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리 말 금 강 경
도명 수역
서 분. (序 分)
제 1, 법회가 열린 인연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부처님께서 큰 제자 천이백오십 명과 함께 슈라아바스티 기원정사에 계실 때의 일이었다.
아침공양 때가 되어 세존께서는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사위성에 들어가 차례로 탁발하고 돌아와 공양을 마치고 가사와 발우를 정리하고 발을 씻은 뒤에 자리를 펴고 가부좌를 하고 선정에 드시었다.
정 종 분 (正宗分)
제 2, 수보리가 법을 청함
그 때 비구들이 모여 와서 세존의 발에 절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 앉았다.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에 있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바른편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공손히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전무후무한 일)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깊이 염려해 주시고 모든 보살들에게 심히 친절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최상의깨달음)의 마음을 일어 키려면 응당 <어떻게 머무르며 어떻게 마음을 항복 받아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옳다! 옳다! 수보리야! 너의 말과 같이 여래는 모든 보살들을 깊이 염려해 주고 심히 친절하느니라.
너희들은 이제 자세히 들으라.
마땅히 너희들을 위하여 가르침을 말해 주리라.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사먁삼보리심을 일어 키려면 마땅
히 <이와 같이 머무르고, 이와 같이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느
니라.”
“예, 세존이시여! 듣기를 원하오며 모두 좋아하옵니다.”
제 3, 대승의 바른 종지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어떻게 마음을 항복받아야 할 것인가?【이른바 모든 중생의 종류인 태로 생기는 것, 알로 생기는 것, 습기로 생기는 것, 화하여 생기는 것, 형상 있는 것, 형상 없는 것, 생각이 있는 것, 생각이 없는 것, 생각이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는 것들을 내가 모두 남음 없는 열반에 들게 하여 제도하리라. 하고 이와 같이 한도 끝도 수도 없이 많은 중생들을 다 제도하였지만은 실로 제도될 중생은 한명도 없느니라. 보살은 응당 이렇게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느니라.】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이 <나라는 집착(아상)> <사람이라는 집착(인상)> <중생이라는 집착(중생상)> <산목숨이라는 집착(수자상)>이 있으면 이는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제 4, 머무름 없는 묘행
“또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어떠한 대상에도 머무르는 바 없이 보시를 행해야 하나니, 이른바 차별 곧【빛의 느낌(색)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할 것이며, 소리(성)· 냄새(향)· 맛(미)· 닿음(촉)의 느낌)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할 것이며, 대상(법)의 느낌에도 머무르지 않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해야 하나니, 왜냐 하면 만일 보살이 상(차별)에 머무르지 않은 채 보시하면 그 복덕은 가히 생각으로는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동쪽 허공을 모두 다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있겠느냐?”
“알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쪽·서쪽·북쪽과 네 간방과 위·아래 시방허공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있겠느냐?”
“알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에 머무르지 않은 채 보시하는 복덕도 이와 같아서 생각으로는 헤아려 알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다만 이와 같이 머물러야 하느니라.”
제 5, 이법대로 실답게 봄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육신의 특징으로써 여래를 판단 할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육신의 특징으로써는 여래를 판단 할 수 없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특징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특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보라!
<무릇 온갖 존재는
허망한 것,
존재가 존재 아닌 때
바로 여래를 보리라.”>
제 6, 바른 신심 희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혹시 어떤 중생이 이와 같은 법문을 듣고 진실한 신심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야! 그런 말은 하지 마라. 여래가 가신지 2천 5백년 뒤에 정법이 없어지려는 시기일지라도 계를 받는 자도 있고, 복을 닦는 이도 있고, 이와 같은 법문을 듣고 신심을 내는 자도 있느니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이나 셋· 넷· 다섯 부처님께만 착한 공덕을 심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한량없는 천만 부처님의 처소에서 착한 공덕을 심은 사람이니, 이 법문을 듣고 깨끗한 믿음을 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이와 같은 중생들을 이미 다 보고, 다 알고 있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이 중생들은 <나라는 상>·<사람이라는 상>·<중생이라는 상>·<산목숨이라는 상>(아)이 없으며, 법이라는 상(법)도 없고, 법아니라는 상(공)도 없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이 모든 중생들이 《 만일 마음에 어떠한 상(아집)을 취하면 곧 <나라는 생각>·<사람이라는 생각>·<중생이라는 생각>·<산목숨이라는 생각>에 걸이게 되고,
만일 법이란 상(법집)을 취하면 곧 <나라는 집착>·<사람이라는 집착>· <중생이라는 집착>·<산목숨이라는 집착>에 걸리게 되며,
만일 법아니라는 상(공집)을 취하여도 곧<자아란 존재>·<인간이란 존재>·<중생이란 존재>·<생존이란 존재>에 걸리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마땅히 알라.
