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등 보물지정 예고 |
오방오제위도‥현존 도량장엄용 불화 중 가장 오래된 작품
|
문화재청(청장 김찬)은 22일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이날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예고 한 문화재는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와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등이다.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는 1676년에 화승 일호가 단독으로 그린 것으로, 사찰에서 의식을 행할 때 도량장엄용으로 조성한 불화다. 현존하는 도량장엄용 불화 가운데에서도 조성 연대가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가치가 높다.
![]() |
||
또한, 오방오제위도와 사직사자도가 함께 전하는 매우 희소한 문화재로 조성연대, 제작과 관련한 시주자, 증명·화원·화주 비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화기까지 남아 있어 그 가치가 있다. 개심사 오방오제위도와 사직사자도는 임란 이후 크게 유행한 수륙재, 영산재 등에 사용된 불화로서 대형 의식불화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는 1772년에 개심사 괘불도 조성 당시 함께 제작된 도량장엄용 의식불화로 제석천도, 범천도, 팔금강도, 사위보살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금강보살번 하부의 화기를 통해 건륭 37년(1772) 괘불화를 제작할 때 범ㆍ제석천, 팔대금강, 사위보살을 함께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는 현존 예가 많지 않은 지본(종이에 그리거나 쓴 서화)의 번(의식용으로 거는 그림)으로서도 통도사 소장의 오계수호신장번 이후 두 번째로 오래된 번이다. 괘불도와 도량옹호번이 함께 남아 있는 드문 사례에 해당하기 때문에 야외 의식불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
||
‘금강반야경소론찬요조현록’(충북 유형문화재 제293호)은 충주 청룡사에서 1378년(고려 우왕 4)에 상·하 2권 1책으로 간행된 목판본이다. 발문에는 “병진년(1376년) 안거가 끝나갈 때에 환암의 설법을 듣고 추가적인 설명을 부탁하는 이가 있어서 이 책을 설법하였는데, 청중 가운데 신사 고식기가 감동하여 이 책의 간행광포를 희망하여 간비를 보시하였으므로 제자 만회 등에게 맡겨 판각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책판은 충주의 청룡사에 장판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불교학 연구와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며, 간본이 적었던 탓에 거의 찾아보기가 어려운 희귀본이다.
![]() |
||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은 정확한 조성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고려 시대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1560년), 그리고 조선 후기에 걸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의 수인은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자연스럽게 내려 촉지인을 취하였고, 선정인을 취한 왼손에는 구슬 모양의 약기를 올려놓아 약사불의 도상적 특징을 보인다. 복장유물은 후령통을 비롯한 불량답시주목록과 다라니류인데 중수 때 납입되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복장의식과 관련된 중요한 자료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등 4건은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 동안 의견 수렴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보물로 지정한다.
'불교이야기 > 수사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강에서 달을보다] 덕숭총림 방장 송원 설정 스님 (0) | 2012.03.07 |
---|---|
수덕사, 미디어보드시스템 ‘Touch-i’ 설치 (0) | 2012.02.29 |
참된 불자? (0) | 2012.02.23 |
“인연은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0) | 2012.02.14 |
수경스님 108배 모습 (0) | 2011.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