 감상(感賞)하는 마음 [對: 음의(吟意) ]

상양(??) 유유자적하게 노니는 모습.

상연(祥煙) 상서로운 연기 [對: 서무(瑞霧) ]

상완(賞翫) 상완(賞玩) 완상(玩賞)

상운(祥運) 서운(瑞運) 좋은 운수 [對: 서광(瑞光) ]

상운(祥雲) 상서로운 구름. [對: 서기(瑞氣) 채애(彩靄) 혜우(惠雨) ]

상작(相酌) 상수(相酬) 수작(酬酌) [對: 답가(踏歌) ]

상잔(相殘) 상쟁(相爭) 서로 다툼. [對: 파괴(破壞) ]

상쟁(相爭) 상잔(相殘) 서로 다툼. [對: 공락(共樂) 호합(互合) ]

상전벽해(桑田碧海) [對: 계수남산(桂樹南山) ]

상조(相助) 상부(相扶) 서로 도움 [對: 공영(共榮) ]

상종(相從) 서로 따르면 친함. [對: 공락(共樂) 공희(共喜) ]

상주(上奏) 임금에게 말씀을 아룀 [對: 시은(施恩) ]

상친(相親) 서로 친함. [對: 공희(共喜) 독실(篤實) 돈목(敦睦) ]

상쾌(爽快) 마음이 시원하고 가뿐함. [對: 장엄(莊嚴) 총명(聰明) 편안(便安) ] (心爽快/眼聰明)

상통(相通) 서로 통함. [對: 공허(共許) ]

상풍(商風) 추풍(秋風). 금풍(金風) 가을바람. [對: 호월(皓月) ]

상풍(爽風) 양풍(凉風). 시원한 바람. [對: 낭월(朗月) 명월(明月) ]

상하(上下) 위아래. [對: 관민(官民) 동서(東西) 종횡(縱橫) ]

상화(相和) 서로 화합함 [對: 불협(不協) ]

상화(霜華) 빙화(氷花) 서리 꽃. 얼음 꽃.

쌍극(雙?) 한 쌍의 나막신 [對: 일간(一竿) 천범(千帆) ]

쌍쌍(雙雙) 둘 이상의 쌍 [對: 각각(各各) 막막(漠漠) 엄엄(掩掩) 은은(隱隱) 즉즉(??) 흘흘(屹屹) ]

쌍선(雙仙) 칠순 등에서 부부를 칭함. [對: 열자(列子) ]

쌍앵(雙鶯) 두 꾀꼬리 [對: 반연(伴燕) ]

쌍연(雙燕) 두 마리 제비 [對: 수봉(數蜂) 일선(一蟬) 일앵(一鶯) ]

새북(塞北) 북쪽의 변방 요새. [對: 강남(江南) ]

   색광(色光) 빛깔. [對: 문수(紋繡) 문채(紋彩) ]

   색색(色色) 온갖 색. 여러 가지. 가지각색. [對: 형형(形形) 훤훤(喧喧) ]

생광(生光) 빛이 나다. [對: 노적(露積) 유천(有踐) ]

생기(生氣) 활기(活氣) 활발하고 씩씩한 기운 [對: 발아(發芽) 소안(笑顔) 쾌심(快心) ]

생령(生靈) 생민(生民) 창생(蒼生) 백성(百姓) [對: 도의(道義) 조물(造物) ]

생민(生民) 생령(生靈) 창생(蒼生) 백성(百姓) [對: 도의(道義) 조물(造物) ]

생사(生死) 삶과 죽음 [對: 거래(去來) 왕래(往來) 윤회(輪回) ]

생생(生生) 생기(生氣)가 돌다. [對: 결결(潔潔) 곤곤(滾滾) 불불(拂拂) 염염(艶艶) 쾌쾌(快快) ]

생성(生成) 사물이 생겨남 [對: 조화(造化) ]

생애(生涯) 평생(平生) 인생(人生) 살아 있는 동안. [對: 가업(家業) 구식(舊識) 도의(道義) 본태(本態) 부귀(富貴) 분수(分數) 세계(世界) 세로(世路) 심사(心事) ]

생원(生員) 소과(小科)의 종장(終場)에 합격한 사람 [對: 급제(及第) 처사(處士) ]

생전(生前) 살이 있을 때. [對: 사후(死後) ]

