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산스님 법문
4. 색불이공 공불이색 (色不異空 - 空不異色)
지난주에 이어서 계속합니다.
그러므로 수·상·행·식은 발달심리학적인 면에서 순서를 정해 놓은 것이고, 또 지·수·화·풍 4대, 즉 지는 굳은 뼈요, 수는 살결이요, 화는 맥박이요, 풍은 호흡이라 인간의 생체구성 과정을 따라서 그렇게 순서를 정해놓은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모든 것은 인간 구성의 요소에 불과하다.
그것을 나라고 생각하는 놈이 있어 너 나를 구분하므로 죽고 싶은 생각이 나고 감정과 감정이 대립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색도 인연이니 공과 다르지 않고 공도 인연이니 색과 다르지 않다. 색불이공(色不異空)이요, 공불이색(空不異色)이라면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이다. 있는 것이 곧 없는 것이요, 없는 것이 곧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색은 수·상·행·식이 아니고는 인식될 수 없고, 수·상·행·식은 색이 아니고서는 그 모습을 나타낼 수 없다. 그러므로 이들은 서로 다르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서로 형태만 달리하여 나타나고 숨은 것에 불과하므로 그의 본체는 불생불멸(不生不滅)하고 불구부정(不垢不淨)한 것이며, 부증불감(不增不減)한 것이다.
불생불멸이란 법체(法體)의 영원성을 말하고, 불구부정은 법체의 청정성을 말하며, 부증불감은 법체의 원만성을 말하는 것이다. 물질과 정신, 그것을 운용하는 마음이 어떻게 불생불멸하고 불구부정, 부증불감하는가는 물 하나의 예로서도 능히 증명할 수 있다.
가령 여기 병이 있는데 15℃ 때 그 병 속에 3㏄의 물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 병에 100℃의 열을 가하면 그것은 얼마 있다가 모두 수증기로 변하고, 또 그것을 식혀 차게 만들면 다시 3㏄의 물이 된다. 그것을 또 냉동고 속에 넣어둔다면 금방 얼음이 되고 만다.
이렇게 모양은 온도에 따라 변하지만 그 습기(H2O)는 변치 않으므로 부증불감인 것이다.
또 더럽고 깨끗한 것에 대하여서도 물이 입을 통하여 들어갈 때는 깨끗해 보이는 것 같지만 조금 있다가 방광을 통하여 나오면 더럽게 보인다.
그러나 그 물 자체는 더럽고 깨끗한 것이 없다. 또 그 물은 개울에 있다고 해서 적고, 바다에 들어간다고 해서 더 많아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까 부증불감이다. 그러므로 거기에는 지혜롭고 어리석은 것이 따로 있지 않다. 그래서 무지역무득(無智亦無得)이라고 한 것이다.
우지(愚智) 득실(得失)이 없는 세상, 이 얼마나 편한 세상인가? 불교에서는 이 같은 무고안은(無苦安隱)이란 세상을 열반(涅槃)이라 한다.
이 열반의 마음은 부처와 중생이 똑같아 언제나 깨어있는 것이므로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이다. 일체중생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마음, 이 마음이 정등정각이요, 도일체고액하여 무지역무득한 열반적정심 그 마음이 무상정등정각이다.
그러므로 이 마음을 반야심(般若心)이라 하는 것이며 정각심(正覺心)이라 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반야심을 이룬 자며 정각심을 행한 자이다. 나와 네가 혼연일체의 세계, 세계와 내가 둘이 아닌 대동법계(大同法界)야 말로 태평성대를 이루는 문제인 것이다.
'불교이야기 > 불교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 剛 經 및 해설 (0) | 2011.02.12 |
---|---|
금강경에는... (0) | 2011.02.12 |
반야심경 강해-(色不異空 - 空不異色) (0) | 2011.01.23 |
반야심경 강해-오온(五蘊) (0) | 2011.01.23 |
반야심경 강해 -(色卽是空 空卽是色) (0) | 201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