<법도 취하지 말고, 법 아닌 것도 취하지 말아야 할
것이니라.>
그러한 뜻으로 여래는 항상 비구들에게 당부하기를, ‘나의 설법을 뗏목에 비유한다. 하지 않더냐?’
법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법 아닌 것이랴!”
제 7, 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리를 증득했다고 하겠느냐? 또 여래가 말한바 법이 있겠느냐?”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진정한 뜻을 제가 이해하기에는 <고정된 법 없다>라는 그것을 이름 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오며, 또한 여래께서는 <고정된 법 없다>라는 그 법을 설하셨다. 하겠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법은 모두 취할 것도 아니요, 말할 것도 아니며, 법도 아니고, 법 아닌 것도 아닙니다.
그 까닭이 무엇이겠습니까?
여러 현인과 성인은 집착 없는 법에 따라 차별되기 때문입니다.”
제 8, 법에 의해 나옴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일곱 가지 보배를 가득 채워 가지고 널리 보시했다면 이 사람이 얻은 복덕은 얼마나 많겠느냐.”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이 복덕의 본성은 복덕의 본성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 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에 네 글귀의 법문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널리 펴서 말해 준다면 그 복덕이 다른 복덕보다 더 뛰어나리라.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과 모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이 모두 다 이 경에서 나왔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이란 곧 불법이 아니니라.”
제 9, 상 하나라도 상이랄 수 없음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생각하기를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수다원이란 흐름에 들어간 자라고 이름 하였으나 어디에도 들어간 것이 없고, 색· 성· 향· 미· 촉· 법에도 들어간 것이 아닙니다. 다만 이름만을 수다원이라 하였을 뿐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사다함이란 한 번 갔다 오는 자라고 이름 하였으나 실은 가고 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사다함이라 이름 하였을 뿐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아나함이란 돌아오지 않는 자 라고 이름 하였으나 실은 돌아오지 않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아나함이라 이름 하였을 뿐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노라'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실로 존재하는 법 없는 것을 이름 하여 아라한이라 했을 뿐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노라' 한다면 이는 곧 <나라는 존재>· <사람이라는 존재>· <중생이라는 존재>· <산목숨이라는 존재>에 집착된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다툼이 없는 삼매를 얻은 사람가운데서 제일이라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욕심을 버린 첫째가는 아라한이란 말씀이오나 저는 욕심을 버린 아라한이라는 생각을 내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라고 생각했다면 세존께서는 수보리에게 아란나행을 즐기는 자라고 말씀하시지 아니하였을 것입니다.
수보리가 실로 아란나행을 즐기는 바가 없으므로 수보리를 아란나행을 좋아하는 자라고 이름 하셨습니다.”
제 10, 장엄된 부처님 나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얻은바 법이 있다고 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실 적에 어떠한 법도 얻으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한다. 라고 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하는 것은 장엄함이 아니라. 그 이름을 장엄이라 합니다.”
“수보리야! 그러므로,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히 이와 같이 청정한 마음을 내야 하나니,
마땅히 형상에 머물지 말고 마음을 내야하며,
마땅히 소리· 냄새· 맛· 닿음· 대상에도 머물지
말고 마음을 내야 할지로되,
응당 머무는바 없이 마음을 내야 하느니라.”》
제 11, 무위복의 수승
“수보리여! 비유컨대 어떤 사람의 몸이 수미산왕처럼 크다고 한다면 그의 몸은 크다고 할 수 있는가?”