생전의적(生前懿蹟) 살았을 때의 아름다운 발자취 [對: 사후유풍(死後遺風) ]

생평(生平) 일생(一生) 평생(平生) [對: 영세(永世) 저리(這裏) 좌우(左右) ]

생황(笙篁) 생황(笙簧) 악기 이름 [對: 금수(錦繡) 수월(水月) 옥경(玉鏡) 율려(律呂) ]

서광(瑞光) 상광(祥光) 상서로운 빛 [對: 상운(祥運) 온기(溫氣) 정기(精氣) 호기(豪氣) 화기(和氣) ]

서기(瑞氣) 상서로운 기운 [對: 기형(奇形) 상풍(祥風) 유풍(遺風) 창파(滄波) 화풍(和風) ]

서기(庶幾) 거의

서기(暑氣) 더운 기운. [對: 양풍(凉風) 훈풍(薰風) ]

서동(西東) 동서(東西)

서민(庶民) 하민(下民) 평민(平民) 여민(黎民) [對: 존귀(尊貴) 품물(品物) ]

서생(書生) 유생(儒生) 유자(儒者)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 [對: 언사(彦士) 주객(酒客) ]

서설(瑞雪) 상서로운 눈 [對: 강풍(强風) 청등(靑燈) 한풍(寒風) 한빙(寒氷) 향다(香茶) 화풍(和風) ] (三冬瑞雪/四海和風)

서술(敍述) 일을 차례대로 말함.

서실(書室) 서재(書齋) [對: 서상(序庠) 수초(樹?) 정오(井梧) ]

서일상운(瑞日祥雲) 상서로운 햇살과 구름 [對: 광풍제월(光風霽月) ]

서정(敍情) 서정(抒情) 서정(舒情) 정을 펼치다. [對: 진력(盡力) 탐경(探景) 함한(含恨) ]

서정(舒情) 정을 펼치다. [對: 득의(得意) 멱구(覓句) 탈속(脫俗) ]

서창(書窓) 글방, 서재의 창문 [對: 강사(講舍) 맥야(麥野) 석경(石徑) 월령(月嶺) 초옥(草屋) 화각(?閣) 환로(宦路) ]

서풍(西風) [對: 야월(夜月) ]

서황(西皇) 욕수(?收) [對: 백제(白帝) ]

서회(舒懷) 품은 생각을 펼치다. [對: 득락(得樂) 득의(得意) ]

서회(敍悔) 뉘우치는 생각을 풀어놓다. [對: 성몽(成夢) 추사(追思) ]

석경(石鯨) 곤명지(昆明池)에 견우직녀상과 함께 돌로 만든 길이 삼장(三丈)의 고래상도 있는데 천둥이 치면 지느러미와 꼬리를 흔들며 울었다는 전설

석명(釋明) 사실을 밝힘 [對: 교화(敎化) ]

석문(石門) 이백(李白)이 젊어서 은거하던 곳으로 은자(隱者)가 사는 곳. [對: 등만(藤蔓) ]

석문(席門) 헌 자리 단 문으로 가난한 집을 뜻함. 사기(史記)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 집이 성 밑 궁벽한 마을에 있고 떨어진 자리로 문을 달았으나 문밖에는 찾아오는 장자(長者)의 수레가 많이 있었다고 되어 있다.

석벽(石壁) 암벽(巖壁) 절벽(絶壁) 돌 벽. 암벽. [對: 단풍(丹楓) 산방(山房) 산성(山城) 수파(水波) 지초(枝梢) ]

석벽태암(石壁苔巖) 돌 벽과 이끼 낀 바위 [對: 구파어랑(鷗波魚浪) ]

석별(惜別) 서로 애틋하게 이별함 [對: 다정(多情) 무정(無情) 환영(歡迎) ]

석사(碩士) 큰 선비 [對: 소인(騷人) ]

석시(昔時) 석일(昔日) 옛날 [對: 금일(今日) 당일(當日) 차일(此日) ]

석세(昔歲) 석일(昔日) 옛날. [對: 금년(今年) 당금(當今) 당년(當年) ]

석심(石心) 돌과 같이 굳건한 마음 [對: 송조(松操) ]

석양(夕陽) 석일(夕日) 낙조(落照) 낙일(落日) 저녁 때 해가 지는 것. [對: 양기(凉氣) 조로(朝路) 조일(朝日) 추월(秋月) 춘초(春草) ]

