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개요및 목차
화엄경(華嚴經)의 원제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며,
범어 원제는 Buddha-ayatamsaka-nama-mahavaipuly-sautra입니다.
본서의 저본으로 사용된 동진(東晋)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Buddhabhadra 359-429)
역 60권 화엄경, 전 7처 8회 34품은 다음과 나누어져 있습니다.
(1) 적멸도량회(寂滅道場會)
1. 세간정안품(世間淨眼品)
2. 노사나품(盧舍那品)
(2) 보광법당회(普光法堂會)
3.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4. 사제품(四諦品)
5. 여래광명각품(如來光明覺品)
6. 보살명난품(菩薩明難品)
7. 정행품(淨行品)
8. 현수보살품(賢首菩薩品)
(3) 도리천궁회
9. 불승수미정품(佛昇須彌頂品)
10. 묘승전상설게품(妙勝殿上說偈品)
11. 보살십주품(菩薩十住品)
12. 범행품(梵行品)
13. 초발심보살공덕품(初發心菩薩功德品)
14. 명법품(明法品)
(4) 야마천궁회(夜摩天宮會)
15. 불승야마천궁자재품(佛昇夜摩天宮自在品)
16. 야마천궁보살설게품(夜摩天宮菩說偈品)
17. 십행품(十行品)
18. 십무진장품(十無盡藏品)
(5) 도솔천궁회(兜率天宮會)
19. 여래승도솔천궁품(如來昇兜率天宮品)
20. 도솔천궁보살찬불품(兜率天宮菩薩讚佛品)
21. 십회향품(十廻向品)
(6) 타화천궁회(他化天宮會)
22. 십지품(十地品)
23. 십명품(十明品)
24. 십인품(十忍品)
25. 심왕보살문아승지품(心王菩薩問阿僧祗品)
26. 수명품(壽命品)
27. 보살주처품(菩薩住處品)
28. 불부사의품(佛不思議品)
29. 여래상해품(如來相海品)
30. 불소상광명공덕품(佛小相光明功德品)
31. 보현보살행품(普賢菩薩行品)
32. 여래성기품(如來性起品)
(7) 중회보광법당회(重會普光法堂會)
33. 이세간품(離世間品)
(8) 서다림회(逝多林會)
34. 입법계품(入法界品)
이와 같이 장엄하고 화려한 구성을 바탕으로 불도(佛道)의 근본이념과 수행체계를 웅대하게 전개하고 있는
화엄경은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경전이라고 부르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화엄경은 부처님께서 이루신
정각(正覺)을 근본 주제로 하여 '불도의 실천이란 무엇인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일체 중생은 어떻게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화엄경에서는 불도를 이루기 위해 수행하는 보살의 갖가지 즉, 십신(十信), 십주(十住),
십행(十行), 십회향(十廻向)을 설하고 있으며 마음과 우주의 연기적(緣起的)구조,
보현보살의 광대한 행원(行願), 선재동자(善財童子)의 53선지식 편력과 같은 대승불교의 근본 주제가
웅대한 체계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화엄경은 부처님이 깨달으신 내용과
무한의 세계관 및 보살행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화엄경 목차
|
'불교이야기 > 불교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엄경-2. 노사나품 盧舍那品 (0) | 2008.01.23 |
---|---|
화엄경-1. 세간정안품 世間淨眼品 (0) | 2008.01.23 |
우리말 妙法蓮華經 第 七卷 (24~28 품) (0) | 2008.01.20 |
우리말 妙法蓮華經 第 六卷 (18~23 품) (0) | 2008.01.20 |
우리말 妙法蓮華經 第 五卷 (14~17 품) (0) | 2008.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