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합(宮合)
- 요약
- 혼인 때 신랑 신부의 사주(四柱)를 오행(五行)에 맞추어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을 보아 길흉을 점치는 방법.
- 지금도 그 유풍이 남아 있다.
- 점문(占文)의 내용은,
- 술서(術書)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나 일반적으로 쓰는 궁합풀이는 다음과 같다.
- 남토여토(男土女土)면 유자부귀(有子富貴) ·개화만지(開花滿枝),
- 남토여수(男土女水)면 부귀장수(富貴長壽) ·음주비가(飮酒悲歌),
- 남토여목(男土女木)이면 단명반흉(短命半凶) ·고목봉추(枯木逢秋),
- 남토여화(男土女火)면 장명부귀(長命富貴) ·어변성룡(魚變成龍),
- 남토여금(男土女金)이면 의식풍족(衣食豊足) ·조변성응(鳥變成鷹),
- 남목여목(男木女木)이면 반길반흉(半吉半凶) ·교변위룡(蛟變爲龍),
- 남목여금(男木女金)이면 빈곤대흉(貧困大凶) ·와우부초(臥牛負草),
- 남목여수(男木女水)면 다자부귀(多子富貴) ·조변성응(鳥變成鷹),
- 남목여화(男木女火)면 재록자손(財祿子孫) ·삼하봉선(三夏逢扇),
- 남목여토(男木女土)면 질병사망(疾病死亡) ·입동재의(入冬裁衣),
- 남화여화(男火女火)면 사망대흉(死亡大凶) ·용변위어(龍變爲魚),
- 남화여수(男火女水)면 생리사별(生離死別) ·노각도교(老脚渡橋),
- 남화여토(男火女土)면 천록장명(天祿長命) ·인변성선(人變成仙),
- 남화여금(男火女金)이면 무자반흉(無子半凶) ·용실명주(龍失明珠),
- 남화여목(男火女木)이면 복록자손(福祿子孫) ·조변성학(鳥變成鶴),
- 남수여수(男水女水)이면 빈고대흉(貧苦大凶) ·병마봉침(病馬逢針),
- 남수여토(男水女土)면 장명의식(長命衣食) ·만물봉상(萬物逢霜),
- 남수여목(男水女木)이면 득관재록(得官財祿) ·교변위룡(蛟變爲龍),
- 남수여화(男水女火)면 의식관명(衣食官命) ·화락봉서(花落逢暑),
- 남수여금(男水女金)이면 사사대길(事事大吉) ·삼객봉제(三客逢弟),
- 남금여금(男金女金)이면 무자무의(無子無依) ·용변위어(龍變爲魚),
- 남금여수(男金女水)면 빈고차흉(貧苦且凶) ·사마득타(駟馬得馱),
- 남금여화(男金女火)면 자손충효(子孫忠孝) ·수마중타(瘦馬重馱),
- 남금여목(男金女木)이면 반흉반희(半凶半喜) ·유어실수(遊魚失水)이다.