석일(昔日) 석세(昔歲) 옛날. [對: 금신(今辰) 당년(當年) ] (昔日遺風/往賢懿蹟)

석일(夕日) 석양(夕陽) 낙조(落照) 낙일(落日) 저녁 때 해가 지는 것. [對: 부운(浮雲) 사양(斜陽) 신종(晨鐘) 연운(煙雲) 조광(朝光) 추상(秋霜) ]

석전(釋奠) 석전제(釋奠祭) [對: 훈도(薰陶) ]

석조(夕照) 낙조(落照) 석휘(夕暉) 여휘(餘暉) [對: 부운(浮雲) 사양(斜陽) 신종(晨鐘) 연운(煙雲) 조광(朝光) 추상(秋霜) ]

선가(蟬歌) 선조(蟬?) 매미의 노래소리. 울음소리. [對: 실어(?語) 연어(燕語) ]

선경(仙境) 선구(仙區) 선계(仙界) [對: 화병(?屛) ]

선기(璇=璿璣) 임맥(任脈)의 혈도(穴道) 자리. 천체(天體)의 운행(運行)을 본뜸. [對: 금수(錦繡) ]

선덕(善德) 미덕(美德) 영덕(令德) 휴덕(休德) 아름다운 덕.

선도(先導) 앞장서서 이끌거나 인도(引導)함. [對: 시개(始開) 예방(豫防) ]

선망(羨望) 부러워하여 바램 [對: 추사(追思) ]

선생(先生) 교사(敎師) [對: 처사(處士) 후학(後學) ]

선성(先聖) 선현(先賢) [對: 후생(後生) 후진(後進) 후현(後賢) ]

선성(蟬聲) 선음(蟬吟) 매미 소리 [對: 솔어(?語) 학무(鶴舞) ]

선양(宣揚) 명성을 널리 떨치게 함. [對: 권장(勸?) 수호(守護) 실천(實踐) 진작(振作) 타파(打破) ]

선양예의(宣揚禮義) [對: 수호윤강(守護倫綱) ]

선어(仙馭) 붕어(崩御) 안가(晏駕) 임금이 세상을 떠남.

선연(嬋娟) 선연(嬋姸) 선연(鮮娟) 곱고 예쁨. [對: 교결(皎潔) 분필(芬苾) 요나(?娜) 요나(?娜) 요조(窈窕) 작약(綽約) 찬란(燦爛) ]

선연(鮮姸) 신선하고 예쁨. [對: 교결(皎潔) 분필(芬苾) 요나(?娜) 요나(?娜) 작약(綽約) 찬란(燦爛) ]

선열(先烈)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열사. [對: 후생(後生) ]

선옹(仙翁) 신선(神仙) [對: 우객(羽客) ]

선우후락(先憂後樂) 군자는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나중에 즐김.

선유(仙遊) 신선처럼 돌아다님 [對: 속루(俗累) 아회(雅會) ]

선음(蟬吟) 선성(蟬聲) 매미 소리 [對: 솔어(?語) 학무(鶴舞) ]

선정(善政) 선한 정치 [對: 근왕(勤王) 방명(芳名) 수훈(殊勳) 양풍(良風) 웅모(雄謀) 육영(育英) 이륜(彛倫) 인풍(仁風) 충성(忠誠) 혜풍(惠風) ]

선정시행(善政施行) [對: 도이격퇴(島夷擊退) 사서저술(史書著述) 양풍교화(良風敎化) ]

선조(先祖) 할아버지. 조상. [對: 자손(子孫) 후손(後孫) ]

선조(蟬?) 선가(蟬歌) 매미의 울음소리. [對: 솔음(?音) 학면(鶴眠) ]

선조(蟬?) 매미와 쓰르라미. 매미들. [對: 실솔(??) ]

선진(先進) 앞서는 사람. 앞서 가다. [對: 첨단(尖端) 후생(後生) 후행(後行) ]

선책(善策) 묘책(妙策) 양책(良策) 뛰어난 계책. [對: 양모(良謨) 풍공(?功) ]

선행(先行) 먼저 나감 [對: 후퇴(後退) ]

선행(善行) 착한 행동 [對: 양풍(良風) 진정(眞情) 충심(忠心) ]

