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생활상식

2019년도9월달력 절후표

淸潭 2019. 8. 31. 09:20

단기4352년,2019년도9월달력 절후표/참을인(忍) 자의 비밀/춘강 제작

 

출처-< 너에게 편지를 [春剛書畵아트] >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候表)

 

 

계절

(季節)

절기명

(節氣名)

양력(陽曆)

음력 陰曆

기후(氣候)의 특징(特徵)

立春(입춘)

2월

4~5일

1월

겨울의 절정에서 봄이 조금씩 움튼다

雨水(우수)

18~20일

얼음이 녹고,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驚蟄(경칩)

3월

5~6일

2월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난다

春分(춘분)

20~22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봄기운이 무르익는다

淸明(청명)

4월

4~5일

3월

하늘은 맑고, 날씨는 따뜻하다

穀雨(곡우)

20~21일

농사를 재촉하는 비가 내린다

여름夏

立夏(입하)

5월

5~6일

4월

어느새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

小滿(소만)

20~21일

작은 꽃들이 피고, 여름기운이 서서히 감돈다

芒種(망종)

6월

5~6일

5월

보리는 익어서 거두고, 모심기를 하게 된다

夏至(하지)

21~23일

낮이 가장 길어지고, 해가 뜨거워 진다

小暑(소서)

7월

6~8일

6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大暑(대서)

22~23일

이윽고 무더위가 최고 절정에 이른다

가을秋

立秋(입추)

8월

7~8일

7월

더위가 약간 수그러 들면서 가을에 접어든다

處暑(처서)

22~23일

아침‧저녁으로 시원해지며 더위가 수그러든다

白露(백로)

9월

7~8일

8월

풀잎에 이슬이 맺히며, 가을 기분이 난다

秋分(추분)

22~24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며, 완연한 가을이다

寒露(한로)

10월

7~9일

9월

찬 이슬이 맺히고, 날씨가 서늘해 진다

霜降(상강)

23~24일

서리가 내리면서 가을이 깊어간다

겨울冬

立冬(입동)

11월

7~8일

10월

어느덧 날씨가 추워지며 겨울이 시작된다

小雪(소설)

22~23일

눈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大雪(대설)

12월

6~7일

11월

큰 눈이 내리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冬至(동지)

21~23일

밤이 가장 길어지며, 겨울의 복판에 든다

小寒(소한)

1월

5~7일

12월

한겨울이 닥쳐와 날씨가 몹씨 추워진다

大寒(대한)

20~21일

매섭고 큰 추위가 몰아쳐서 엄동설한이 된다


 

 

 

 

 

 

 

 

 

 

 

 

 

 

 

 

 

 

 

 

 

 

 

 

 

 

 

 

 

 

 

 

 

 

 

 

 

 

 

 

 

 

 

 

 

 

 

   白露 (백로)

 

 白露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8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 165도에 위치한 날이고 양력(陽曆)으로는 9월 8일경입니다. 이 시기에는 밤에 기온이 내려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이슬이 되어 풀잎에 맺힌다는 의미를 지녔습니다.
 옛 문헌에 백로 기간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제비가 돌아가며,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합니다. 

 秋分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8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황경 180도에 도달한 날인데 춘분(春分)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같고 양력(陽曆)으로는 9월 23일경입니다. 이 시기는 추수기가 시작되고 백곡(百穀)이 풍성한 때입니다.
 옛 문헌에는 추분 기간에 우레 소리가 그치고, 동면할 벌레가 구멍 창을 막고, 땅 위의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백로(白露)

하얀 이슬 산들바람 가을을 보내주자
발 밖의 물과 하늘 청망한 가을일레
앞산에 잎새 지고 매미소리 멀어져
막대 끌고 나와 보니 곳마다 가을일레

―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사계시(四季時)』중

백로는 들녘의 농작물에 흰 이슬이 맺히고 가을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때이다.
이때가 되면 고추는 더욱 붉은 색을 띠기 시작한다. 맑은 날이 연이어지고 기온도 적당해서 오곡백과가 여무는데 더없이 좋은 날이 된다. "백로에 비가 오면 오곡이 겉여물고 백과에 단물이 빠진다."하여 오곡백과가 여무는 데 지장이 있음을 걱정했다.