위에 열거한 궁합풀이를 보기 위한 60갑자(甲子) 및 납음법(納音法)은,
갑자 ·을축(甲子 ·乙丑)은 해중금(海中金),
병인 ·정묘(丙寅 ·丁卯)는 노중화(爐中火),
무진 ·기사(戊辰 ·己巳)는 대림목(大林木),
경오 ·신미(庚午 ·辛未)는 노방토(路傍土),
임신 ·계유(壬申 ·癸酉)는 검봉금(劍鋒金),
갑술 ·을해(甲戌 ·乙亥)는 산두화(山頭火),
병자 ·정축(丙子 ·丁丑)은 간하수(澗下水),
무인 ·기묘(戊寅 ·己卯)는 성두토(城頭土),
경진 ·신사(庚辰 ·辛巳)는 백랍금(白蠟金),
임오 ·계미(壬午 ·癸未)는 양류목(楊柳木),
갑신 ·을유(甲申 ·乙酉)는 천중수(泉中水),
병술 ·정해(丙戌 ·丁亥)는 옥상토(屋上土),
무자 ·기축(戊子 ·己丑)은 벽력화(霹靂火),
경인 ·신묘(庚寅 ·辛卯)는 송백목(松栢木),
임진 ·계사(壬辰 ·癸巳)는 장류수(長流水),
갑오 ·을미(甲午 ·乙未)는 사중금(沙中金),
병신 ·정유(丙申 ·丁酉)는 산하화(山下火),
무술 ·기해(戊戌 ·己亥)는 평지목(平地木),
경자 ·신축(庚子 ·辛丑)은 벽상토(壁上土),
임인 ·계묘(壬寅 ·癸卯)는 금박금(金箔金),
갑진 ·을사(甲辰 ·乙巳)는 복등화(覆燈火),
병오 ·정미(丙午 ·丁未)는 천하수(天河水),
무신 ·기유(戊申 ·己酉)는 대역토(大驛土),
경술 ·신해(庚戌 ·辛亥)는 차천금(釵釧金),
임자 ·계축(壬子 ·癸丑)은 상자목(桑柘木),
갑인 ·을묘(甲寅 ·乙卯)는 대계수(大溪水),
병진 ·정사(丙辰 ·丁巳)는 사중토(沙中土),
무오 ·기미(戊午 ·己未)는 천상화(天上火),
경신 ·신유(庚申 ·辛酉)는 석류목(石榴木),
임술 ·계해(壬戌 ·癸亥)는 대해수(大海水) 등과 같다.
[네이버 지식백과] 궁합 [宮合] (두산백과)
...............................................................................................
납음(納音)
사주에서 생년간지가 소속하는 오음(五音)이다. 납음오음은 그 자체에서 경술(庚戌)ㆍ신해(辛亥)는 차천금(釵釧金), 갑자(甲子)ㆍ을축(乙丑)은 해중금(海中金), 계해(癸亥)ㆍ임술(壬戌)은 대해수(大海水), 병자(丙子)ㆍ정축(丁丑)은 윤하수(潤下水) 등의 명칭이 있다.
납음오음표(納音五音表)
납음 | 생년간지 | |||||||||||
---|---|---|---|---|---|---|---|---|---|---|---|---|
목성 | 무진 | 기사 | 임오 | 계미 | 경인 | 신묘 | 무술 | 기해 | 임자 | 계축 | 경신 | 신유 |
화성 | 병인 | 정묘 | 갑술 | 을해 | 무자 | 기축 | 병신 | 정유 | 갑진 | 을사 | 무오 | 기미 |
토성 | 경오 | 신미 | 무인 | 기묘 | 병술 | 정해 | 경자 | 신축 | 무신 | 기유 | 병진 | 정사 |
금성 | 갑자 | 을축 | 임신 | 계유 | 경진 | 신사 | 갑오 | 을미 | 임인 | 계축 | 경술 | 신해 |
수성 | 병자 | 정축 | 갑신 | 을유 | 임진 | 계사 | 병오 | 정미 | 갑인 | 을묘 | 임술 | 계해 |
납음이란 60간지를 12율(律)로 구분하고, 각각을 오음(五音) :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에 배열하여 본명소속의 수(數)로 한 것이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납음 [納音] (역학사전, 2006. 2. 10., 백산출판사)
[네이버 지식백과] 납음 [納音] (역학사전, 2006. 2. 10., 백산출판사)
'사회생활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합보기-2 (0) | 2017.12.16 |
---|---|
궁합보기-1 (0) | 2017.12.16 |
[리빙포인트] 흰색패딩 소매 세탁할 땐 (0) | 2017.12.15 |
[리빙포인트] 고기 먹고 체했을 땐 파인애플 (0) | 2017.12.14 |
[리빙포인트] 굴 비린내 없앨땐 소금물로 (0) | 2017.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