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구 언남동 어느집 울타리에 핀것
능소화 꽃 / 능소화과의 낙엽성 덩굴식물.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이 6~8cm로서 황홍색이다.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월 말∼8월 말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6∼8cm이고, 색은 귤색인데, 안쪽은 주황색이다. 꽃받침은 길이가 3cm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네모지며 2개로 갈라지고 10월에 익는다. 중부 지방 이남의 절에서 심어 왔으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그래서인지.꽃말도.그리움.자존심.여성.매력.명예.영광등으로.불리우며.
낙엽성넝쿨식물이지만.양반집울타리에만.심었다하여.양반꽃.또는.금동화라고도.불리우는
능소화는.가지에.흡착근이.있어서.기댈곳만.있으면.기대고붙어서.10미터까지.올라가며.
6월부터.8월까지.주황색내지.황적색으로..나팔꽃같은.원추형의.아름다운꽃을.피워낸다..
해마다 한철 곱게 피어나는 꽃 '능소화'
그러나 이 꽃엔 슬픈 사연이 있습니다.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빈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 오지를 않았습니다
빈이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더라면 온갖 방법을 다하여
임금을 불러들였건만 아마 그녀는 그렇지 못했나 봅니다
빈의 자리에 오른 여인네가 어디 한 둘이었겠습니까?
그들의 시샘과 음모로 그녀는 밀리고 밀려 궁궐의 가장 깊은 곳 까지
기거 하게 된 빈은 그런 음모를 모르는 채
마냥 임금이 찾아 오기만을 기다렸습니다.
혹시나 임금이 그림자라도 비치지 않을까 담장을 너머너머 쳐다보며
안타까이 기다림의 세월이 흘러가고 있었답니다
어느 여름날
기다림에 지친 이 불행한 여인은 상사병 내지는 영양 실조로
세상을 뜨게 되었습니다
'문화,예술 > 이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러스트 (0) | 2009.07.08 |
---|---|
Magdalena Wanli 작품 (0) | 2009.07.07 |
관곡지 연꽃 (0) | 2009.07.04 |
장미 50 선 (0) | 2009.07.04 |
보고있으면 행복해지는 이미지모음 (0) | 2009.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