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C3%CA%B0%A1%C1%FD2.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C3%CA%B0%A1%C1%FD.jpg)
초가집
아름답고 추억이 깃든 우리 옛집
우리의 전통가옥은 초가집이나 기와집 모두가 그 재료 대부분이 자연에서 나온 것이다. 흙, 나무, 돌, 짚,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재료나 환경친화적인 부산물로 지어졌으며 기후, 지리적인 여건, 신분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다.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C3%CA%B0%A1%C1%FD3.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C3%CA%B0%A1%C1%FD4.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C3%CA%B0%A1%C1%FD5.jpg)
초가집
초가집, 기와집, 움집, 굴피집, 귀틀집 등이 있으며
각기 뛰어난 독창성과 효율성을 갖고 있다.
전통가옥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고 호흡하는 생명의 공간으로
오늘날 목조주택, 황토, 황토방 등에서 그 우수성이 날로 입증되고 있다.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amsa.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F%F2%C1%FD1%5B1%5D.jpg)
움집
자연에서 재료와 해법을 찾고 사람이 중심이었던 우리의 옛집은
구조와 배치에서 내부와 외부세상이 하나되는 공간 철학과 뛰어난 조형성을 갖추고 있다.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5%B9%B4%E3%B1%E2%BF%CD%C1%FD.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1%E2%BF%CD%C1%FD.jpg)
기와집
지붕에서 부터 벽채, 방, 부엌, 마루, 문, 담장, 각종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형태와 재료의 선택, 색과 질감, 배치 감각 등에서
우리의 옛 장인들의 탁월한 솜씨와 미적 감각이 고스란히 배어있다.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rnl.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1%CD%C6%B2%C1%FD2.jpg)
귀틀집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3%CA%BF%CD%C1%FD.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3%CA%BF%CD%C1%FD1.jpg)
![](http://blog.chosun.com/web_file/blog/241/241/7/%B3%CA%BF%CD%C1%FD2.jpg)
굴피집
회백색 밀폐된 아파트문화 생활과 우리민족의 옛집을 한번쯤은 비교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자연과 함께하는 주거환경이...
옛동산에 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