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문학/野談,傳說,說話,등

相思病(상사병)

淸潭 2019. 8. 22. 21:57

相思病(상사병)

뜻;

서로 생각하는 병. 마음에 둔 사람을 몹시 그리워한 나머지 생기는 마음의 병을 말한다.

출전

춘추시대 송(宋)나라 강왕(康王)이 절세미인인 한빙(韓憑)의 부인 하씨(何氏)를 빼앗았다. 한빙이 이를 원망하자 그를 가두고 성단(城旦)의 형벌에 청했다. 한빙의 아내는 남편을 못 잊어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다. “비가 많이 내려 강은 넓어지고 물은 깊어졌는데, 해가 뜨면 마음을 먹을 것입니다.(其雨淫淫, 河大水深, 日出當心.)”

그런데 이 편지는 전달되지 못하고 왕의 손에 들어갔다. 왕이 좌우에 편지의 뜻을 묻자, 소하(蘇賀)가 대답했다. “비가 많이 내린다는 말은 근심하고 그리워한다는 뜻이고, 강이 넓어지고 물이 깊어졌다는 말은 서로 내왕을 할 수가 없다는 뜻이며, 해가 뜨면 마음을 먹는다는 말은 죽을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其雨淫淫, 言愁且思也. 河大水深, 不得往來也, 日出當心, 心有死志也.)”

얼마 후 한빙이 자살했다. 하씨는 은밀히 자기 옷을 너덜너덜하게 만들고서, 왕과 함께 누대에 올랐을 때 아래로 몸을 던졌다. 좌우에서 급히 붙잡았으나 옷자락만 끊어지고 사람은 아래로 떨어졌다. 띠에는 다음과 같은 유언이 적혀 있었다. ‘왕은 사는 것을 행복으로 여기지만 첩은 죽는 것을 행복으로 여깁니다. 시신을 (한빙과)합장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화가 난 왕은 사람을 시켜 무덤을 서로 바라보도록 만들게 하고 말했다. “너희 부부의 사랑이 끝이 없다면 무덤을 하나로 합쳐 보아라. 그것까지는 내가 막지 않겠다.”

「그날 밤 두 그루의 개오동나무가 각각의 무덤 끝에 나더니, 열흘도 안 되어 아름드리나무가 되어 몸체가 구부러져 서로에게 다가가고 아래로는 뿌리가 서로 맞닿았다. 그리고 나무 위에는 한 쌍의 원앙새가 앉아 하루 종일 떠나지 않고 서로 목을 안고 슬피 울었다. 송나라 사람들이 다 슬퍼하며 그 나무를 상사수(相思樹)라고 이름 지었다. ‘상사’라는 말은 여기에서 유래하였다. 남인(南人)들은 이 새가 바로 한빙 부부의 넋이라고 말했다. 오늘날 수양(睢陽)에는 한빙성(韓憑城)이 있고, 그 노래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宿昔之間, 便有大梓木, 生於二冢之端, 旬日而大盈抱, 屈体相就, 根交於下, 枝錯於上. 又有鴛鴦, 雌雄各一, 恒栖樹上, 晨夕不去, 交頸悲鳴, 音聲感人. 宋人哀之, 遂號其木曰相思樹. 相思之名, 起於此也. 南人謂, 此禽卽韓憑夫婦之精魂. 今睢陽有韓憑城, 其歌謠至今猶存.)」

이 이야기는 동진(東晉)의 간보(干寶)가 지은 《수신기(搜神記)》에 나온다. ‘성단’이란 변방에서 낮에는 도적을 지키고 밤에는 성을 쌓는 일을 하는 형벌을 말한다.

‘상사수’는 ‘홍두수(紅豆樹)’라고도 한다. 이 나무의 열매인 ‘홍두(紅豆)’는 ‘상사자(相思子)’라고도 하며, 중국의 고대 문학작품에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거나 친구 간에 보고 싶어하는 정을 표현하는 데 많이 쓰였다. 이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당나라 왕유(王維)의 시 〈상사(相思)〉를 들 수 있다.

홍두는 남쪽 나라에서 자라는데
봄이 오니 가지들이 새로 돋았네
그대 이 열매를 많이 따 가져가시게
이것이 그리움을 가장 돋우는 물건이라오

紅豆生南國 春來發幾枝
願君多采擷 此物最相思


'글,문학 > 野談,傳說,說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림 선사와 백거이의 만남을 그린 선화(禪畵).   (0) 2019.08.27
處暑 (처서)  (0) 2019.08.23
24절기(節氣)  (0) 2019.04.06
한식(寒食)  (0) 2019.04.06
청명(淸明 )   (0) 201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