초가을인 이때는 가끔 기온이 뚝 떨어지는 '조냉(早冷)'현상이 나타나 농작물의 자람과 결실을 방해해 수확의 감소를 가져오기도 한다.
백로에 접어들면 밤하늘에선 순간적으로 빛이 번쩍일 때가 더러 있다. 농부들은 이를 두고 벼이삭이 패고 익는 것이 낮동안 부족해 밤에도 하늘이 보탠다고 한다. 이 빛의 번쩍임이 잦을수록 풍년이 든다고 한다.
아침 저녁으로 서늘한 가운데 한낮에는 초가을의 노염(老炎)이 쌀농사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벼 이삭이 여물어 가는 등숙기(登熟期 : 양력 8월중순 - 9월말)의 고온 청명한 날씨는 벼농사에 더없이 좋고, 일조량이 많을수록 소확량도 많아지게 된다. 이때의 햇살과 더위야말로 농작물엔 보약과 다름없는 것이다.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 내리 쬐는 하루 땡볕에 쌀 12만섬(1998년 기준)이 증산된다고 한다. 중위도 지방의 벼농사는 그간 여름 장마에 의해 못자란 벼나 과일들도 늦더위에 알이 충실해지고 과일은 단맛을 더하게 된다. 이때의 더위로 인해 한가위에는 맛있는 햅쌀과 햇과일을 먹게 되는 것이다.
추분(秋分)
들판은 어디서나 귀뚜라미 울어예고
바람에 마르는 콩꼬투리 툭툭 터지는 소리
조 이삭, 수수 이삭 여물어 가는 청명한 가을 하늘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추분의 들녘에 서면 곡식들 여물어가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수수와 조가 늘어 뺀 고개를 숙일대로 숙이고, 들판의 벼들은 강렬한 태양, 천둥과 폭우의 나날을 견뎌 저마다 겸손의 고개를 숙인다.
머잖아 쌀알로 열매맺게 될 저 알곡들이 황금빛 바다를 이루어 빛나는 시기이다.
없는 이웃 논바닥을 피바다로 만드니, 이웃집 농부들의 수군거림을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피사리를 확실히 해야 한다.

이맘 때는 여름내 짙푸르기만 하던 들이 하루가 다르게 누릿누릿 익어 물들어 간다. 또 고추가 익기 시작하므로 수시로 따서 말린다.
가을 누에치기, 건초 장만하기, 반찬용 콩잎 따기도 한다. 논물 빼고 도구치기, 마지막 논두렁 베기, 병·충해 방제, 논에 피사리 등 수확을 앞두고 관리에 들어간다.

 

참을인(忍) 자의 비밀...

 

참을인(忍)자는  칼도(刀)자밑에

마음심(心)자가  놓여있습니다

 

이대로참을인(忍)자를 해석하자면

가슴에 칼을얹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가만히 누워있는데

시퍼런 칼이 내가슴위에 놓여있습니다


 

잘못하다가는 가슴위에 놓인

칼에 찔릴지도 모를 상황 입니다.

 


상황이 이런데


 

누가와서 짜증나게 건드린다고

뿌리칠수 있겠습니까?


 

아니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날수있겠습니까?


움직여봤자 나만 상하게됩니다.

 

 

하나는 일이생겨도, 감정이 밀어닥쳐도
죽은듯이 가만히 기다려야 합니다.

 


 

이렇듯 참을인(忍)자는
참지 못하는자에게 가장 먼저

피해가 일어난다는 뜻을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기평정을
잘유지할줄아는것이 인내입니다.

 


참을인(忍)자에는 또다른 가르침이 있습니다

 

사람의마음속에는

때로는
죽순처럼 솟아오르는 것들이 있습니다


 

온갖미움, 증오, 분노, 배타심

그리고 탐욕들이 그러합니다.


 

이런것이 싹틀때마다 마음속에
담겨있는 칼로 잘라 버리라는 것입니다

 


이렇듯 인내에는 아픔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결단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인고의 삶을 터득하는 사람에게는

 

그누구도

범접할수 없는 인격이 주어질것입니다.

