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한말 (1) 구 한말 (1) 구 한말 황실, 왼쪽부터 영친왕.순종.고종.귀비엄씨.덕혜옹주. 이 사진은 한국 사진의 선각자이자 흥완군(대원군의 형)의 손자인 고 이해선(순종의 육촌 형제, 민영환의 사위) 선생의 유품에서 발견되었다. 출처 : 대한사진예술가협회 육상궁(毓祥宮) 유상궁은 원래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1.21
우리의 문화유산 불국사와 해인사의팔만 대장경 함께 감상. 우리의 문화유산 불국사와 해인사의팔만 대장경 함께 감상. 한국의 아름다운 문화유산 경주 불국사와 팔만 대장경 외... 불국사 일주문 불국사 다보탑 불국사 다보탑 기단 위 돌사자 불국사 다보탑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進峴洞) 불국사 경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화강석 석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1.20
내 조상 경주김씨의 능원 대릉원에서 안압지로 <2007년 10월 25일> 대릉원의 고분 대릉원 천마총 대릉원의 미추왕릉 첨성대 내물왕릉 지대 계림 계림비각 월성의 노송림 월성의 석빙고 석빙고 내부 안압지 안압지의 야경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1.20
북한산 삼천사지서 고려유물 ‘명문비편’ 출토 북한산 삼천사지서 고려유물 ‘명문비편’ 출토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 1-1번지 일원 삼천사지(三千寺址) 탑비구역에 대한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삼천사지 탑비구역 출토 석조보살두, 명문비편 탁본, 명문비편(왼쪽부터). 서울시 제공=연합 ▶ 가순궁주명금니목가구 등 유물 500여 점 발굴 ..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1.06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서울신문]석가탑에서 발견된 문서뭉치인 묵서지편(墨書紙片)에서 이두(吏讀)가 다량으로 확인됐다. 국어학계는 기존 학설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만큼 문자발달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30
세계 最古 무구정광다라니경 제작시기 놓고 논란 세계 最古 무구정광다라니경 제작시기 놓고 논란 신형준 기자 hjshi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입력 : 2007.10.27 15:54 / 수정 : 2007.10.27 16:06 Url 복사하기 스크랩하기 블로그담기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로 알려진 무구정광다라니경은 기존 주장처럼 서기 8세기 통일신라 때 제작된 것인가, 아니면 11세..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28
1757년 어느 날, 조선-일본의 선각자들이 만났으니… 한중일 과학사 연구자들 ‘17, 18세기의 재구성’ 때는 1757년 시월 어느 날, 조선-일본의 선각자들이 만났으니… 1772년 임진년 한성부에 자리한 조선 후기 과학자 정철조의 집. 몇 년 전 연행사(燕行使)로 청나라를 다녀온 홍대용이 친구 정철조와 박지원에게 중국에서 보고 온 서양 과학에 관해 열변을 ..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27
학계 “무령왕릉 이후 백제 최고의 발굴” 학계 “무령왕릉 이후 백제 최고의 발굴” 왕흥사터 백제 사리함에서 금장식·구슬 등 수천점 나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완형의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사리를 담은 용기)가 1430년 만에 발굴됐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24일 “부여 왕흥사터 목탑 기초(심초석·心礎石) 부분에..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25
어재연 장수기 `귀환 신고합니다` 어재연 장수기 `귀환 신고합니다` 신미양요 때 뺏겨 … 136년 만에 귀국 136년 만에 돌아온 조선군 지휘관 어재연의 장수기가 22일 서울 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김원모 단국대 명예교수, 안덕수 강화군수, 김용환 인천해역방어사령관, 유홍준 문화재청장, 김기남 해병2사단장, 유천호 인천..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23
남한산성 왕 머물던 행궁·2.6㎞ 성곽 90% 복원 왕 머물던 행궁 90% 복원 2.6㎞ 성곽 내년 마무리 역사 애환 담긴 남한산성 복원 7년째 1624년 남한산성을 축조할 때 지은 4개의 수어장대 중 현재까지 남아 있는 수어장대의 모습. 수어청의 장관(將官)들이 군사를 지휘하던 곳으로 1972년 5월 경기도 유형문화재 1호로 지정됐다. [중앙포토] “죽어서 살 것.. 참고실/역사의기록 2007.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