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가 고택★
다산 정약용선생 상(정면)
정약용(丁若鏞)선생(1762~1836)은
이곳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당시 명/광주군 초부면 마현)
에서 아버지 나주 정(丁)씨 재원(載遠)과 어머니 해남 윤씨(고산 윤선도의 후손)
사이의 막내아들로 태어 났다.
이곳은 선생이 태어나고 묻히신 곳이다.
서울에서의 관직생활(1783~1800)과 전남 강진에서 유배생활(1801~1818)을
제외하고는 주로 이곳에서 생활하셨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4.jpg%3Fthumb&filename=1544.jpg)
다산 정약용선생 상(우측면)
선생의 위로는 이복 맏형인 약현(若鉉)과 동복형인 약전(若銓). 약종(若鍾)
그리고 누님(매형, 이승훈)이 계셨다.
선생은 반계(磻溪) 유형원, 성호(星湖) 이 익선생의 뒤를 이어
조선시대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분으로
조선후기 개화사상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고
문도공(文度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0.jpg%3Fthumb&filename=1550.jpg)
茶山선생은 경전의 미묘한 뜻을 낱낱이 파헤진 경학자(經學者)이며 복잡한 예론을 촌촌히 분석해 낸 예학자(禮學者)이다. 탁월한 행정가요, 교육학자며, 역사학자다.
화성축성을 설계하고 진두지휘한설계사요, 토목공학자이며
거중기와 배다리 유형거를 제작해낸 기계공학자다.
게다가 그분은 지리학자, 의학자, 법학자이고 시인이며 문예비평가이며 국어학자다.
<다산선생 지식 경영법>을 출간한
한양대학교 정민(鄭珉)교수도 다산선생을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다며 '전방위적 지식 경영가'라고 표현하였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86.jpg%3Fthumb&filename=1486.jpg)
다산 선생이 저술한 책을 형상화한 탑
선생은 1표 2서[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로 대표되는
500여권의 경집(經集)과 문집(文集)을 저술하셨고
'마과회통' 등의 의학서적도 남기셨다.
주차장에서 내려 다산선생 고택쪽으로 향하다 보면
그분이 저술한 많은 책들을 형상화하여 쌓아 놓은 탑이
가장 먼저 시선을 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5.jpg%3Fthumb&filename=1495.jpg)
진입로 양 쪽에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저술한 책 속에서 뽑은
경구(經句)가 도열하여 이곳을 찾는이들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고 있다.
선생의 학문은 오로지 수기안인(修己安人),
즉 "어떻게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아
백성들의 삶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을까!"에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7.jpg%3Fthumb&filename=1557.jpg)
화성 축성을 위해 제작한 거중기
다산 선생은 세계문화유산의 하나인 수원의 화성을 설계하였고
거중기 등의 과학기구를 제작하여 축성을 진두지휘하여
공기를 크게 단축시셨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로비에는
선생의 초상화가 걸려 있는데
거기에는 다산선생을 "한국 최대의 사회과학자"라고 적고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73.jpg%3Fthumb&filename=1473.jpg)
다산문화관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8.jpg%3Fthumb&filename=1548.jpg)
외삼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7.jpg%3Fthumb&filename=1547.jpg)
외삼문에는 실학연수(實學淵藪)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89.jpg%3Fthumb&filename=1489.jpg)
경내 안내 표지판
외삼문을 통과하여 들어 가면
정면에 경내 안내표지판이 서 있어 알아 보기 쉽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6.jpg%3Fthumb&filename=1546.jpg)
다산선생 고택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0.jpg%3Fthumb&filename=1490.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1.jpg%3Fthumb&filename=1531.jpg)
생가 여유당(與猶堂)은
1925년 대 홍수로 유실되었던 것을 1986년 복원하였다.
집 앞으로 내가 흐르고 집 뒤로 언덕이 있어
선생은 이를 보고 수각(水閣)이라고도 하였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76.jpg%3Fthumb&filename=1476.jpg)
여유당 현판 아래 방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0.jpg%3Fthumb&filename=1550.jpg)
여유당 맨 왼쪽 방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9.jpg%3Fthumb&filename=1549.jpg)
여유당 맨오른쪽 방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5.jpg%3Fthumb&filename=1555.jpg)
여유당 왼편 하인방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1.jpg%3Fthumb&filename=1491.jpg)
오른쪽에서 본 여유당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2.jpg%3Fthumb&filename=1492.jpg)
안채에서 바라본 여유당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3.jpg%3Fthumb&filename=1533.jpg)
안채 전경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4.jpg%3Fthumb&filename=1534.jpg)
안채에 걸려 있는 여유당 현판, 상량문(上樑文)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6.jpg%3Fthumb&filename=1556.jpg)
안채 마루와 진열장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77.jpg%3Fthumb&filename=1477.jpg)
안방 병풍과 보료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78.jpg%3Fthumb&filename=1478.jpg)
부엌의 모습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3.jpg%3Fthumb&filename=1543.jpg)
측면에서 본 안채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6.jpg%3Fthumb&filename=1496.jpg)
후면에서 본 안채
문의 모습이 다른데서는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특이하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7.jpg%3Fthumb&filename=1547.jpg)
왼쪽 측면에서 바라 본 여유당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7.jpg%3Fthumb&filename=1537.jpg)
여유당과 사당 사이에 서 있는 정약용선생 상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2.jpg%3Fthumb&filename=1542.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81.jpg%3Fthumb&filename=1481.jpg)
정약용선생 묘소(!)
다산 정약용선생 묘소는 생가인 여유당 뒤에
자리 잡고 있으며
숙부인 풍산홍씨와 합장으로 모셔져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82.jpg%3Fthumb&filename=1482.jpg)
정약용선생 묘소(2)
묘소로 오르는 길은
여유당(與猶堂) 양 옆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다지 높지 않아 돌아 보기 좋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49.jpg%3Fthumb&filename=1549.jpg)
사당인 문도사(文度祠) 전경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6%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54.jpg%3Fthumb&filename=1554.jpg)
사당 문도사(文度祠)
다산 정약용선생의 사당인 문도사(文度祠)는
묘소 왼쪽 아래에 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7%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93.jpg%3Fthumb&filename=1493.jpg)
다산기념관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8.jpg%3Fthumb&filename=1538.jpg)
신축 중인 경기도실학박물관
현재 한창 신축공사 중인 경기도실학박물관은
다산 정약용선생의 생가 앞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찾아가는길]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9%2F17_1_17_13_087JX_IMAGE_15_1539.jpg%3Fthumb&filename=1539.jpg)
다산유적지는 서울에서 양평을 향해 가다가 팔당댐을 지나
청평쪽으로 진입하면 곧 철로 밑을 통과하여
위의 간판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우회전을 하여 내려가면 된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0%2F17_1_17_13_087JX_IMAGE_14_1483.jpg%3Fthumb&filename=1483.jpg)
철로 밑을통과하자마자 오른쪽에 서 있는 이정표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A56284AF5204453)
가져온 곳 :
카페 >♣ 이동활의 음악정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