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기노심(達其怒心)
[요약] (達: 통달할 달. 其: 그 기. 怒: 성낼 노. 心: 마음 심)
성내는 상대의 마음을 잘 달래서 화를 면하여야 한다는 뜻으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데 가장 큰 장애가 되는 것은 감정조절의 실패이므로, 내 감정을 앞세우기 보다는 상대방을 감정을 잘 살펴 대응하는 것이 상책이라는 의미.
[출전]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 -->
[내용] 이 성어는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서 노(魯)나라 현인 안합(顏闔)이 위나라 영공(衛靈公)의 세자 스승이 되어, 가기 전에 거백옥(蘧伯玉= 위나라 대부. 공자가 군자라 했음) 에게 가르침을 청했을 때 거백옥이 한 말 중에 나온다. 그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 -->
안합이 거백옥에게 물었다.
“여기 어떤이가 있는데, 그는 나면서부터 덕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와 더불어 사귐에 있어 방종에 맡겨 두면 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요, 법도를 지키게 하면 내 몸을 위태롭게 할 것입니다. 그런데 그의 지혜는 용렬하게도 남의 잘못을 알지만, 자신의 잘못은 도무지 알지 못합니다. 이런 사람을 나는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거백액이 대답했다.
“좋은 질문이다. 무엇보다 먼저 그를 경계하고 조심해서 네 몸부터 바르게 가져야 한다. ..........................
그가 되거든 나도 어린애가 되고, 그가 대중없이 굴면 나도 대중없이 굴며, 그가 방종하게 되면 나도 방종하면서, 되도록 이면 그를 허물이 없는 데까지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彼且為嬰兒,亦與之為嬰兒;彼且為無町畦,亦與之為無町畦;彼且為無崖,亦與之為無崖。達之,入於無疵。). ................
자네는 또 저 범을 기르는 사람을 알 테지, 그가 범에게 날고기를 그대로 주지 않는 것은 그놈의 물어 죽이는 버릇이 매우 사나워질까 경계함이요, 고기를 통째로 주지 않는 것은 그놈의 잡아 찢는 버릇이 매우 사나워질까 경계함이다. 그러므로 그 굶주리고 배부름을 잘 살펴 그 사나운 마음을 풀어 주기만 하면 비록 호랑이일지라도 저를 기르는 이에게 꼬리를 치게 된다. 호랑이가 사람을 죽이게 되는 것은 호랑이의 마음을 거스른 까닭인 것이다(汝不知夫養虎者乎!不敢以生物與之,為其殺之之怒也;不敢以全物與之,為其決之之怒;時其飢飽,達其怒心。虎之與人異類而媚養己者,順也;故其殺者,逆也。). ......... ”
) -->
이하 경기신문 [근당의 고전] 達其怒心(달기노심)의 글.
) -->
호랑이가 성 났을 때 잘 달래서 살펴야 화를 면할 수 있다
莊子(장자)에는 호랑이가 배고픈지 배부른지 그 상황을 잘 파악해서 분노를 달랠 줄 알아야(時其飢飽達其怒心) 훌륭한 사육사라 했다. 호랑이와 사람은 비록 다른 종류이지만(虎之與人異類) 자신에게 잘 대해주는 사람에게는 순종하고(媚養己者順也) 자기를 죽이려는 자에게는 덤벼드는 것(故其殺者逆也)이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達(달)이라고 하는 것은 상황대처를 적절히 잘하는 것을 말하는데,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야수처럼 돌변하여 포악할 경우 상대방을 조련하듯 달래가면서 위기를 넘기는 것이다.
) -->
요즘 북한에서 일어난 면면들을 보면 장자가 말한 바대로 난세의 궤적들이다. 살기등등한 세력가 밑에서 살아가자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 -->
장자뿐 아니라 대부분은 능력을 드러내지 말라고 할 것이다.
) -->
그것은 포악한 세력자는 능력을 펼치는 것을 자기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 그냥 바라보지 만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니 칭얼대는 아이 달래듯이 상대방의 심기를 살피는 것 또한 사나운 동물을 다루는 것과 같다고 본 것이다. 세력을 가진 자는 그 세력 유지를 위해 맹수처럼 돌변할 때가 있으니 조심하고 조심할 수밖에 없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련촉망(可憐觸網) (0) | 2016.12.31 |
---|---|
달기노심(達其怒心) (0) | 2016.12.30 |
상당연이(想當然耳) (0) | 2016.12.29 |
자기구문(自己口吻) (0) | 2016.12.28 |
순우안분(順遇安分) (0) | 2016.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