수보리가 답했다.
“매우 큽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오면 부처님께서 몸이라 말씀하신 것은 몸이 아니기에 큰 몸이라 이름 하신 것입니다.”
“수보리야! 갠지스강에 있는 모래알 수처럼 많은 갠지스강이 있는데 그 강에 가득 찬 모래알 수는 과연 얼마나 많겠느냐?”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저 많은 갠지스 강의 수량만 하여도 한없이 많사온데 하물며 그 모래알 수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이제 진실한 말로 너에게 이르노니,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저 갠지스강 모래알 수처럼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를 가져다 재보시한다면 그 복이 얼마나 많겠느냐?”
“심히 많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또 다시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 가운데서 네 글귀의 법문만을 받아가지고 남을 위해 널리 설하여 법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앞에서 말한 복덕보다 더 없이 뛰어나느니라.”
제 12, 바른 교법을 존경하는 분
“또 수보리야! 어느 곳에서나 이 경 가운데 네 글귀만이라도 그 뜻을 읽어준다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일체세간과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마땅히 공양하기를 부처님 탑과 같이 할 것이거늘 하물며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다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움이겠느냐?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최상· 제일· 희유한 법을 성취하거늘, 어찌 이 경전이 있는 곳을 부처님과 부처님의 제자와 같이 존경하지 아니하랴.”
제 13, 법답게 받아 지님
그 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오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이니라.
이러한 이름으로 너희들은 받들어 지녀라.
왜냐하면 여래가 말한 반야바라밀이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을 반야바라밀이라 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모든 먼지의 수를 많다고 하겠느냐?”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이 모든 먼지를 여래는 먼지라 말하지 아니하나니 이것은 이름일 뿐이며, 여래가 말하는 세계도 또한 세계가 아니라 세계라 이름 할 따름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가히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써 여래라고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서는 여래라고 볼 수 없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는 곧 몸매가 아니라 그 이름을 몸매라 하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목숨을 바쳐 널리 보시한 사람이 있고, 또 이 경 가운데 네 글귀의 법문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남을 위해 널리 펴서 말해 준 사람이 있다면 그 복은 앞의 복보다 더욱 많으니라.”
제 14, 상을 여윈 적멸
그때 수보리가 이 경 법문을 듣고 깨달은 바가 깊어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면서 세존께 사뢰었다.
“참으로 희유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심히 깊고 깊은 경전은 저희들로서는 옛적부터 일찍 들어보지 못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 법문을 듣고 신심이 청정해지고 모습이 진실해지면, 이 사람은 마땅히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입니다.
이것은 진실입니다.
세존이시여! 이러한 진실은 곧 진실이 아니기에 그러므로 여래께서는 진실이라 이름 하신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이와 같은 경전을 듣고, 믿고, 알며, 받아 지니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사오나, 만일 이 다음 세상 2천5백년 뒤 바른 법이 사라지려할 무렵에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어 이해하고 받아 지닌다면 이 사람이야 말로 참으로 제일 희유한 사람이라 하겠습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이 사람은 <나라는 존재>도 없고 <사람이라는 존재>도 없으며, <중생이라는 존재>도 없으며, <산목숨이라는 존재>도 없는 까닭입니다.
왜냐 하오면 <나라는 존재>가 곧 존재가 아니며, <사람이라는 존재>· <중생이라는 존재>· <산목숨이라는 존재>도 곧 존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일체 모든 존재를 버리면 곧 부처님이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러하다. 그러하다.
만약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도 않고 겁내지도 않으며 두려워하지도 않으면 마땅히 알아라.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이니라.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한 제일바라밀이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을 제일바라밀이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이름을 인욕바라밀이라 한다고 여래가 말하지 않더냐?
왜 그런가 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 가리왕에게 몸을 베이고 찢길 적에 <자아라는 생각>이 없었으며 <인간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생존이라는 생각>이 없었느니라.
