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포된 김신조가 말하는 1.21 침투사건
『남조선 수괴를 처단하는 막중임무』
1968년 1월16일 밤 10시. 황해북도 연산군의 124군 부대. 영하 25도로 떨어진 초강추위 속에 남파 특수공작원 31명을 태운 버스가 어둠을 타고 부대를 빠져나갔다. 목적지는 개성 남동부에 위치한 남파공작원 초대소.
얼어붙은 표정의 20대 초중반의 청년 장교들은 24kg에 달하는 꽉찬 배낭을 저마다 하나씩 울러멨다. 모두가 하사관에서 하루 아침에 소위로 임관되는 파격적인 계급승진을 며칠 전 경험한 뒤였다. 그 중 2명은 대위와 중위로 승진했다.
배낭 내용물은 다양했다. 사단 마크가 달린 남조선 군복 일습, 일제 바바리코트에 신사복 한벌, 운동화, 손목시계, 망원경, 트랜지스터 라디오, 지도, 아스피린 소화제 페니실린 각성제 등 비상 약품, 찹살가루를 섞은 엿, 오징어 등 비상식품, 그리고 30발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소련제 기관단총, 8발이 장전되는 소련제 권총, 방어용 수류탄 8개, 대전차 수류탄 2개, 단도…
당초 대원은 76명이었으나 돌연 31명으로 축소됐다. 공격 목표가 청와대만으로 압축된데 따른 조치였다. 원래의 타깃은 청와대 외에 미대사관 육군본부 서울교도소 서빙고 간첩수용소 등 5개소였다. 가히 휴전 이래 최대라 할 만한 초특급 작전이었다.
전날 밤 환송회에서 대취했던 대원들은 최전성기의 체력을 과시라도 하듯, 이미 평소의 모습으로 말끔하게 되돌아와 있었다. 추위 속에서 더욱 맛을 내던 소련제 보트카에 북한 인삼주, 박하술에 생강주, 생맥주…먹다 남긴 닭고기, 돼지고기가 다시 눈앞에 삼삼했다.
『남조선 해방을 위해 남조선 수괴를 처단하는 막중임무』를 강조하던 124군 부대장의 말이 청년 엘리트 전사 김신조의 폐부에 아직도 비수처럼 꽂혀있었다. 그 부대장은 불과 1년반 전 남파돼 경기도 송추에서 고정간첩과 접선하려다 군경 포위망에 걸려 도주, 복부에 총상을 입고 5일만에 임진강을 건너 귀환한 경력을 가진 전설적인 인물이었다.
다음날 새벽, 한때 개성경찰서장의 관저이기도 했던 남파공작원 초대소에 도착했다. 대원들이 남파 직전 잠시 대기하거나 귀환한 다음 하루를 자고 가는 곳이었다. 인삼차를 마시며 40분 휴식을 취한 후 바로 남으로 향했다. 북방 분계선 초소에 도착하자 초병들이 긴장된 표정으로 이 「특수전」의 사나이들을 바라보았다. 부대장의 제의로 즉석에서 혈서를 썼다.
『수령동지의 명령대로 임무수행할 것을 맹세함』
『임무를 확인한다. 1조는 청와대 본청사 2층, 2조는 1층, 3조 경호실, 4조 비서실 공격. 5조는 정문 보초 제거 및 청와대 차량 탈취 후 탈주 준비』
김신조는 2조의 조장이었다.
『돌아올 때 초소와의 문답 암호는 611이다』
살아 돌아왔을 때나 필요하게 될 것이지만 생명선이나 다름없는 그 암호를 뇌리 깊이 각인해 두었다. 살아 금의환향할 수 있을까. 아마 힘들 것이다. 그러나 화살은 이미 시위를 떠났다. 부모 형제라도 내몫의 행복까지 누릴 수는 있겠지. 복잡한 상념이 빠르게 머리를 스쳤다.
부대장의 한마디를 뒤로 하고 북방한계선을 넘은 것이 밤 9시. 비무장지대 안으로 난 「안전통로」를 따라 전투대열을 갖추고 침투를 개시했다. 1조 소속 전방 척후 2명이 길을 개척하면 후방 척후는 눈위로 난 발자국을 솔가지로 지우며 뒷걸음으로 진행했다.
예상 침투로는 한국군 25사단과 미군 2사단 관할지의 경계선. 사각지대가 되기 십상인 부대간 경계지역으로 빠진다는 침투전술의 기본을 따른 것이다. 경계선을 밟되 3백m 쯤 미군 지역으로 들어선다는 전략이었다. 지금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허술한 당시의 휴전선 방어망 이었지만 미군의 경계는 더욱 빈 곳이 많을 것이라는 계산이었다. 그 예상은 적중했다.
별어려움 없이 남방 분계선에 다다랐다. 자정이 조금 넘은 시각, 철조망을 헝겊으로 두르고 천천히 잘라냈다. 이곳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경계가 일렬로 펼쳐지는 철책선을 통과한다면 앞으로 듬성듬성 펼쳐질 초소와 검문소를 피하는 것은 식은 죽 먹기나 다름 없다. 중요한 것은 대원들이 감기나 복통에 걸리는 일 없이 계획된 시간에 계획된 장소에 정확히 들어서는 일이다. 날이 밝기 전, 늦어도 새벽 5시 이전에 철책을 2km 정도 벗어나 숙영지를 마련해야 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낮 시간은 숨어 휴식을 취하고 야간 이동에 대비하는 것이다. 대원 중 하나라도 기침이나 설사를 할 정도로 몸상태가 나빠지면 작전은 연기된다. 임진강이 바라다 보이는 야트막한 산중턱에 자리를 잡는데 성공했다. 보초 2명을 교대로 세우며 휴식을 취했다. 잠들면 얼어죽기 십상이다. 서로를 규칙적으로 흔들며 잠깐씩 눈을 붙였다.
'참고실 > 역사의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달의 기록, (0) | 2016.06.20 |
---|---|
대한항공 여객기 폭파 사건 (0) | 2016.06.12 |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0) | 2016.06.12 |
1960년 5월16일 (0) | 2016.05.16 |
悲運의 大韓帝國 王室 (0) | 2016.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