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 150호 송조표전총류 國寶 150호 송조표전총류 이 책은 태종(재위 1400∼1418)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펴낸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 수 없고 다만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였다.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04.23
國寶 149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國寶 149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이 책은 송나라 여조겸의 교편(校編)이며,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여 태종년간에 간행한 것이다. 계미자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글자주조술과 조판술의 발달사연구에 귀중한 자료인데 사용했던 기간이 짧아 전해지는 본이 희귀하다.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04.23
國寶 131호 이태조호적원본 國寶 131호 이태조호적원본 이 호적은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1335∼1408)의 본향인 영흥에서 작성한 것이다.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04.23
[스크랩] 보물 제932호 조선영조왕이금상(朝鮮英祖王李昑像) 조선시대 임금인 영조(재위 1724∼1776)의 초상화이다. 영조는 심각한 당파싸움에 대하여 탕평책을 실시하고, 인재를 고르게 등용하여 사회를 안정시켰으며 스스로 학문을 즐겨 문예 부흥기를 이루었다. 이 그림은 51세 때 모습을 그린 것으로, 가로 68㎝, 세로 110㎝ 크기의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오른..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04.23
에밀레종 이야기, 외척 고발한 정치설화 에밀레종 이야기, 외척 고발한 정치설화 “인신공양된 아이는 권력암투 희생된 혜공왕 상징 기존의 학설은 기호학적 접근 없는 인상비평 불과” “자기를 공양한 어머니를 탓하며 죽는 아이는 혜공왕을 상징합니다. 어머니는 오라비와 더불어 혜공왕을 쥐락펴락 섭정했던 대비(大妃) 만월부인이죠. ..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4.23
영조의 수덕진편(樹德全編) 영조의 수덕진편(樹德全編) 조선 영조는 재위 47년째인 건륭(建隆) 36년(1771), 김육(金堉)이 지은 '종덕신편'(種德新編)이란 글을 읽고는 그에 대한 감회를 적은 별도의 책을 만들어 수덕전편(樹德全編)이라 하고는 그 표지 제목과 글씨를 직접 쓰고 그것을 판각케 하고는 신하들에게 하사했다. 이런 책을..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04.22
우리의 전통문양 문양 보기 최근 등록순 | 꽃 | 새 | 영물 | 구름 | 나무 | 태극 | 기하학 | 탈 | 귀면문 | 여의두 | 복자문 | 만자문 | 매화문 | 연꽃문 | [category] |--> [이전] -->1 2 3 4 5 6 7 8 9 10 [page] -->[다음]--> ◈한국의 전통문양◈ ◀구름무늬▶ 삼각기, 조선시대 백학기, 조선시대 백봉기, 조선시대 순종 태자비 금보함, 조선..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4.21
아름다운 장신구 아름다운 전통 장신구 골무노리개 수공예 고급 노리개 원석 노리개 대삼작 향주머니 개성굴레 조각보에 다용도 열쇠고리 세가닥 매미 노리개 큰 주머니 노리개 손수 노리개 당의용 노리개 왕관 노리개 삼작 바느질그릇 반짖고리 보석함 미니경대 손수 경대문 손거울 댕기노리개 비단 버선 누비 수 가.. 참고실/우리의옛것 2007.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