내가 옛적에 마디마디를 찢길 때에도 만약 나에게 <자아라는 상>·<인간이라는 상>·<중생이라는 상>· <생존이라는 상>이 있었다면 응당 진심과 원한을 냈을 것이니라.
또 과거 오백생 동안 인욕바라밀을 공부할 때에도 <아상· 인상>이 없었으며 <중생상· 수자상>이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이란 마땅히 모든 것을 다 버리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만을 일으켜야 하나니,
마땅히 색에도 머물지 말고, 마음을 내야하며,
성· 향· 미· 촉· 법에도 머물지 않고 마음을 내야 할 것 이로되,
응당 머무는바 없는 그 마음을 내야 하느니라.》
만약 머무는 바가 있다면 보살이 아니기에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마땅히 보살은 어디에도 머물지 않고 보시해야 하며, 일체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 이와 같이 보시하라’하느니라.
여래가 말한바 온갖, 모든 것도 곧 모든 것이 아니며, 온갖 머무름도 곧 머무름이 아니며, 온갖 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참말만 하고, 실다운 말만하며
같은 말만 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기이한 말을 하지 않나니,
그러므로 여래가 얻었다는 이 법은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이 만약 마음이 어떤 법에 머물러서 보시한다면 마치 어두움 속에서 아무것도 볼 수 없는 것과 같고,
보살이 만약 마음이 어떤 법에도 머물지 않고 보시한다면 밝은 태양아래 밝은 눈으로 온갖 빛을 다 보는 것과 같으니라.》
제 15,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녀인이 오전에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몸으로 보시하고, 낮에 또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몸으로 보시하며, 저녁에 다시 항하의 모래수와 같이 많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와 같이 한량없는 백천만억겁 동안 몸으로 보시하고,
또 어떤 사람은 이 경의 법문을 듣고 믿는 마음이 거슬리지 아니하여도 그 복은 앞의 것보다 더 수승하거늘, 어찌 하물며 이 경을 쓰고 받아 지니며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널리 설명해 줌이겠느냐.
수보리야! 요점만 말한다면 이 경은 생각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는 아주 한량없는 공덕이 있느니라. 이 경은 여래가 대승에 발심한 이를 위해 설하는 경이며 최상승에 발심한 이를 위해 설하는 경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며 사람들을 위해 널리 말하여 법보시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의 공덕은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끝도 없고 가히 생각해 볼 수도 없나니 여래는 이 사실을 다 알고 다 보느니라. 이러한 사람은 곧 여래의 아녹다라삼막삼보리를 짊어진 것과 같으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작은 법을 좋아한다면, ‘나라고 봄 사람이라고 봄 중생이라고 봄 산자라고 봄’에 집착되어 이 경을 능히 듣고 지니고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설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곳곳마다 이 경이 있는 곳이면 일체 세간과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응당 공양할 바가 되나니, 마땅히 알라. 이곳은 곧 부처님 탑을 모신 곳과 같아서 응당 공손히 절하며 에워싸고 돌면서 가지가지 꽃과 향을 뿌리리라.”
제 16, 업장을 깨끗이 맑힘
“또 수보리야!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서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설명하여도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면 이 사람은 전생의 죄업으로 마땅히 악한 세상에 떨어질 것이지만, 금세에 남에게 업신여김을 받는 까닭에 곧 전생의 죄업이 소멸되고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내가 한량없는 아승지 겁의 과거를 생각해 보니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8만4천만억 나유타의 모든 부처님을 만나 공양하고 섬기는 일에 헛됨 없이 지냈느니라.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오는 말세에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깨우쳐서 공덕을 쌓았다면 내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천만 억의 비유로도 능히 미치지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이 다음 말세에 이 경을 받아 지니고 독송하여 얻는 공덕을 내가 다 낱낱이 말한다면 혹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는 정신이 아득하여 의심하며 믿지 아니하리라.
수보리야! 마땅히 알라.
