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상장(敎學相長)
옥은 쪼지 않으면 그릇이 되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모른다.
이런 까닭으로 옛날에 왕된 자는 나라를 세우고 백성들에게 임금 노릇을 함에 교와 학을 우선으로 삼았다.
비록 좋은 안주가 있더라도 먹지 않으면 그 맛을 알지 못하고,
비록 지극한 도가 있더라도 배우지 않으면 그 좋음을 모른다.
이런 까닭으로 배운 연후에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연후에야 막힘을 알게 된다.
부족함을 안 연후에 스스로 반성할 수 있고, 막힌을 안 연후에 스스로 힘쓸 수 있으니, 그러므로 말하기를,“남을 가르치는 일과 스승에게서 배우는 일이 서로 도와서 자기의 학업을 증진시킨다.”고 한다.
'글,문학 > 故事成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산지석(他山之石) (0) | 2013.05.23 |
---|---|
풍성학려(風聲鶴唳) (0) | 2013.05.23 |
검려지기(黔驢之技) (0) | 2013.05.22 |
퇴 고( 推敲 ) (0) | 2013.05.22 |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0) | 201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