선현(先賢) 선성(先聖) [對: 고성(古聖) 후예(後裔) 후진(後進) ]

선호(善好) 좋아함 [對: 우량(優良) ]

선회(旋回) 빙빙 돔 [對: 난립(亂立) 배알(拜謁) 사역(事役) ]

선후(先後) 전후(前後) 먼저와 나중. 앞뒤. [對: 고금(古今) 왕래(往來) 천심(淺深) ]

설객(雪客) 백로(白鷺)

설계(設計) 계획을 세움 [對: 구성(構成) ]

설립(設立) 기관이나 조직체를 만들어 일으킴 [對: 게양(揭揚) 배양(培養) 이행(移行) 증가(增加) ]

설비(設備) 목적에 필요한 시설 [對: 교통(交通) ]

설상(雪霜) 눈과 서리 [對: 풍우(風雨) ]

설왕설래(說往說來) 옥신각신함. [對: 난형난제(難兄難弟) ]

설적(雪積) 적설(積雪) 눈이 쌓이다. [對: 풍요(風搖) ]

설창(雪窓) 진(晉)나라 손강(孫康)이 등불이 없어 눈 쌓인 창 앞에서 글을 읽은 고사(故事) [對: 송경(松逕) ]

설촉(薛燭) 춘추 시대 월(越) 나라 사람으로, 칼을 잘 감정(鑑定)하는 것으로 유명

설치(設置) 만들어 세움 [對: 간경(墾耕) ]

설파(說破) 사물의 내용을 분명히 드러내다. 상대가 납득하도록 말함.

설편(雪片) ①눈송이 ②은빛 물고기 혹은 송사리 등 잡어. [對: 매향(梅香) ]

설화(雪花) 설화(雪華) 눈 꽃송이 [對: 빙경(氷鏡) 빙옥(氷玉) 풍뢰(風?) ]

설화(說話) 신화나 전설의 이야기

설형(雪螢) 형설(螢雪) 형설지공(螢雪之功)

섬광(蟾光) 달빛 [對: 토영(兎影) ]

섬라(纖羅) 가는 비단. 고운 비단. [對: 금수(錦繡) 수금(繡錦) 채금(彩錦) 활화(活?) ]

섬라작악(纖羅作幄) 가는 실이 휘장을 만들다. 버들의 형용 [對: 활화성병(活畵成屛) ]

섬서(蟾?) 두꺼비. 달.

섬섬(閃閃) 번쩍이는 모양. [對: 당당(堂堂) 연련(憐憐) ]

섬섬(纖纖) [對: 목목(穆穆) 밀밀(密密) 세세(細細) 염염(艶艶) 요요(??) 은은(殷殷) 작작(灼灼) ]

섬세(纖細) 가늘고 세밀함 [對: 정연(精硏) 찬탄(贊嘆) ]

섭렵(涉獵) 물을 건너 찾아다님. [對: 궁행(躬行) 차마(磋磨) ]

성결(性潔) 성품이 깨끗함. [對: 질우(質優) ]

성공(成功) 목적을 이룸 [對: 경하(慶賀) 구복(求福) 득의(得意) 망각(忘却) 수절(守節) 실패(失敗) 출세(出世) ]

성교(聖敎) 성훈(聖訓) [對: 유풍(遺風) 사문(斯文) ]

성군(成群) 떼를 지음. 무리를 이룸 [對: 작대(作隊) ]

성군(聖君) 성주(聖主) 어진 임금 [對: 현리(賢吏) ]

성덕(聖德) 성인의 덕. 임금의 덕. [對: 방강(邦强) ]

성리(性理) 인성의 원리 [對: 강상(綱常) 문장(文章) ]

성리(聲利) 명리(名利) 명예와 이익

성망(星芒) 성광(星光) 별빛 [對: 야기(夜氣) ]

성명(性命) ①인성(人性)과 천명(天命) ②생명 [對: 행장(行裝) ]

성상(星霜) 한 해 동안의 세월 [對: 일월(日月) ]

성성(聲聲) 소리소리 [對: 염염(??) 전전(??) 편편(片片) ]

성세(盛世) 융성한 시절 [對: 풍년(豊年) 친교(親交) 유풍(遺風) ]

성쇠(盛衰) 흥체(興替) 흥망(興亡) 융성하고 쇠락함. [對: 영욕(榮辱) 존폐(存廢) ]

성숙(成熟) 초목의 열매가 무르익음.

