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치료환자의 60% 이상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남는 배아 기증하겠다”크리스틴 코언과 남편 리는 성공적인 불임치료 덕에 쌍둥이 사내아이를 두 번 낳았다. 여섯 살짜리와 두 살짜리들이다. 이들 부부에게는 더 이상 필요가 없지만 버릴 생각은 차마 못하는 배아가 10여 개 있다. “그 배아를 만드느라 너무 고생했다”고 크리스틴은 말했다.
“피와 땀과 눈물 그 이상이다.” 공교롭게도 코언 부부는 의학 연구의 혜택을 직접 누린 사람이다. 낭포성 섬유증에 걸린 리가 첨단 치료의 도움을 받았다. 그래서 크리스틴은 2006년 하버드 줄기세포 연구소를 다룬 기사를 읽은 뒤 연락했고 배아 기증절차가 시작됐다.
그 배아들은 새 배아줄기세포주를 만드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다섯 달에 걸친 서류작업과 상담 끝에 코언 부부의 배아는 연구원들 손에 넘어갔다. “그것들이 줄기세포주를 하나도 만들지 못하고 파괴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고 크리스틴은 말했다. “내 배아가 환자 누구를 살렸다는 소리를 굳이 들을 필요는 없다. 그래야 더 큰 선행이기 때문이다.”
지난 6월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잉여 냉동 배아 연구에 연방자금을 지원하자는 법안에 또다시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처럼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싸고 때로는 지나칠 정도로 뜨겁게 벌어지는 논쟁에서 대체로 홀대 받는 집단이 있다.
바로 냉동 배아의 주인들이다. “배아를 만든 당사자의 입장에서 이 배아에는 각별하고 도덕적인 의미가 있다”고 존스 홉킨스 버먼 생명윤리연구소 소장 루스 페이든은 말했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좋을지 깊이 논의하려면 그들의 생각을 알아야 한다.” 페이든과 듀크대의 앤 라이얼리가 애쓴 덕분에 이젠 그들의 생각을 알게 됐다.
두 사람이 불임환자 1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조사에서는 60% 이상이 줄기세포 연구에 냉동 배아를 기증할 용의가 있다고 대답했다. 다른 부부에게 기증하는 데 관심을 보인 환자는 불과 22%였고, 24%는 폐기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