이 경의 뜻도 불가사의 하지만 그 과보 또한 불가사의 하느니라.”
제 17, 마침내 나는 없다
그 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어 켰사오면 응당 <어떻게 머물며 어떻게 마음을 항복받아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어 킨 자라면, 마땅히 이와 같이 마음을 내야 하나니,
《‘내가 마땅히 일체 중생을 다 제도하리라
하고, 일체 중생을 다 제도하였지만,
실은 한 중생도 제도될 중생은 없다’ 하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나라는 집착>·<사람이라는 집착>·<중생이라는 집착>·<산목숨이라는 집착>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그 까닭은 실로 존재하는 법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일으킨 자이기 때문이니라.
이러한 사람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 것과 같으니라.
왜냐하면 수보라야! 만약 작은 법을 좋아 한다면 ‘나라고 봄, 사람이라고 봄, 중생이라고 봄, 산자라고 봄’에 집착되어 이 경을 능히 듣고 지니고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설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연등부처님 처소에서 어떠한 법이 있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겠느냐? 못 얻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저가 부처님의 말씀을 이해하기에는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실 적에 존재하는 법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신 것입니다.”
“그러하다. 수보리야! 여래는 진실로 존재하는 법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법이 있어서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저 옛날 연등부처님께서 ‘너는 다음 세상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라'하고, 나에게 수기를 주시지 아니하였을 것이니라. 진실로 존재하는 법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기에 연등부처님께서는 나에게 수기를 주시면서 말씀하시기를 '네가 이 다음 세상에 마땅히 부처를 이루리니 그때 너의 이름은 석가모니라고 하리라'하셨느니라.
왜냐하면 여래라 하는 뜻은 법 그대로 온다는 뜻이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라고 말한다면 수보리야, <이것은 여래가 진실로 존재하는 법 없음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온갖 법이 모두 불법이다.'라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온갖 법이라 하는 것은 곧 온갖 법이 아니므로 온갖 법이라 이름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도 또한 이와 같아서 만일 '내가 한량없이 많은 중생을 제도한다.'라고 말한다면 이는 곧 보살이라 이름 할 수 없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실로 존재하는 법이 모두 없어 저야 만 보살이라 이름 하느니라. 그러므로 여래가 말하기를 온갖 법에는 <나란 없고, 사람이란 없고, 중생이란 없고, 산목숨이란 없다>라고 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와 법 없는>것을 통달하였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참된 보살마하살이라 이름 하리라.”
제 18, 일체를 하나로 봄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이 있느냐?”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이 있으십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천안이 있느냐?”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이 있으십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혜안이 있느냐?”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이 있으십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법안이 있느냐?”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으십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불안이 있느냐?”
“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이 있으십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항하 가운데 있는 수많은 모래를 여래가 말한 적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항하의 모래를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하나의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 수와 같이 많은 항하가 또 있고, 이 모든 항하의 모래알 수와 같이 많은 수의 부처님 세계가 있다면, 그 세계를 참으로 많다. 라고 하겠느냐?”>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또 수보리야! 저 많은 세계 가운데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는 다 아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일 뿐이니라. 그 까닭이 어 떠한가?
수보리야! 《지나간 마음도 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잡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잡을 수 없기》때문이니라.”
제 19, 법계를 두루 교화함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3천대천 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채워가지고 널리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 얻는 복이 많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얻는 복이 심히 많습니다.”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진실로 있는 것이라면 여래는 복덕이 많다. 라고 말하지 아니 하였을 것이다. 복덕은 본래 없는 것이기에 여래가 복덕이 많다. 라고 말하느니라.”
제 20, 색신을 여읜 법신여래라는
“수보리야! 부처를 육신을 고루 갖춘 여래로 보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육신을 고루 갖춘 부처라고 보지 않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고루 갖춘 육신이란 곧 고루 갖춘 육신이 아니옵고 그 이름을 고루 갖춘 육신이라 할 뿐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를 모든 조건을 고루 갖춘 여래로 보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응당 모든 조건을 고루 갖춘 여래로 볼 수 없습니다. 왜냐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모든 조건을 고루 갖췄다는 것은 곧 모든 조건을 고루 갖췄다는 것이 아니옵고 그 이름을 모든 조건을 고루 갖췄다는 것일 할 뿐입니다.”