 -좋은 글 중에서-

知足常樂 心慧詩 /춘강 서             


   

知足常樂 心慧詩 (作者未詳)

스스로 만족함을 안다면 마음은 항상 유쾌한 것이라는 마음의 지혜 시.

①一生爲人要忠誠 (일생위인요충성):일생동안 삶을 충성스럽게 살아가는 사람이 되어,

兩袖淸風心頭 (양수청풍소심두):兩袖淸風-선비의 청순한 기풍, 心頭-생각하고 있는 마음.

선비의 청순한 기풍을 간직한다면 생각하는 마음에는 늘 웃음이 넘치는 것이다.

③三餐素食常歡樂 (삼찬소식상환락):素食-기름진 음식이 없는 식사.

하루 세끼 식사는 기름지지 않게 늘 기쁘고 즐거운 마음으로 먹고, (매사에 욕심을 내지 않는다는 것)

④四季溫暖無懮愁(사계온난무우수):懮愁-근심과 걱정

사시사철 따스한 잠자리를 마련하면 모든 근심걱정 없어지네. (부정한 죄를 짓고 두렵게 살지 말라는 것)

⑤五彩人生伴我行(오채인생반아행):五彩-파랑 노랑 빨강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 색.

다섯 가지 색으로 장식한 관복이 나를 동반한 벼슬아치로 지내다가,

⑥六十花甲喜退休(육십화갑희퇴휴):육십 환갑이 되어 기쁨으로 은퇴하여 쉬면서,

⑦七十八十歌天地(칠십팔십가천지):인생 칠십 팔십까지 살게 되어 천지가 다 내 세상일 테고,

⑧九十百歲樂悠悠(구십백세락유유):구십 백 살까지 산다면 그 재미 정말로 기가 막히겠지.

⑨多味生活人人有(다미생활인인유):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람마다 살고 있겠지만,

⑩知足常樂度一生(지족상락도일생):스스로 족함을 알아 마음이 늘 즐겁게 일생을 지내는 것이 으뜸이라네.

 <解說>

이 詩는 옛 선비들이 생활하는 데에서 座右銘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語本은 <老子> ““禍莫大於不知足,咎莫大於欲得,故知足之足常足矣。”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老子>“禍莫大於不知足,咎莫大於欲得,故知足之足常足矣。(화는 족함을 알지 못하는데서 비롯되는 것에 벗어나지 않고, 허물은 욕심을 갖는 데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이니, 그러니 만족함을 아는 만족이야 말로 항상 족한 것이로다.

①~④행은 知足常樂의 定義를, ⑤~⑧행은 不知足과 欲得의 例를 들었고, ⑨~⑩행은 결론을 말한 것으로 보아진다



추석상차리는방법 차례 제사상 이렇게차리기

 

 

추석상. 차례상 차릴때는 옛부터 전해오던 그대로 진행

하면 되는데 요즘에는 이런 차례들도 간단해지고 하다

보니 잘 모르시는분들이 있는것 같더라구요. 간단히 몇

개만 알아두시면 조금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일단 기본셋팅할때 4개만 알아두어도 도움이 된답니다.

 

 

 

어동육서 : 생선고기는 동쪽에놓기 / 육류고기는 서쪽에 놓기

 

 

 

 

두동미서 : 생선고기의 머리는 동쪽을 향한다 꼬리는 서쪽을 향한다

 

 

 

 

홍동백서 : 붉은색 과일은 동쪽에 놓기 / 흰색과일은 서쪽에 놓기

 

 

 

좌포우혜 : 말린고기(포)종류는 왼쪽에 놓기 / 식혜는 오른쪽에 놓기

 

이외에도 조율이시 : 서쪽방향부터 대추. 밤. 배 감순서로 놓습니다.

생동숙서 : 동쪽방향에는 김치를 놓고 서쪽방향에는 익혀서만든 나물을 놓는다

좌반우갱 : 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최종적으로 아래 나와있는 그림대로 놓아주시면

되구요. 있는 음식 없는 음식이 있을수 있습니다.

어떠한 종류인지에 따라서 위에 알려드린 방향

위치대로 놓아주시면 될거예요.

 

 

 

 

추석상차리는방법 차례 제사상 이렇게차리기











 

 

★(옥과 사람들)★


추석연휴 즐겁고 건강하게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_( )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