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집 제1권 / 시(詩) / 위백규(魏伯珪)
매화 절구 열여섯 수 〔梅韻 十六絶〕
뜰을 걸을 때도 고매 주위를 맴돌고 / 步庭繞古梅
방에 들어와서도 고매 바라보자니 / 入室望古梅
이웃 사람들이 찾아와서 묻기를 / 傍人來相問
무슨 일로 문을 항상 열어 두는지요 / 何事戶常開
매실(梅室)
늘 봐도 만족스럽지 않아 / 尋常看不足
은근히 난간에 기대어 바라보지요 / 慇懃且憑欄
때때로 혼자 웃으니 / 時時獨自笑
이 마음 뉘와 함께 얘기할까 / 此意與誰論
매함(梅檻)
처마 높아 시원한 바람 절로 화창하고 / 搴開風自暢
짧은 처마에 달빛 머뭇거리지 않네 / 短齊月不遲
바람 들고 달 비추기에 좋지만 / 宜風復宜月
유달리 고매에게 어울린다오 / 偏與古梅宜
매첨(梅簷)
조용히 앉아 작은 창 열어 보면 / 靜坐開小牖
홀로 매화만이 내 마음 알아주네 / 獨有梅君知
스스로 선천의 뜻 깨달으니 / 自悟先天意
소중해라 달 밝은 때라오 / 珍重月明時
매창(梅窓)
치자나무와 산다가 / 梔子與山茶
작은 시내에 향기 넘치게 하더니 / 剩占小溪馥
매화가 이곳에 온 뒤부터 / 自從梅君來
얼굴빛 더욱 환하게 되었지 / 與之增顔色
매계(梅階)
굽이굽이 그리고 층층으로 / 曲曲復層層
오르내리며 조용히 보네 / 登降自窈窕
언제나 이 매화 때문에 / 長是爲梅君
산책을 멈출 수 없다오 / 散步苦未了
매정(梅庭)
졸졸 흐르는 자그만 석간수가 / 𤂬湲小石澗
굽은 담장 휘감아 들어오니 / 穿過曲墻回
매화 꽃잎 떠내려간다 한들 / 梅花雖泛去
뉘라서 근원 찾아 오겠는가 / 誰肯尋源來
매간(梅澗)
새벽에 일어나 맑은 샘물로 씻고 / 晨興濯淸泉
한낮 무더위에 맑은 샘물 마시네 / 午煩飮淸泉
자주 왔다가 또 가는 것은 / 頻頻來又去
고매가 앞에 있어 다정해서지요 / 多情古梅前
매천(梅泉)
여름에 불면 맑고 더욱 상쾌하더니 / 夏吹淸益爽
세밑에 불면 향기가 멀리 퍼진다네 / 臘吹香遠披
오래된 그루터기가 천뢰 울리니 / 古査鳴天籟
베개에 기댔을 때 더욱 좋네요 / 尤宜欹枕時
매풍(梅風)
달빛 받아 밝고 깨끗한 옥빛 매화 / 玉暎光皎潔
창에 비친 그림자는 너울너울 / 梅窓影婆娑
세상 사람들은 응당 모르리라 / 世人應不識
우리 집에 더 많은 저 달빛을 / 月色多吾家
매월(梅月)
후려치는 비에 주름진 껍질이 젖어 / 斜打濕皺殼
짙은 윤기 방울방울 꽃술에 스민다 / 濃潤滴橫眉
이끼의 반점 점차 빛깔 선명해지더니 / 苔團漸生色
그 흔적 다른 가지까지 옮겨 가네 / 移痕侵別枝
매우(梅雨)
퍼져 나가 외로운 뿔처럼 드러내고 / 泛抹露孤角
비스듬히 깔려 빽빽한 가지 감싸면서 / 斜沈繞密條
이윽고 짙었다가 옅어지더니 / 移時濃復歇
도리어 시냇가 향해 사라지네 / 還向澗邊消
매연(梅烟)
짙은 서리에 바람마저 거세져도 / 霜重風摵摵
앙상한 자태 더욱 꿋꿋하구나 / 蕭森態又豪
꽃봉오리 동글동글 자주색을 띠었으니 / 花蕾團已紫
침침한 눈에도 오히려 고결함을 알겠구나 / 眼暗尙認高
매상(梅霜)
매화는 눈 속에 보는 것이 좋기에 / 梅好雪中看
사람들 어느 누가 좋아하지 않던가 / 人人誰不說
붉은 봉황 같은 꽃송이에 용같이 서린 하얀 눈 / 珠鳳與玉龍
반곡만 홀로 설매를 지녔다고 하겠는가 / 磻谷獨有雪
매설(梅雪)
보고 또 보아도 좋고 좋으니 / 看看方好好
어느 곳에서 할미새 왔는지 / 何處雝渠回
살포시 가지 흔들며 울다 가니 / 輕撓啼又去
또다시 올까 오지 않을까 / 能復來不來
매금(梅禽)
술 있으면 문득 마주 앉아서 / 有酒輒對坐
자주 쳐다보다 술잔이 더디네 / 屢眄擧盃遲
조금 마셔도 쉽게 취하니 / 飮小而易醉
매화도 좋지만 술도 좋을시고 / 梅奇還酒奇
매주(梅酒)
………………………………………………………………
'글,문학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회포를 서술한 시 2수 (0) | 2024.09.04 |
---|---|
사락정 시를 지어서 보내다 아울러 서문을 쓴다. (0) | 2024.09.04 |
비해당(匪懈堂) 사십팔영(四十八詠) (0) | 2024.08.30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0) | 2024.08.29 |
청담〔淸潭〕 (0)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