제 21, 말을 여읜 설법
“수보리야! 너는 이렇게 말하지 말라. ‘여래가 마땅히 말한바 법이 있다’라고, 말하지 말라라.
왜냐하면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법을 말 한다’라고 한다면 이것은 곧 여래를 비방하는 말이니 여래가 말한 참뜻을 알지 못하는 까닭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설법 한다>라 하는 것은 법이라 할 존재가 없는 것을 설하였으므로 그러므로 <설법>이라 이름 하느니라.”
그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다음 세상에 자못 어떤 중생이 이 법을 듣고 신심을 낼 수 있겠습니까?”
“수보리야!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 아님도 아니니라. 무엇 때문인가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다 하는 것은 중생이 아니므로 여래는 중생이라 이름 하느니라.”
제 22, 진리는 얻을 것 없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얻으셨다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은바가 없다는 말씀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하다. 수보리야! 내가 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아주 작은 법이라도 얻은 바가 없으므로 이름을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느니라.”
제 23,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닦음
“또 수보리야! 이 법이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을 세 그러므로 이름 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느니라. <나란 상>도 없고, <사람이란 상>도 없고, <중생이란 상>·<산목숨이란 상>도 없는 이로써 온갖 거룩한 법을 닦으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느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거룩한 법이라 하는 것은 곧 거룩한 법이 아니므로 그 이름을 거룩한 법이라 하느니라.”
제 24, 복과 지혜를 비교할 수 없다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서 수미산 왕 만큼 큰 칠보를 쌓아가지고 널리 재보시를 하고,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경에서 네 글귀의 법문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해 설하여 널리 법보시를 한다면, 앞의 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백천만억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내지 숫자의 비유로는 미치지 못하느니라.”
제 25, 교화해도 교화된 바 없다
“수보리야! 너희들은 여래가 생각하기를 ‘내가 마땅히 중생을 제도한다.’라고 생각하느냐? 수보리야, 이런 생각을 하지 말라라.
왜 그러냐 하면 실로 여래에게는 제도할 중생이 없기 때문이니, 만약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하나라도 있다면, 여래에겐 곧 <나라는 존재>·<사람이라는 존재>·<중생이라는 존재>·<산목숨이라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나 아닌 법>을 말하나 범부들은 <나 존재 인 법>을 말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범부를 범부라 말하지 아니하고 그 이름을 범부라 하느니라.”
제 26, 법신은 형상이 아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서 여래라고 보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써 여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보리야! 만일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써 여래라고 볼 수 있다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라 하겠구나?”
“세존이시여! 여래의 깊은 뜻을 제가 이해하기로는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몸매로는 여래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일 형상으로 나를 보려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려면
이 사람은 곧 삿된 길을 걷나니
끝내 여래를 보지 못할 것이다.”
제 27, 단멸이란 없다
“수보리야! 네가 생각하기를 여래는 구족한 모습으 로써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 아닐까? 라고 하겠느냐?
또 생각하기를 여래는 구족한 모습이므로 아뇩라삼 먁삼보리를 얻은 것 아닌 것도 아니다. 라고,
이렇게 생각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자들은 모든 법에 <단멸>이 되느니라.
이러한 생각들을 하지 말라.
왜 그런가 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자는 모든 법을 말할 때에 단멸이라 말하지 않느니라.”
제 28, 받지도 않고 탐하지도 않는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세계에 칠보를 가득 채워 널리 보시하고 또 다시 어떤 보살은 온갖 법이란 실체가 없다. 라는 것을 알고 특수한 지혜를 이루었다면, 이 보살은 앞에 보시한 공덕보다 훨씬 뛰어나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모든 보살들은 복덕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니라.”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느끼지 않습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자기가 지은 바 복덕에 탐착하지 않기 때문이니, 그러므로 복덕을 느끼지 않는다. 라고 말하느니라.”