성시(城市) 시정(市井) [對: 야촌(野村) ]

성신(星辰) 별들 [對: 강한(江漢) 산악(山岳) 용호(龍虎) 이매(?魅) 일월(日月) 천지(天地) 초목(草木) 풍우(風雨) ]

성실(誠實) 진실(眞實) 성신(誠信) 진실한 자세로 임함

성심(誠心) 진심(眞心) 진심(盡心) 정성스러운 마음. [對: 감개(感慨) 열의(熱意) 갈력(竭力) ]

성원(聲援) 소리쳐 사기를 북돋움. 격려를 함.

성의(誠意) 참되고 정성스러운 뜻

성음(成陰) 녹음을 이루다. 그늘을 이룸 [對: 결실(結實) 결자(結子) 만록(滿綠) 세우(細雨) 연우(演雨) 유향(有響) ]

성인(聖人) 공자 [對: 군자(君子) 현사(賢士) ]

성전(聖殿) 대성전(大成殿) 성인의 전당. [對: 윤당(倫堂) ]

성정(性情) 타고난 본성 [對: 가구(佳句) 명성(名姓) 소식(消息) 시세(時勢) 심지(心智) 품격(品格) ]

성주(聖主) 성군(聖君) 어진 임금 [對: 현신(賢臣) ]

성지(聖地) 성스러운 땅 [對: 생령(生靈) 생민(生民) 선구(仙區) 우민(愚民) ]

성찰(省察) 성찰하다.

성취(成就) 목적한 바를 이룸. [對: 퇴치(退治) 현양(顯揚) ]

성택(聖澤) 임금의 은택 [對: 문풍(文風) ]

성품(性品) 성격(性格) 성질과 품격. 사람의 됨됨이. [對: 신근(身筋) ]

성품(性稟) 성정(性情) 천품(天稟) 타고난 성품. 바탕. [對: 영대(靈臺) ]

성하(盛夏) 한여름

성학(聖學) 성인의 학문. 공자의 학문 [對: 사문(斯文) ]

성현(聖賢) 성인과 현인 [對: 군자(君子) ]

성훈(聖訓) 성교(聖敎) 성인(聖人)이나 임금의 교훈 [對: 사문(斯文) 유풍(遺風) 인정(人情) ]

성훼(成毁) 이루어진 것은 언젠가 허물어짐. 혹은 성패(成敗)

세간(世間) 세상(世上) [對: 천하(天下) ]

세갈(細葛) 가는 올로 짠 베옷.

세계(世界) 세상(世上) 천하(天下) 우내(宇內) [對: 건곤(乾坤) ]

세덕(世德) 대대로 쌓은 덕 [對: 인망(人望) ]

세도(世道) ①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는 도리. ②세상을 살면서 지켜야 할 도리. [對: 오림(吾林) ]

세도(勢道) 정치상의 권세. [對: 병거(屛居) ]

세려(世慮) 세진(世塵) 세상살이에서 생긴 근심 [對: 풍진(風塵) 인정(人情) 춘심(春心) ]

세력(勢力) 남을 능가하는 기세와 힘 [對: 명성(名聲) ]

세로(世路) 세도(世途) 세도(世道) 세상 길 [對: 오림(吾林) 인정(人情) ]

세루(世累) 세려(世慮) 세상이 어수선하고 괴로움. [對: 인정(人情) ]

세류(細柳) 세버들. 실버들 [對: 감당(甘棠) 쇠화(衰花) 청모(靑?) 평사(平沙) 한매(寒梅) 홍매(紅梅) ]

세모(歲暮) 세밑 [對: 삼동(三冬) ]

세발(洗髮) 머리를 감다. [對: 충장(充腸) 소염(消炎) 팽포(烹蒲) ]

세배(歲拜) 그믐이나 정초의 절 [對: 분향(焚香) 인행(?行) 초배(椒杯) ]

세보(世譜) 족보(族譜) 계보(系譜)




'참고실 > 지식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漢字단어 마  (0) 2017.12.28
漢字단어 바  (0) 2017.12.28
漢字단어 사-2  (0) 2017.12.28
漢字단어 아-1  (0) 2017.12.28
漢字단어 아-2  (0) 2017.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