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허ㆍ만공의 선풍과 법맥’세미나 |
근현대 한국불교의 초석을 놓은 경허.만공스님의 생애와 사상을 총체적으로 조명한 세미나가 열렸다. 덕숭총림 수덕사(주지 옹산스님)와 교육원 불학연구소(소장 현종스님)는 지난 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근대한국불교의 중흥조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이란 주제로 공동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민족ㆍ불교 정통성 수호 업적 기려야” 禪 부흥과 법맥잇고 개진…조계종단 주춧돌
지난 25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열린 ‘경허.만공 세미나’에 참석한 청중들이 발표 내용을 경청하고 있다. 김형주 기자 cooljoo@ibulgyo.com 이에 대해 박해당 연구원(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은 “원효.경허.만해의 만행이 공통점이 있기는 하지만, 경허는 다른 승려들의 행위 양식 자체를 바꾸려 하지는 않았다”고 지적했다. 세미나에서는 모두 7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근대 한국불교의 선풍 진작과 덕숭총림(최병헌 서울대 교수)=일제 말기 선학원을 중심으로 전개된 선의 부흥과 진작 노력은 한국 근대 간화선 중흥조인 경허의 문집 간행으로 대미를 장식하게 되었다. 경허의 선사상을 선종 부흥운동의 이념적 주축으로 삼고자 하는 취지를 나타내 주는 동시에 경허의 위치를 확고하게 정립시켰다. △경허의 살림살이와 마음가짐(고영섭 동국대 교수)=경허가 마지막 혼신의 힘을 다해 이룩하려 했던 간경불사와 수선 결사 역시 역사의 한복판에서 살아가는 불교적 인간상을 제시해 가는 과정이었다. 출세간의 지평에서 입세간의 지평으로 복귀하는 역사적 인간의 새로운 탄생 과정이었다. △만공의 선학원 활동과 선풍진작(김경집 진각대 교수)=선학원을 통한 만공의 노력은 모두 한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하고 보존하려는 의도였다. 선학원이 중심이 되어 <경허집>을 발간함으로써 한국불교의 전통적 선사상이 선학원을 중심으로 계승됐음을 알리려 했다. △만공스님의 수행가풍과 간화선의 진작(이덕진 창원전문대 교수)=만공스님은 경허스님과 더불어 한국 선불교의 법맥을 잇고 개진시켰다. 선학원 운동을 통해 해방이후 정화 운동의 주축을 이뤘으며 조계종단 형성의 단초를 마련했다. △근대 비구니의 동향과 덕숭총림 비구니들(황인규 동국대 교수)=산중불교시대 척박한 불교환경 속에서도 근대 비구니들은 산중에서 수행으로 그 명맥을 이어갔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공의 비구니들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교육으로 근현대 비구니들의 활동이 왕성해졌다. 덕숭총림 비구니들은 정화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경허.만공의 법맥과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오경후 선리연구원 선임연구원)=경허는 한국 근현대 불교의 새벽이며, 만공은 선의 확립과 대중화에 기여했다. 이들의 일생은 격동기 대한제국과 암울한 일제치하에서 한국불교가 지닌 독자성을 천명하고 정통성을 수호했다는 점에서도 민족사적 평가를 받는다. 한편 이날 학술세미나는 주경스님(중앙종회 사무처장)의 사회로 개회식을 갖고 진행됐다. 개회식에서는 교육원장 청화스님과 수덕사 주지 옹산스님이 인사말을 하고, 포교원장 혜총스님이 축사를 했다. 덕숭총림 수좌 설정스님은 “경허.만공스님의 선풍과 법맥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한국불교의 수행가풍을 진작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성수 기자 soolee@ibulgyo.com
[불교신문 2422호/ 4월30일자] 2008-04-26 오후 1:25:54 / 송고 |
'불교이야기 > 수사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덕사 대웅전 우미량 (0) | 2008.05.19 |
---|---|
수덕여관 `엉터리 복원`... 4억들여 문화재 철거했나 (0) | 2008.05.19 |
경허·만공 선풍 집중 조명한다 (0) | 2008.04.14 |
“오욕락의 세상은 한낱 ‘꿈’일 뿐이지요” (0) | 2008.03.27 |
“사바세계에 다시 오소서…” 원담 대종사 영결식 엄수 (0) | 200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