제 29분, 위의가 고요하다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혹 온다거나 간다거나 혹 앉는다거나 눕는 다라고 말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말한바 뜻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니라. 왜 그러냐 하면 여래라 하는 뜻은 어디로부터 온다는 뜻도 없고, 어디론가 간다는 뜻도 없기 때문에 그러므로 여래라 이름 하느니라.”
제 30, 하나의 본래 모양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미세한 먼지를 만들었다면 네 생각은 어떠하냐?
이 미세한 먼지가 얼마나 많겠느냐?”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 그런가 하오면 만약 이 미세한 먼지들이 실로 존재하는 실체라면 부처님께서는 곧 미세한 먼지라고 말씀하시지 아니하였을 것입니다.
그것은 또 무엇 때문인가 하오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미세한 먼지들은 곧 미세한 먼지가 아니오며 그 이름을 미세한 먼지라 하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삼천대천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옵고 그저 세계라 이름 할 뿐입니다.
왜 그런가 하오면 만약 세계가 실로 존재하는 실체라면 그것은 하나의 모양에 집착할 따름입니다.”
“수보리야! 참 그러하다.
《미세한 먼지도 미세한 먼지라 할 수 없고,
삼천대천세계도 세계라 할 수 없으며,
하나의 모양도 하나의 모양이라 할 수없느니라.》
이와 같은 법은 말로는 가히 설명할 수 없느니라. 그것은 법도 아니고 법 아닌 것도 아니니라. <이러한 일들은 다만 범부들의 탐착이니라.>”
제 31, 지견을 내지 마라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나라고 봄>·<사람이라고 봄>·<중생이라고 봄>· <산목숨이라고 봄’>을 말한다. 라고 한다면,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내가 말한바 뜻을 바로 안다. 라고 하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바로 알지 못하고 하는 말입니다.
왜 그러냐 하오면 세존께서는 <나라고 봄>· <사람이라고 봄>· <중생이라고 봄>· <산목숨이라고 봄>이라는 것은, 곧 <나라고 봄>· <사람이라고 봄>·<중생이라고 봄>· <산목숨이라고 봄>이 아니라. 그 이름이 <나라고 봄>· <사람이라고 봄>·<중생이라고 봄>· <산목숨이라고 봄>이라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보살들도,
《온갖 법에 응당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고 깨달아서,
<법이란 상>을 내지 말아야 할 것이니라.
<법이란 상>도 곧 <법이란 상>이 아니라
이름을 <법이란 상>이라. 말하느니라.”》
제 32, 응화신은 참이 아니다
“수보리야! 만일 어떤 사람은,
《한량없는 아승지 세계에 일곱 가지 보배를 가득 채워 널리 재보시를 하고, 또 어떤 선남자 선여인은 보살심을 일으켜서 이 가르침 가운데 네 글귀의 법문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서 다른 사람을 위해 널리 설명하여 법보시를 행한다면, 그 복은 앞의 복보다 훨씬 뛰어 나느니라.》
그렇다면 이 법문을 가지고 사람을 위해 무슨 방법으로 어떻게 널리 설명하여야 그렇게 되겠는가?
<드러내지 않고 빛나게,
움직이지 말고 법답게.>
무엇 때문인가?
나타난 온갖 법은
꿈, 환상,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와 같기에,
이렇게 보아야 하리!”
유 통 분 (流通分)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가르침의 법문을 다 말씀해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와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 등 모든 세계가 부처님의 법문을 듣고 모두 다 크게 기뻐하며 받아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우리말 금강경 끝>
'불교이야기 > 불교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승택 금강경 <존중정교분>1 (반야) (0) | 2011.01.07 |
---|---|
보왕 삼메론 (0) | 2010.10.01 |
표준금강경 (0) | 2010.08.10 |
선림보훈(禪林寶訓) 해 제(解題) (0) | 2010.06.30 |
金剛般若波羅蜜經 (0) | 2010.04.29 |